• Title/Summary/Keyword: classification of mountains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7초

Cluster 분석에 의한 백두대간 남부권역 천연림의 산림 분류 (The Classification of Forest by Cluster Analysis in the Natural Forest of the Southern Region of Baekdudaegan Mountains)

  • 이정민;황광모;김지홍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1호
    • /
    • pp.12-22
    • /
    • 2014
  • 본 연구는 백두대간 남부권역의 황악산, 박석산, 덕유산, 지리산 등 네 지역을 대상으로 복잡 다양한 천연림 군집을 분류하고 산림피복유형을 집약하였다. 점표본법을 이용하여 851개의 표본점에서 식생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된 식생자료를 대상으로 Cluster 분석을 실시하여 총 18개 군집으로 분류하였으며, 분류된 군집의 상층 수종 구성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중생혼합림형, 기타활엽수림형, 굴참나무-졸참나무림형, 신갈나무림형, 소나무림형, 서어나무림형, 구상나무림형 등 총 7개의 산림피복유형으로 집약하였다. 연구 대상지에서 신갈나무림형이 가장 넓게 분포하였고, 위도가 낮아질수록 신갈나무림형이 분포하는 평균해발고는 높아졌다. 중생혼합림형과 기타활엽수림형은 계곡에 많이 분포하였고, 신갈나무림형과 소나무림형은 능선 부위에 많이 분포하는 경향이 있었다.

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한남금북.금북정맥의 전통적 지리체계인식과 환경가치 추정 연구 (A Study on the Traditional Geographic System Recognition and Environmental Value Estimate of Hannamkeumbuk-Keumbuk Mountains for the Establishment of a Management Plan)

  • 강기래;김동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3-33
    • /
    • 2012
  • 본 연구는 산경표에 따른 전통적 지리체계인 백두대간 및 부속정맥을 한남금북 금북정맥 이용자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인식의 정도와 이용 행태 등 기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우리 산줄기인 백두대간의 생태계 완충역할을 하는 2차 산맥이라고 할 수 있는 부속 산줄기 중 우리나라 중 남부를 구분하는 한남금북 금북정맥의 환경적 가치를 현재 통화액으로 추정하였다. 전통적인 산맥분류기준과 백두대간에 대한 인식여부에 대한 질문에서 응답자의 70% 이상이 들어보거나 알고 있다는 응답을 하였으나, 부속 산줄기인 한남금북 금북정맥에 대한 인식은 "모른다"는 응답이 66.8%를 보였다. 이는 백두대간에 대한 인지율은 높은 반면, 부속정맥의 인식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남금북 금북정맥의 환경적 가치에 대한 추정기법은 DBDC응답방식으로 환경재의 가치추정방법에 널리 사용되는 CVM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1인당 한남금북 금북정맥을 방문할 때 얻는 추가적인 효용은 5,813원으로 추정되었다. 이 금액은 평균방문비용인 51,984원에 비해 매우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는 자연성의 훼손, 등산로의 단조로움, 무분별한 환경파괴의 진행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백두대간과 부속정맥의 대국민홍보와 자원보전, 가치인식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 줄 것이며, 향후 한남금북 금북정맥 방문자들에게는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을, 한남금북 금북정맥이 속한 지방자치단체에게는 가치상승과 보존을 위한 기본적 계획과 관리를 위한 자료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한다. 본 연구를 통한 향후의 연구과제는 한남금북 금북정맥 관리 범위의 적절한 설정과 가치 상승을 위한 다양한 기관들과의 업무 분장과 관리의 틀을 만들어 가는데 있다.

한국지형구(韓國地形區) (The Study of Physiographic province in Korea)

  • 박노식
    • 동굴
    • /
    • 제68호
    • /
    • pp.75-98
    • /
    • 2005
  • Korea physiographic province is divided into two provinces which is northern Chugaryung graben zone and southern Chugraryung graben zone. Northern Chugraryung is also divided in to Gema block and Kohan block, and southern Chugraryung dividedinto Han block, Yongnam basin and Honam plain. The above mentioned macro geomorophic units is divided, mainly on the geotectonics. The meso geomorphic units is divided, based upon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topographic characteristic that is plateaus, mountains, mountain range, basins and great plain etc. Micro geomorphic units id into a mountain, a hill, a plain, and a lowland, and then it is formed by selfreliant topographic unit. And micro topographic (fan, peneplain, delta, etc) dealt with a characteristics unit. In this article has a disregarded amallest scale that is included flood plait natural levee, back marsh and oxbow lake etc. Accordingly, it shows macro units are meso units are 5, meso units are 53, micro units are 299. A study method of physiographic provincs prefered to aufsteigende and abstergands methoy. How to organically combine topographic factors can be seen in regional distribution of the peculiar topographic characteristics, for charage teristic of topographic makes a study on the topographic of micro unit such understanding as aufsteigende method. At the same time, since it can be studied systematically from marco unit to micro unit like the absteigende methods, I used both methods. And this establishment of physiographic province based on the scientific method depend on the base map of climate classification. Geology, Soil, Biology. I feel confident that it will be used the basic map for land use map, land classification map, study of geomorphology of Korea. And will be used for study of a topographic standard data.

경북북부지방(慶北北部地方) 전통민가(傳統民家)의 주문화권(住文化圈) (The Areal Distribution of the types of Folk Houses in Northern Kyung-Buk Province)

  • 서경태;조성기
    • 건축역사연구
    • /
    • 제5권1호
    • /
    • pp.39-49
    • /
    • 1996
  • Accoring to many studies which concerned with the types of folk houses, there are many types of folk houses in Korean peninsula and its areal distribution had been determined by the barrier of mountains, in general. But we have neglected to examine the overlapped areal distribution still now. If two types of culture with different housing type contact at one region, it may interrelated each other and invent certain exclusive charicteristics. And there are its own attitude of traditional culture in Kyung-buk provingce where serveral types of folk houses settled togeth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larify the general pattern of culture in terms of folk houses in northern Kyung-buk province and to suggest a clue to solve the cultural inter-relationship each other, By classification of the collected plans in this area, the authors try to find out the charicteristics of the serveral types and there areal distribution. Finally, we can find out that certain types of folk houses located in northern Kyung-buk province had formed their cultural regions and these homogeneous regions are overlapped, partly.

  • PDF

자병산 일대의 호석회 및 혐석회식물의 분류 (Classification of Calcicoles and Calcifuges in Mt. Jabyeong)

  • 김병우;오영주
    • 동굴
    • /
    • 제61호
    • /
    • pp.17-46
    • /
    • 2000
  • Mt. Jabyeong(872.5m), limestone region in the Taebaek mountains, located in 37° 32'N, 129° 25'E and in Sangye-ri, Okgye-myeon, Gangreung-si and Samok-ri, Imgye-myeon, Jeongseon-gun, Gangwon-do.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floristic composition from 1997 to 1998 in Mt. Jabyeong and report the distribution of Korean endemic plants, rare and vulnerable plants, calcicoles and calci fuges, The vascular plants in this area were composed of 93 families, 313 genera, 3 subspecies, 57 varieties, 13 forms, 495 species, totaling 568 taxa. Among the vascular plants, 21 taxa were Korean endemic plants and 7 taxa were rare and vulnerable plants. Calcicole and calcifuge plants in this study area were composed of 21 families, 30 genera, 36 species and 14 families, 15 genera, 17 species. The soil pH values of study site in Mt. chabyoung were ranging 7.4∼8, which showed that this site was a mostly limestone area with alkaline soil. And soil depth was formed to a relative thin layer, mostly 2~4cm thickness. This site showed high content of moisture and organic matter which were ranging 40-45% and 15-25%, respectively.

  • PDF

매미를 기주로 한 동충하초의 분포와 분류 동정 (Distribution and Classification of Cordyceps Parasites in Cicada)

  • 오준상;한상국;부산 쓰레스타;성기호;성재모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78-87
    • /
    • 2019
  • 목적: 매미에 기생하는 동충하초를 1990 년부터 2016년까지 매년 7월부터 10월까지 주로 한국에서 수집하고 분류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그러나 네팔, 베트남, 일본, 중국, 태국에서 자주 채집을 하였다. 방법: 매미에 기주로 한 동충하초를 산에서 채집하였다. 결과: 9개 속과 10개 종에 속하는 총 1,104개의 표본이 수집하였다. 가장 많은 수의표본은 Ophiocordyceps (563개)이었고, 이어서 Isaria (361개), Polycephalomyces (73개), Cordyceps (70개), Beauveria (25개), Perennicordyceps (8개), Metarhizium (2개) 그리고 Purpureocillium (2개)이었다. Ophiocordyceps종 중. O. longissima는 563개 중에 총 426개의 표본으로 가장 많이 수집되었으며, 120개가 수집된 O. heteropoda와 17개의 표본이 있는 O. sobolifera이었다. 주로한국에서 채집되었지만 C. ishikariensis는 네팔에서만 채집되었다. 새로운 특징은 Isaria cicada-like synnemata가 같은 숙주에서 C. ishikariensis stromata와 함께 자라는 것을 발견했다. 한국에서는 1,104개 중총 691개의 표본이 제주도 한라산에서 발견되었다. 표본을 수집한 한국의 다른 산들은 대룡, 용문, 삼악, 설악, 구절, 두륜, 백암, 칠갑, 청등, 내장, 월출, 지리, 대룡산 등 이었다. 채집한 샘풀 중에서 3개는 미확정되었다. 결론: 총 1,104개의 표본은 9개의 속(genus), 10종류의 종(species)으로 분류되었고, 수집된 691개의 샘풀은 제주도 한라산에서 채집되었다.

지면.비지면점 분류를 위한 라이다 필터링 알고리즘의 종합적인 비교 (Comprehensive Comparisons among LIDAR Fitering Algorithms for the Classification of Ground and Non-ground Points)

  • 김의명;조두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9-48
    • /
    • 2012
  • 수치표고모델(DEM : Digital Elevation Model)을 생성하거나 지상의 객체를 추출하기 위해서 라이다 자료에서 지면점과 비지면점을 분리하는 필터링(filtering) 과정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라이다 자료에서 지면점을 추출하는 데 사용되는 기존의 필터링 방법을 대상으로 정성적 분석과 정량적 분석을 통해 가장 효과적인 필터링 알고리즘을 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Adaptive TIN, Perspective Center Based Filtering Algorithm, Elevation Threshold with Expand Window, Progressive Morphology의 4가지 필터링 방법을 산악지역, 도시지역, 건물과 산이 공존하는 3가지 지역에 적용하여 각각의 방법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4가지 필터링 방법의 정성적인 비교는 음영기복도를 생성한 후 시각적인 방법을 적용하였고 정량적인 비교는 GPS로 관측한 검사점을 이용한 절대적인 비교와 국토지리정보원의 수치표고모델을 이용하여 상대적인 비교를 수행하였다. 라이다 필터링 실험을 통하여 Adaptive TIN 알고리즘은 산악지역과 도시지역에서 지면점을 가장 효율적으로 추출하였고 건물과 산이 공존하는 지역에서는 Progressive Morphology 알고리즘이 가장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정성적, 정량적 비교 결과 전반적으로 지역적 특성에 관계없이 적용가능한 필터링 알고리즘은 ATIN 알고리즘으로 나타났다.

k-Nearest Neighbors 분류기를 이용한 복합 지표 산불피해 영역 탐지 (Mapping Burned Forests Using a k-Nearest Neighbors Classifier in Complex Land Cover)

  • 이한나;윤공현;김기홍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3권6호
    • /
    • pp.883-896
    • /
    • 2023
  • 인간 활동 영역이 산지 곳곳에 퍼져 있는 한국에서는 산불이 주거지역이나 각종 시설물을 위협하는 경우가 잦다. 따라서 산불 이후 대책 마련과 피해 복구를 위해 피해 범위를 빠르게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원격탐사가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9년 4월에 발생한 고성·속초 산불 피해지역에 k-nearest neighbor (kNN)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피해 범위를 탐지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다양한 인공지물을 포함하는 지표와 숲이 혼재된 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공간 해상도와 시간 해상도를 제공하는 Sentinel-2 multispectral instrument (MSI) 자료를 사용하였다. Sentinel-2 MSI의 여섯 밴드와 정규식생지수(NDVI), 정규탄화지수(NBR)를 분류 특성으로 사용하였다. 산불 피해지역과 비피해 지역에서 무작위로 추출된 2,000개 지점 정보를 이용하여 kNN 분류기를 훈련시켰다. 분류 성능을 높이기 위해 데이터에서 특이값을 제거하고 임상도를 병용하였다. 다양한 이웃(neighbor) 수와 분류 특성 조합을 적용하여 산불 후 데이터를 이용한 실험과 산불 전후 데이터 차이를 이용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산불 전후 데이터 차이를 이용하였을 때 더 우수한 분류 성과를 얻을 수 있었지만, 산불 후 데이터만을 이용한 경우에도 피해지역의 범위를 파악할 수 있었다.

환경요인의 다계층성을 고려한 생태지역 분류 (Ecoregion Classification using Multi-Hierarchy of Environmental Factors)

  • 정관용;양희문;김석권;박수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654-676
    • /
    • 2012
  • 본 연구는 산지 생태계의 능력과 잠재성의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다계층성을 고려한 생태지역 분류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지역 일대를 대상으로 각 환경요인의 공간적 분포를 살펴보고, 지리통계(geostatistics)기법을 이용하여 각 환경변수의 계층성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적절한 생태지역 분류를 제시하기 위해서 임상도와 입지도를 이용하여 분류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지역은 $1,168km^2$ 면적의 강원도 가리왕산 일대이다. 이 지역은 퇴적암 비율이 높게 나타나며, 그중에서 석회암과 관련된 지층이 가장 넓은 면적(36.6%)을 차지한다. 북쪽과 중앙을 중심으로 고도가 높은 산지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오대천과 평창강을 따라 평탄한 지역이 나타난다. 환경요인의 계층성을 살펴보면 지질과 고도가 상위계층을 차지하고, 지형분류(사면곡면률, 사면유역지수)가 하위 계층으로 나타났다. 생태지역분류 평가에서 '지질+고도+지형분류'가 고르게 높은 ${\chi}^2$의 통계값을 보이고 있어 이에 근거하여 생태지역 분류를 실시하였다. 제시된 생태지역분류는 넓은 퇴적암면적, 높은 산지비율, 큰 고도차이 등과 같은 연구지역의 독특한 환경특징이 반영된 결과로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생태관련 주제를 통합하여 전체적인 산지 생태계 관리 및 이용 방안의 하나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Long Song Type Classification based on Lyrics

  • Namjil, Bayarsaikhan;Ganbaatar, Nandinbilig;Batsuuri, Suvdaa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9권2호
    • /
    • pp.113-120
    • /
    • 2022
  • Mongolian folk songs are inspired by Mongolian labor songs and are classified into long and short songs. Mongolian long songs have ancient origins, are rich in legends, and are a great source of folklore. So it was inscribed by UNESCO in 2008. Mongolian written literature is formed under the direct influence of oral literature. Mongolian long song has 3 classes: ayzam, suman, and besreg by their lyrics and structure. In ayzam long song, the world perfectly embodies the philosophical nature of world phenomena and the nature of human life. Suman long song has a wide range of topics such as the common way of life, respect for ancestors, respect for fathers, respect for mountains and water, livestock and animal husbandry, as well as the history of Mongolia. Besreg long songs are dominated by commanded and trained characters.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ethod to classify their 3 types of long songs using machine learning, based on their lyrics structures without semantic information. We collected lyrics of over 80 long songs and extracted 11 features from every single song. The features are the name of a song, number of the verse, number of lines, number of words, general value, double value, elapsed time of verse, elapsed time of 5 words, and the longest elapsed time of 1 word, full text, and type label. In experimental results, our proposed features show on average 78% recognition rates in function type machine learning methods, to classify the ayzam, suman, and besreg cla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