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Effects of Science-Related and Scientific Attitudes in Small-Scale Science Experimental Learning on 3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Yun, Jin-nyeo (Pusan National University High School)
Lee, Ji-Hwa (Daesong Middle School)
Moon, Seong-Bae (Pusan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v.27, no.1, 2007 , pp. 1-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cience-related and scientific attitudes in Small-Scale Science (SSS) experimental learning on 3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Two classes were chosen from a middle school in Pohang and classifi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composed of twenty-six students, undergoing SSS and the other group, comparison group, composed of twenty-five students who were taught experimental learning by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The major observ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SS experimental learning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students' science-related and scientific attitudes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Also,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subcategory of science-related attitudes and scientific attitudes before and after the SSS experimental learning. Otherwi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group. In conclusion, the class using the SSS was positively influenced in forming students' science-related and scientific attitudes. In particular, the effect on subcategories of science-related attitudes such as attitude towards science are more remarkable. The SSS experimental learning helps students to enhance the subcategorial factors of scientific attitude such as their curiosity, critical thinking, cooperation, self-participation, persistence and ingenuity. The SSS experimental learning, therefore, can improve learning attitudes.
Keywords
Small-Scale Science(SSS); science-related attitudes; scientific attitud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Munby, H. (1997). Issues of Validity in Science Attitude Measure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4), 337-342   DOI   ScienceOn
2 Thompson, S. (1989). Chemtrek. New Jersey: Prentice -Hall
3 권재술, 김범기, 우종옥, 정완호, 최병순, 정진우 (2002). 과학교육론. 서울: 교육과학사
4 권치순, 박도영 (1990) 초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0(2), 39-47
5 김경란 (2003). 10학년 과학수업에서 STS적 접근이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 대학교석사학위논문
6 이미경, 김경희 (2004)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성취도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99-407
7 하병권 (1991). 과학과 과학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8 허병 (1993). 초중고 학생의 과학 빛 과학교과에 대한 태도 조사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3), 334-340
9 Gogolin, L., & Swartz, F. (1992).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quiry of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of Nonscienc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5), 487-504.   DOI
10 Klopfer, L. E. (1971). Evaluation of Learning in Science. In B. S. Bloom (Ed,), Handbook on Formative and Summative Evaluation of Student Learning. New York: McGraw-Hill
11 최돈형, 김동영, 김봉래, 김재영, 노석구, 신영준, 이 기성, 이대형, 이면우, 이명제, 이상민, 전영석 (2002) . 중학교 과학3. 서울: 대일도서
12 이경훈 (1998). 고등학생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과학 성취도와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415 425
13 이광만, 허동, 이경운, 정문호, 방태철, 이기성, 안태 근, 정상윤, 복완근, 정익현, 박병훈, 박정일, 정수도, 김 경수, 박지국, 송양호, 이전기 (2002). 중학교 과학3. 서울:지학사
14 이영미 (1997).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과학과 관련된 정의적 특성 평가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15 장상호 (1994). Polanyi: 인격적 지식의 확장. 서울: 교육과학사
16 황정규 (1991). 학교학습과 교육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17 Bradley, J. D. (1999). Experiences de Microchimie: Manuel del Enseignant. UNESCO/IUPAC-CTC., Macow: Magister Press
18 김정훈 (2005) 고등학교 화학수업에서 구조화된 동 료 교수활동이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이미경, 정은영 (2004). 학교 과학교육에서 과학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사. 한국과학교육학 회지, 24(5). 946-958
20 교육인적자원부 (2000).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서울: (주)대한교과서
21 이성묵, 채광표, 김기대, 노태훈, 정지오, 서인호, 김 병수, 김윤택, 이세영, 이문원, 권상민, 손병운 (2002). 중학교 과학3. 서울: 금성출판사
22 유미현, 윤희숙, 홍훈기 (2006). Small-Scale Chemistry (SSC) 를 적용한 고등학교 과학 수업의 효과. 대한화학회지, 50(3), 256-262   DOI
23 임청환 (1995). 국민학생과 중학생들의 과학에 관련 된 태도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2), 194-200
24 김위경, 이미숙, 이길재 (2003) . 집단유전 개념 학습 에서 귀납적 - 연역적인 수업효과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2), 190-199
25 김찬종, 김희백, 박시진, 오차환, 양재철, 정흥식, 정 진운, 조현수, 최후남, 한송희, 현종오, 홍경희 (2002). 중학교 과학3. 서울: (주)도서출판 디딤돌
26 송명석 (2001). 학습자 중심의 수엽이 영어 학업 성 취도와 자기 주도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지, 7(1), 89-111
27 심병주 (2005). 물질지도에서 Small-Scale Chemistry (SSC) 를 적용한 초등과학수업의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소현수, 안태인, 최승언, 박건식, 목창수, 김종권, 김 득호, 구수길, 박완규, 김완섭, 김영산 (2002) 중학교 과학3. 서울: 두산
29 안계원, 정영란 (1996) 중학생의 과학에 관련된 태 도, 과학성적, 과학 탐구능력, 과학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의 상관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4), 410-416
30 윤진녀 외 20명 역 (2005). Small-Scale Chemistry 중등 화학 실험서 경기도: 자유아카데미
31 정완호, 권재술, 김범기, 김성하, 백성혜, 우종옥, 이봉호, 이석형, 정진우, 최병순 (2002). 중학교 과학3 . 서 울:교학사
32 IUPAC. (2000). Report of the Education Strategy Development Committee, p.8
33 Waterman, E. L., & Thompson, S. (1995). Small-Scale Chemistry Laboratory Manual. New York: Addison-Wesley
34 교육인적자원부 (2002). 공교육의 진단 및 내실화 대책. 보도자료
35 강만식, 정창희, 이원식, 한인섭, 박은호, 이창진, 김 일회, 장병기, 정병훈, 문용, 이태욱, 한천옥 (2002). 중학교 과학3 서울: 교학사
36 Fraser, B. J. (1981). TOSRA(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Macquarie: Macquarie University Press
37 김정률, 고현덕, 김재현, 김남일, 임용우, 동효관, 김 선주, 남철주, 김영순, 이준용 (2002). 중학교 과학3 . 서울: 블랙박스
38 박봉삼, 김윤우, 흥달식, 박문수, 정대영, 김국석, 심준석, 최진복, 장정찬, 최병수, 진만식 (2002). 중학교 과학3. 서울: 동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