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 effect

검색결과 2,877건 처리시간 0.034초

문제중심 학습과정 개발 및 적용 효과: 자기주도학습능력,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중심으로 (Effectiveness of Developing and Applying Problem Based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ve Ability, and Problem Solving Skills of Nursing Students)

  • 박현주;변상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627-636
    • /
    • 2023
  •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이론수업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문제중심학습이 다양한 교육과정 적용에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22년 3월 1일부터 6월 7일까지였고, 연구대상자는 B광역시 소재의 일 대학 간호학과 학생 165명이었다.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이론수업은 총 14주, 1회 100분 수업으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Cronbach's α, 평균과 표준편차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간에 따른 인성교육 수업의 효과검증은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문제중심학습 방법을 적용한 이론 수업에 대한 효과를 확인한 결과,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t=-2.08, p=.039), 비판적 사고(t=-2.49, p=.014), 의사소통능력(t=-4.90, p<.001), 문제해결능력(t=-4.84, p<.001)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1학년 간호대학생에게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이 갖추어야 역량 향상과 전공만족 및 대학생활 적응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pp-기반 청자 반응 대화훈련 프로그램이 고기능 자폐스펙트럼 아동의 대화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 Novel App-based Listener Responsiveness Conversation Training Program on Enhancing Conversational Skills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 조희정;김소연
    • 감성과학
    • /
    • 제26권3호
    • /
    • pp.115-128
    • /
    • 2023
  •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App-기반 청자 대화기술 훈련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6명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스퍼거 증후군, 전반적 발달장애로 진단된 초등학생으로, 연령과 IQ, SCQ, ASSQ 점수를 사용하여 중재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짝지어 분배하였다. 중재 집단은 9주 동안 교사와의 비대면 학습을 주 1회 실시하고, 가정에서도 부모 또는 아동이 앱(App)을 활용하여 대화훈련을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다른 특별한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았다. 그리고 훈련 전과 후에 평가자와 아동 간의 1:1 대화를 수행하여 대화 자료를 수집하고, 대화차례 주고받기와 주제 운용능력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중재 집단에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청자 반응 대화훈련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가 발견되었다. 구체적으로, 중재 집단은 청자 조건에서 적절한 청자 언어 반응이 유지되었고, 통제 집단은 적절한 청자 언어 반응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화자 조건의 대화 차례 주고받기에서는 개시율과 유지율이 증가하고, 주제 운용능력에서는 적절한 주제 개시율이 증가하고, 부적절한 주제 개시율은 감소하였다. 논의에서는 청자 반응 대화훈련 프로그램이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대화 양상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중점적으로 논의하였다.

대학 서비스 품질 요소들의 대학 인게이지먼트에 관한 영향 -중국 유학생을 중심으로- (Influence of University Service Quality Factors on University Engagements -Focusing on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 김문태
    • 서비스연구
    • /
    • 제14권1호
    • /
    • pp.108-123
    • /
    • 2024
  • 현재 교육시장에서 많은 교육서비스 조직 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기에 대학들은 서비스를 개선하여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 대학의 생존 및 유학생 유치라는 현재의 당면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유학생들의 대학 서비스 품질에 대한 평가가 대학 만족과 유학생들의 대학 서비스 중 인게이지먼트를 통해서 대학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수행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대학 서비스 품질 차원들은 유학생들의 대학 만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들로 확인되었다. 서비스 품질 차원 중에서 특히 유학생 관련 지원 서비스들이 대학 만족에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유학생들의 불편을 해결해주고 자국의 학생들이 느끼지 못하는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들의 고충을 해결해주는 학교의 노력은 유학생들의 만족에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된다. 둘째, 유학생들의 수업 인게이지먼트나 교우 관계 인게이지먼트는 학교에 대한 만족을 통해서 높아질 수 있고 결국 높아진 인게이지먼트는 학교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학생들에게는 수업 적인 부분보다 더 중요한 부분이 다양한 국가의 학생들과 교우 관계를 맺고 다양한 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을 통해서 특히 학교의 충성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유학목적에 따라 모형을 따라 검증 결과 학문발전 및 더 나은 취업을 위해 유학하는 집단과 해외경험 및 이민 등을 목적으로 취업하는 집단에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해당 목적의 유학생을 표적시장으로 정한 대학교들은 서비스 관리에 다른 방법을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Cone-beam computed tomographic evaluation of mandibular incisor alveolar bone changes for the intrusion arch technique: A retrospective cohort research

  • Lin Lu;Jiaping Si;Zhikang Wang;Xiaoyan Che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79-88
    • /
    • 2024
  • Objective: Alveolar bone loss is a common adverse effect of intrusion treatment. Mandibular incisors are prone to dehiscence and fenestrations as they suffer from thinner alveolar bone thickness. Methods: Thirty skeletal class II patients treated with mandibular intrusion arch therap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Lateral cephalograms an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mages were taken before treatment (T1) and immediately after intrusion arch removal (T2) to evaluate the tooth displacement and the alveolar bone changes. Pearson's and Spearman's correlation was used to identify risk factors of alveolar bone loss during the intrusion treatment. Results: Deep overbite was successfully corrected (P < 0.05), accompanied by mandibular incisor proclination (P < 0.05).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the true incisor intrusion (P > 0.05). The labial and lingual vertical alveolar bone level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P < 0.05). The alveolar bone is thinning in the labial crestal area and lingual apical area (P < 0.05); accompanied by thickening in the labial apical area (P < 0.05). Proclined incisors, non-extraction treatment, and increased A point-nasion-B point (ANB) degre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veolar bone loss. Conclusions: While the mandibular intrusion arch effectively corrected the deep overbite, it did cause some unwanted incisor labial tipping/flaring. During the intrusion treatment, the alveolar bone underwent corresponding changes, which was thinning in the labial crestal area and thickening in the labial apical area vice versa. And increased axis change of incisors, non-extraction treatment, and increased ANB were identified as risk factors for alveolar bone loss in patients with mandibular intrusion therapy.

Small-Scale Science를 활용한 과학 실험수업이 중3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ience-Related and Scientific Attitudes in Small-Scale Science Experimental Learning on 3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 윤진녀;이지화;문성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8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SSS 실험수업이 중3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포항에 있는 중학교에서 두 학급이 선택되었고, 두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26명으로 구성된 실험집단은 SSS를 활용한 과학 실험수업에 참가하였고, 25명으로 이루어진 비교집단은 전통적 실험수업에 참여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SSS 실험수업은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과학적 태도에서 실험집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리고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과학적 태도의 하위영역에서 실험수업 전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비교집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SSS를 활용한 학급은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과학적 태도 형성에 좋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과학교과에 대한 태도와 같은 과학에 관련된 태도의 하위요소 향상이 두드러지고, 과학적 태도의 하위요소인 호기심, 비판성, 협동성, 자진성, 끈기성, 독창성이 SSS 실험수업 후에 향상된다. 그러므로 SSS 실험수업이 적용될 때 학습태도를 개선할 수 있다.

다중 표상 학습에 적용한 그리기와 쓰기에서 시각정 정보의 형태에 따른 교수 효과 (The Instructional Effect of Varying Visuals in Drawing and Writing Applied to Learning with Multiple Representations)

  • 강훈식;이성미;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67-375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물질의 입자성에 대한 개념 학습에 제공되는 다양한 외적 표상들 간의 연계와 통합을 촉진시키는 방안으로 고안된 그리기와 쓰기에서,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시각적 정보의 형태(정화상/동화상)에 따른 교수 효과를 조사하였다. 남녀공학 중학교 1학년 233명을 통제 집단, 정적 그리기(SD) 집단, 동적 그리기 (DD) 집단, 정적 쓰기(SW) 집단, 동적 쓰기(DW) 집단으로 배치한 후, '보일의 법칙'과 '샤를의 법칙'에 대하여 2차시 동안 수업을 실시하였다. 개념이해도 검사 점수에 대한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그리기(SD, DO) 집단과 쓰기(SW,DW) 집단의 점수가 통제 집단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높았다. 사각적 정보의 형태(정화상/동화상)에 따른 교수 효과를 비교한 결과, 쓰기에서는 정화상보다 동화상을 제공하였을 때 공간 시각화 능력이 낮은 학생들의 개념 이해도 검사 점수가 더 높았으며,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반면, 그리기에서는 공간시각화 능력에 관계없이 시각적 정보의 형태에 따른 개념 이해도 검사 점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수업에 대한 인식 검사 결과에서는 동화상을 사용하는 집단(DD, DW) 학생들의 대부분이 그리기나 쓰기에서 동화상을 제공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실 수업에서 초임 과학교사의 교과내용지식이 내용교수지식에 주는 영향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the effects of Subject Matter Knowledge(SMK)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of secondary beginning science teachers in classroom teaching)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11-625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수업에서 드러난 초임교사의 과학내용지식 측면의 특징을 탐구하는 것이다. 수업동영상 분석을 위한 컨설팅 협의회, 초임교사와의 면담 자료 등을 활용하여 초임교사들이 지닌 과학교과에 대한 인식 및 과학내용 지식의 특징을 추출하였다. 분석대상으로 한 수업은 중학교 3학년 일과 에너지 단원의 9차시 수업이며, 6명의 초임교사와 선배교사로 구성된 6명의 컨설팅 협의진이 차시별 수업을 교차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초임과학교사들은 실증주의적 인식론을 지니고 있으며, 교사의 권위는 내용지식을 많이 아는 데서 나온다고 생각하며, 과학 엘리트 의식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과내용지식 측면에서 초임교사의 수업의 특징을 살펴보면, 때로는 교사 자신의 오개념으로 인해 수업 중에 표현 오류가 발견되고, 교사가 내용을 많이 아는 것이 오히려 독이 되는 경우가 발견되고, 생각나는 것을 모두 언급하는 산발적 내용 전개가 발견되며, 초임이나 비전공자가 진행할 경우 수업시간이 남아도는 등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아울러 초임교사의 과학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경력교사들이 제안하는 대안을 탐색하였다. 결론에서는 과학교사의 교과내용지식(SMK)은 과학 교수활동에 영향을 주지만, 다른 교사지식에 의해 매개되므로, 초임 과학교사들의 과학내용지식(SMK)을 과학 내용교수지식(PCK)으로 전환할 수 있는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Tobacco Smoking Could Accentuate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and Th2-Type Response in Patients With Chronic Rhinosinusitis With Nasal Polyps

  • Ki-Il Lee;Younghwan Han;Jae-Sung Ryu;Seung Min In;Jong-Yeup Kim;Joong Su Park;Jong-Seok Kim;Juhye Kim;Jubin Youn;Seok-Rae Park
    • IMMUNE NETWORK
    • /
    • 제22권4호
    • /
    • pp.35.1-35.16
    • /
    • 2022
  • Tobacco smoking (TS) has been known as one of the most potent risk factors for airway inflammatory diseases. However, there has been a paucity of information regarding the immunologic alteration mediated by TS in patients with chronic rhinosinusitis with nasal polyps (CRSwNP). To identify the effect of TS, we harvested human tissue samples (never smoker: n=41, current smoker: n=22, quitter: n=23) and analyzed the expression of epithelial-derived cytokines (EDCs) such as IL-25, IL-33, and thymic stromal lymphopoietin. The expressions of Th2 cytokines and total serum IgE showed a type-2 inflammatory alteration by TS. In addition, the epithelial marker E-cadherin and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EMT)-associated markers (N-cadherin, α-SMA, and vimentin) were evaluated. Histological analysis showed that EDC expressions were upregulated in the current smoker group and downregulated in the quitter group. These expression patterns were consistent with mRNA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We also found that the local Th2 cytokine expression and IgE class switching, as well as serum IgE levels, were elevated in the current smoker group and showed normal levels in the quitter group. Furthermore, the expressions of E-cadherin decreased while those of N-cadherin, α-SMA, and vimentin increased in the current smoker group compared those in the never smoker group.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S contributes to the deterioration of pathogenesis by releasing local EDCs and Th2 cytokines, resulting in EMT in patients with CRSwNP. We verified that alterations of immunological response by TS in sinonasal epithelium can play a vital role in leading to CRSwNP.

상보적 수업을 활용한 읽기전략 훈련이 독해력, 초인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reading strategies developing through reciprocal teaching on reading comprehension, metacognition, self efficacy)

  • 김미정;은혁기
    • 초등상담연구
    • /
    • 제11권2호
    • /
    • pp.299-320
    • /
    • 2012
  • 본 연구는 상보적 수업을 활용한 읽기전략 학습상담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독해력, 초인지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소도시 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을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고, 실험집단에 5주 동안 총 10회기의 상보적 수업을 활용한 읽기전략 학습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보적 수업을 활용한 읽기전략 학습상담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독해력과 그 하위 요인인 사실적 이해와 감상적 이해 영역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상보적 수업을 활용한 읽기전략 학습상담프로그램은 초인지의 하위요인인 조정 영역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셋째, 상보적 수업을 활용한 읽기전략 학습상담프로그램은 자기효능감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새로운 읽기전략에 대한 경험과 또래집단 구성원간에 주고받는 도움과 성공 경험이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학생의 활동보고서 및 연구자의 관찰결과와 함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평가를 실시한 결과에서 초등학생들이 협동학습을 통해 학습 집단에서 공동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함께 노력하여 다른 구성원에게 도움을 주고받으며 즐겁게 참여하는 것이 긍정적인 프로그램 효과에 기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상보적 수업을 활용한 읽기전략 학습상담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독해력, 초인지,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 PDF

가정주부의 한약에 대한 지식수준과 관련요인 (Housewives' Knowledge Level of Herb Medicine and Its Related Factors)

  • 서호석;남철현;박찬우;김성진;이미경;하은필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95-95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usewives' knowledge level of herb medicine and its related factor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667 housewives from April 1, 1999 to June 30, 1999.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29.1$\%$ of the subjects was over fifties. 28.6$\%$ was primary school graduate. while 25.5$\%$ was high school graduate. In case of job, the unemployed was 67.0$\%$ and professional/clerical worker was 19.6$\%$. 82.0$\%$ had spouses and 45.7$\%$ believed in Buddha. 50.8$\%$ of the subjects lived in big cities and 76.7$\%$ was the middle class. In case of their health condition, 33.4$\%$ was in good health, while 5 1.1$\%$ suffered from certain diseases and 43.9$\%$ was not satisfied with health conditions. 2. The proportion of experience in taking herb medicine was 86.4$\%$. The marital status and health condi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experience in taking herb medicine. When the respondents took diseases, 68.0$\%$ of them were experienced in folk remedy. The variables of age and relig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experience in folk remedy. 3.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opinions of the effect of the folk remedy, 'effective' was 78.5$\%$ and 'common' was 17.6$\%$, while 'not effective' was 3.9$\%$. 59.3$\%$ of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the folk remedy had scientific basis. 4. In case of information sources on herb medicine, 59.7$\%$ of the respondents obtained the information from TV or Radio. 13.7$\%$ of them got it from magazines related to Oriental medicine and 13.3$\%$ of them obtained it from newspapers or related books. The information sourc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age and health condition. The knowledge level of herb medicine was 20.76${\pm}$2.66 point on the basis of 30 points. The knowledge level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age, occupation, health condition, information sources, experience in taking herb medicine, and opinions of scientific basis of the folk remedy. 5. The respondents marked 2.23${\pm}$0.64 points on the basis of 3.0 points in the question of the effect of taking herb medicine in summer, 2.30${\pm}$0.61 points in the ques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aking deer antlers and becoming clear-headed, 2.72${\pm}$0.56 points in the question of ginseng, 2.51${\pm}$0.56 points in the ques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aking herb medicine and being harmful to the liver, 1.94${\pm}$0.74 points in the question of taking herb medicine during the period of pregnancy, 1.84${\pm}$0.78 points in the ques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nstrual irregularity and motherwort, 2.00${\pm}$0.83 points in the ques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aking herb medicine and getting fat, 1.76${\pm}$0.89 points in the ques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sanghwatang and cold, 2.15${\pm}$0.76 points in the question of taking honey, and 1.45${\pm}$0.77 points in the question of selecting foods during the period of taking herb medicine. 6. The factors influencing decision of taking herb medicine were experience of taking herb medicine, intention of receiving treatment by folk remedy, occupation, health condition, and age. As seen in the above results, the knowledge level of taking herb medicine during the period of pregnancy, the relationship between menstrual irregularity and motherwort, Ssanghwatang, honey, and selecting foods during the period of taking herb medicine was very low.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provide community residents with basic knowledge of herb medicine. In doing so, the government, Oriental medical doctors, and associations related to herb medicine must make great effo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