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 cohesivenes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6초

사회적 기술 훈련이 초등학교 아동의 학급응집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ocial Skill Training on the Class Cohesivenes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지혜영;홍종관
    • 초등상담연구
    • /
    • 제8권1호
    • /
    • pp.95-107
    • /
    • 2009
  • 본 연구는 사회적 기술 훈련이 초등학교 아동의 학급응집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은 총 12회기로 구성하여 매회 40분간 주 2회씩 5주간에 걸쳐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적용을 위해 경상북도 G시에 위치한 D초등학교 5학년 6개 반 중 2학급을 무선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가운데 한 학급은 실험집단(N=30, 남=18명, 여=12명), 다른 한 학급은 통제집단(N=29, 남=15명, 여=14명)으로 무선 할당하였으며, 총 59명(남 33명, 여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강신석(2000)이 초등학교 수준에 맞게 20문항으로 재구성한 학급응집력 검사도구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4.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동질성 여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평균의 차이, 실험집단의 전-후 검사간의 평균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설계는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이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적 기술 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학급응집력 총점 및 하위요인 점수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 는 사회적 기술 훈련이 학생들의 학급응집력(학급분위기, 상호신뢰, 사기, 일체감, 의사소통)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침을 시사해준다. 따라서 사회적 기술 훈련은 학급응집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초등학교 아동이 학급구성원들과 친밀하게 지내고 도우려는 마음을 지닐 수 있게 하는데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PDF

또래 칭찬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교우관계와 학급응집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er-Praise Activity Program on Peer-Relationship and Class Cohesivenes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최현정;김광수
    • 초등상담연구
    • /
    • 제9권1호
    • /
    • pp.95-110
    • /
    • 2010
  • 본 연구는 또래 칭찬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교우관계와 학급응집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J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 프로그램을 처치하고 사후검사와 추후검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예비 실시를 통해 미비점과 문제점을 보완하였다. 연구 결과 또래 칭찬활동프로그램을 처치한 실험집단은 교우관계와 학급응집성에서 모두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으며, 아동 소감과 연구자의 관찰에서도 이 프로그램을 통해 아동의 교우관계가 개선되고, 학급응집성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통제집단에서도 학기 초 아동의 학급생활 적응으로 인해 교우관계의 일부 하위변인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으며, 추후검사에서 실험집단 아동의 교우관계 하위변인 중 일부에서 효과가 감소한 것이 드러나기도 하였다. 학급응집성은 사후검사보다 추후검사에서 더욱 유의미하게 증가한 점으로 보아 본 연구에서 실시한 또래 칭찬활동 프로그램은 학급응집성의 증가와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교우관계를 지속적으로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의 내용 수정이나 추후지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PDF

일부 지역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학급응집력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Class Cohesivenes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Middle School Students)

  • 장은지;감신;홍남수;박기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9권4호
    • /
    • pp.230-239
    • /
    • 2014
  •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와 학급응집력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는 대구광역시에서 임의로 선정된 3개 학교의 5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설문지의 목적을 이해하고 동의한 학생들이 자기기입식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학급응집력에는 사회적 지지 중 친구지지와 교사지지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는데 친구지지와 교사지지가 높을수록 학급응집력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중학생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 점수는 총점수 81.1점이었으며 사회적 영역이 87.1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정서적 기능 점수가 73.8점으로 가장 낮았다. 학급응집력 및 사회적 지지와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은 신체적 영역은 교사지지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심리적 영역과 전체 영역은 학급응집력, 친구지지, 교사지지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연구 결과 중학생에게는 본인이 속해 있는 학급에 대한 응집력을 높일 수 있도록 친구관계, 교사-학생관계를 원만하게 하여야 할 것이며, 이들 친구지지와 교사지지는 직접적으로도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므로 사회적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의존 인스턴스 변수를 고려한 클래스 응집도 척도의 개선 (Improving Cohesion Metrics for Classes By Considering Dependent Instance Variables)

  • 채흥석;권용래;배두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1권9호
    • /
    • pp.1131-1141
    • /
    • 2004
  • 응집도는 모듈의 구성 요소들 사이의 관련성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서, 응집도가 높을수록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에 응집도의 개념을 객체지향 시스템의 클래스에 적용하기 위하여 많은 응집도 척도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응집도 척도들은 다른 인스턴스 변수의 값에 의존하는 의존 인스턴스 변수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클래스의 응집도를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응집도 평가 시 의존 인스턴스 변수에 대한 고려를 통하여 기존의 응집도 척도를 개선시킬 수 있음을 소개한다. 그리고, 의존 인스턴스의 특성을 기존의 응집도 척도에 반영한 실험을 통하여 의존 인스턴스 변수에 대한 고려의 중요성을 소개한다.

클래스 멤버 사이의 쓰기 연산을 고려한 새로운 TCC 및 LCOM 척도 (New TCC and LCOM Measures Considering the Write Operations between Class Members)

  • 우균;채흥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2권11호
    • /
    • pp.1036-1046
    • /
    • 2005
  • 응집도는 모듈의 구성 요소들 사이의 관련성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서, 응집도가 높을수록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에 응집도의 개념을 객체지향 시스템의 클래스에 적용하기 위하여 많은 응집도 척도들이 제안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클래스 멤버 간의 쓰기 의존성의 영향을 고려함으로써 기존의 응집도 척도를 개선시킬 수 있음을 소개한다. 본 논문의 기법을 지원하는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이 도구를 이용하여 C++ 클래스 라이브러리에 이 기법을 적용한 사례 결과를 소개한다.

중학생의 과학 교실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ce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s)

  • 홍미영;강남화;김주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8-79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과학 교실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남학생과 여학생, 교실 학습 환경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인식이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조사하였다. 서울시에 소재한 7개 중학교의 3학년 14학급 587명(남학생 264명, 여학생은 323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교실 학습 환경 설문 도구는 What Is Happening In this Class (WIHIC)을 사용하였다. 7개 항목 중 학생들 간의 단결, 과제 지향, 협동성, 평등성 항목에서는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내었으나, 수업 참여, 탐구 활동, 교사 지원 항목에 대한 인식은 다소 부정적이었다. 성차에 대한 과학 교실 학습 환경 인식을 보면 전체적인 결과에서는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항목별로는 학생들 간의 단결과 협동성 두 항목에서 여학생들이 평균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교실 학습 환경에 대한 선호가 낮은 집단에서는 교사 지원 항목이 과제 지향, 수업 참여, 탐구 활동 항목과 모두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었고 수업 참여-과제 지향-탐구 활동 항목들이 서로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으나, 상위 집단에서는 교사 지원과 평등성 항목만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텍스트성을 활용한 다문화 멘토링 활동에서의 수업비평 탐색 (Exploring class criticism in multicultural mentoring activities using textuality)

  • 오세경;황해영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563-57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인 멘토들의 전문성 신장과 비평적인 성찰을 유도하기 위해 다문화 멘토링 수업활동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멘토-멘티의 다문화 멘토링에서 이루어지는 전반적인 활동 내용 및 현상을 활동 텍스트로 보고, 일곱 가지의 텍스트성을 적용하여 다문화 멘토링 수업활동에 대한 방향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응결성은 멘토와 멘티가 다문화 멘토링 수업활동을 지속적으로 하기 위한 관계적인 측면을 뜻하고, 응집성은 수업활동 과정에서 파생되는 의미들이 결속되어 멘토와 멘티 모두에게 수업활동에 대한 하나의 주제나 정체성을 이루어 내는 것을 말한다. 의도성은 멘토가 멘토링 수업활동 전에 수업에 대한 의도나 목표를 갖는 것을 의미하고, 용인성은 다문화 멘토링 수업활동 과정에서 멘토가 생산한 텍스트를 멘티에 의해 받아들여질 때 수업활동 텍스트로서 의미를 가지는 것을 말한다. 정보성의 경우 수업활동 과정에서 멘토가 생산한 텍스트를 멘티가 예측가능할 때에는 정보성이 낮으며, 예측가능 정도가 낮을 경우에는 정보적인 가치가 높다는 관점이다. 상황성은 수업활동 과정에서 물리적인 텍스트 상황과 멘티의 상황에 따라 수업활동에 대한 상황성은 달라질 수 있고, 상호텍스트성은 다문화 멘토링 수업활동의 경우 멘토가 수업활동 텍스트를 새롭게 창조하여 생산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멘토의 학습경험, 동료 친구의 자문, 교육 등을 통해 수업활동 텍스트를 생산하는 것과 관련된다.

학생들의 집단주의 성향에 따른 협동학습 전략의 효과 (The Effects of a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by Level of Students' Collectivism)

  • 고한중;이은진;강석진
    • 대한화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389-397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에 적용한 STAD 협동학습 전략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학습 동기,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수업 목표 구조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학생들의 집단주의 성향 수준에 따라 조사하였다. 1개 초등학교의 6학년 2개 학급 64명의 학생들을 처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할당했다. 사전 검사로 개인-집단주의 성향 검사, 학습 동기 검사,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검사, 수업 목표 구조에 대한 인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협동학습 처치는 24차시 동안 실시하였다. 사후 검사로 학업성취도, 학습 동기,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수업 목표 구조에 대한 인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성취도에서 처치 집단 학생들의 점수가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학습 동기에서는 주의력 하위 범주에서 유의미한 적성-처치 상호작용 효과가 발견되었다.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의 경우, 응집성 범주에서는 처치 집단의 점수가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지만, 경쟁도 범주에서는 처치 집단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낮았다. 수행 지향 목표 구조에 대한 인식에서는 처치 집단의 점수가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