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rification

검색결과 380건 처리시간 0.022초

가치명료화 기법을 활용한 공직윤리 교육 콘텐츠 개발 방향 (A Way to Develop Contents for Officials Ethics Education using Value Clarification)

  • 박균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415-423
    • /
    • 2019
  • 이 연구는 가치명료화 기법을 활용한 공직윤리 교육 콘텐츠 개발의 기본적인 방향을 설정하는 데 주안을 두었다. 가치명료화 기법은 도덕성의 다양한 측면인 도덕적 감수성, 도덕적 판단력, 도덕적 동기화, 도덕적 실천력 중에서 도덕적 판단 역량을 길러주는 데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는 가치명료화 기법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 공직윤리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과 그 평가 방안 등을 개략적으로 제시한다. 이 연구는 콘텐츠 모형을 제시하는 데 주안을 두기 때문에 자체 검증 결과를 제시하지 하지는 않는다. 향후 연구에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감식초 청징화를 위한 Pectinase 처리조건의 모니터링 (Monitoring on Pectinase Treatment Conditions for Clarification of Persimmon Vinegar)

  • 정용진;이기동;이명희;여명재;이경훤;최신양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810-815
    • /
    • 1999
  • The pectinase treatment conditions for clarification of persimmon vinegar were optimized and monitored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In clarification of persimmon vinegar by pectinase treatment with variations in temperature, time and concentration,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s(R2) of the models were above 0.91(p<0.05) in turbidity, browning color intensity and tannin content. The turbidity of persimmon vinegar was decreased along with an increase of pectinase treatment temperature. The minimum value of turbidity by pectinase treatment was 0.0021(absorbance at 660nm) in 49.38oC of pectinase treatment temperature, 73.08min of pectinase treatment time and 55.57ppm of pectinase concentration. The minimum value of browning color intensity by pectinase treatment was 0.27(absorbance at 660nm) in 48.39oC, 71.74min and 65.69ppm. The minimum value of total tannin contents by pectinase treatment was 43.72mg/100 ml in 40.05oC, 66.02min and 65.26ppm. The optimum conditions of pectinase treatment that satisfies the least common multiple of turbidity, browning color and tannin content were 40~50oC, 60~70min and 55~70ppm.

  • PDF

Polygalacturonase와 젤라틴을 병용한 과실쥬스의 청징화 (Clarification of Fruit Juice by the Use of Polygalacturonase and Gelatin)

  • 허병석;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4호
    • /
    • pp.367-373
    • /
    • 1989
  • 과실 쥬스에 대한 polygalacturonase의 청징에서 gelatin 농도, 과실쥬스 pH 등의 영향을 알기 위한 연구 결과 polygalacturonase를 사용한 청징에 적당량의 gelatin을 첨가하면 효과가 큰데, 쯔가루 사과 쥬스 및 Campbell Early 포도 쥬스는 0.04%, 골드 딜리셔스 사과 쥬스 0.02%, 마그놀리아 골드 및 홍옥 사과 쥬스 0.01%, 조나골드 사과 쥬스는 0.06%가 각각 gelatin 최적 첨가 농도였다. Polygalacturonase의 pectic acid 분해 최적 pH는 4.8이나 polygalacturonase와 gelatin을 병용한 청징 최적 pH는 $3.2{\sim}3.5$였으며, gelatin 농도에 따라 청징도는 큰 차이를 보이나 점도는 별차이가 없었다. 0.01mg/ml의 polygalacturonase 농도로써 $45^{\circ}C$에서 반응시키면, 과실의 종류 및 품종에 관계없이 60분에도 잘 청징되지 않았으나, 조나 골드 사과 쥬스는 gelatin 0.06% 첨가로 30분 정도, 마그놀리아 골드 및 홍옥 사과 쥬스는 0.01% 첨가로 각각 30분, 60분 정도, 쯔가루 사과 쥬스 및 Campbell Early 포도 쥬스는 0.04% 로 첨가로 40분 정도, 골든 딜리셔스 사과 쥬스는 0.02%첨가로 40분 정도에서 각각 완전히 청징되었다.

  • PDF

좁쌀약주의 청징화 (Clarification of Foxtail Millet Wine)

  • 김효선;양영택;정용현;고정삼;강영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1-106
    • /
    • 1992
  • 제주도 전통주인 좁쌀약주를 청징화시키기 위하여 원심분리에 의한 청징화 방법, 단백효소제(papain, bromelain, ficin)에 의한 청징화 방법과 한외여과에 의한 청징화 방법들을 검토하여 좁쌀청주의 가장 효과적인 청징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원심분리에 의해서만은 혼탁물질의 완전한 제거는 불가능하였으며, 단백효소제를 이용한 경우에서는 효소농도 $5{\times}10^{-4}%(w/v)$ 작용시간 2시간, 작용온도 $35^{\circ}C$에서 매우 우수한 청징효과를 나타냈다. 효소별 청징도는 papain과 bromelain은 거의 비슷한 효과를 보였으나, ficin의 청칭력은 약간 떨어졌다. 한외여과(여과막 크기 100k와 $0.22{\mu}m$막)에 의한 청징화는 효소에 의한 최고의 청징화 수준보다 약간 우수한 청징효과를 보였으며, 효소처리에 비하여 향미성분의 손실이나 색도가 좀더 나아서 UF에 의한 청징화 방법이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법이었다.

  • PDF

인공재배 상황버섯 액상추출차 제조를 위한 최적추출 및 청징화 조건 (Optimization of Extraction and Clarification Condition for Preparation of Liquid Extract Tea from Artificially Cultivated Phellinus linteus)

  • 송효남;오세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36-641
    • /
    • 2002
  • 인공재배한 상황버섯 원료의 영양성분은 탄수화물의 함량이 80.9%로 가장 많았고, Na, K, Ca, Fe의 무기질 4종도 비교적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었으나 비타민 B$_1$, B$_2$, C와 같은 수용성비타민은 검출되지 않았다. 가장 바람직한 추출조건은 5% 농도의 원료를 10$0^{\circ}C$의 온도에서 3시간 이내에 추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물의 청정화를 위해서 depth filter pad를 이용한 여과법, 원심분리법 및 여과조제 첨가법 등을 적용한 결과 원심분리와depth filter pad를 이용했을 때 가장 우수한 청정효과를 나타내었고, 7주간 항온저장실험으로 탁도를 비교한 결과에서도 청정도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결론적으로 상황버섯 추출물은 6,000 rpm이상에서의 원심분리나 8$\mu\textrm{m}$ 이하의 pore size를 지닌 filter system을 이용할 때 청정도를 가장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었다

청징 사과주스의 제조 및 품질특성 비교 (Quality Characteristics of Clarified Apple Juices Produced by Various Methods)

  • 손경석;석은주;이준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8-143
    • /
    • 2006
  • 청징 사과주스 제조시 원심분리를 이용한 청징보다는 한외여과 또는 혼합처리에 의하여 효율적인 청징 사과주스를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심분리시 회전속도가 높고 저온에서 공정을 행할수록 청징효과가 개선되어 회전속도 증가뿐만 아니라 저온의 효과가 매우 뚜렷했다. 원심분리시 최적조건은 $5^{\circ}C$, 10,000rpm에서 10분이었다. 한외여과시 공정조건에 관계없이 청징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한외여과 최적 공정조건은 투과플럭스와 청징효과를 고려해 볼 때 온도 및 압력이 각각 $45^{\circ}C$, 150 kPa이었다. 혼합공정 후에 청징효과가 뚜렷하게 개선되지 않았는데 이는 한외여과 공정을 거치면서 이미 일정 수준의 청징이 이루어 졌음을 의미한다. 한외여과 공정의 효율성은 색도의 변화에서도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었는데 한외여과 처리된 시료의 L*값과 ${\Delta}E$는 가장 높고 반면 a*값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비교하여 볼 때 한외여과 방법이 고품질의 청징 사과주스를 제조하는데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배제액 중의 고형성분은 식이섬유 강화 주스 제조 시에 첨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가치명료화 이론을 적용한 가정과 옷차림 단원 교수 - 학습 과정안 개발 및 효과 - 상업계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the Dress Part in Home Economics by the Application of the Values Clarification Theory - Centering The Business High School -)

  • 김소라;이혜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79-95
    • /
    • 200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first to develop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the dress part in high school's Home Economics by the application of the values clarification theory then to apply it to the classroom activities. and lastly to analyze its effects. We developed the master plan for teaching and learning, and developed the 12 hour sub plans including 7 activities and learning materials. The effects of the teaching are as followings: First, When the self-esteem was compared with the whole classe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s, but a boy and a girl who were observed as not making a value-oriented life marked higher score in answering the self-esteem. Second. It was found that values clarification theory made student's degree of participation and interest higher and helped them to choose their dresses in the real life.

  • PDF

저장 사과로부터 착즙한 쥬스의 pH 조절에 의한 청징 (Clarification of the Juice Extracted from Stored Apples by pH Adjustment)

  • 김동만;이세은;김길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80-184
    • /
    • 1989
  • 저장 후지 사과로부터 착즙한 쥬스를 pH 조절방법을 이용하여 청징시 그 효과를 펙틴 분해효소 처리방법과 비교하였다. 착즙쥬스를 펙틴 분해효소 처리에 의하여 청징시켰을때 청징도는 효소의 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값을 보였지만 수확 직후 착즙하여 동량의 효소를 처리하였던 쥬스의 청징도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착즙쥬스를 pH만 조절하여 청징시켰을 때 pH를 3.5로 조절한 쥬스의 청징도는 적정 효소처리시의 경우에 비하여서도 다소 높은 값을 보였으나 기호도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 두 가지 청징방법을 병행하여 쥬스를 청징시켰을 때 착즙쥬스의 pH를 4.0으로 조절한 후 효소량을 수확 직후 착즙쥬스의 경우에 비하여 1/3인 $1{\times}10^{-3}%(w/v)$만 처리 하여도 광투과도는 92% 이상을 나타내었다.

  • PDF

에탄올에 의한 청징이 RG-Ext.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larification by Ethanol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ed Ginseng Extract)

  • 김나미;양재원;김우정;이종수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4권
    • /
    • pp.69-83
    • /
    • 1991
  • 인삼음료의 혼탁방지를 위하여 에탄올로 원료 Ext.를 청징할때 최적에탄올농도와 청징시간을 정하고자 주원료인 인삼물추출 Ext.를 10~90% 에탄올용액으로 용해 한후 $0~5^\circC$에서 1~7일간 청징하면서 각 처리구별 Ext.의 수율, 물리적특성 및 조사포닌함량과 각처리 Ext.를 첨가하여 만든 인삼음료의 침전 생성경향을 조사 하였다. 에탄올농도가 증가하고 청징시간이 길어질수록 color intensity, redness 및 점도는 감소 하였으나 투광도, lightness, yellowness는 증가하는 경향 이었다. 청징 Ext. 의 수율은 에탄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크게 감소 하였고 조사포닌함량은 증가 하였으나 90% 에탄올용액으로 7일간 청징 하였을때는 약간 감소하였다. 각 처리구별 Ext.를 첨가하여 제조한 인삼음료를$ 0~5^\circC$$40^\circC$에서 6개월간 저장하였을 때 50% 이상의 에탄올로 처리한 Ext.를 첨가한 제품이 침전생성없이 안정 하였다.

  • PDF

중학생의 소집단 자유탐구활동 중 물리 영역 탐구문제의 구성과 변인 추출 및 명료화 과정 (Middle School Students' Construction of Physics Inquiry Problems and Variables Isolation and Clarification during Small Group Open-inquiry Activities)

  • 유준희;김종숙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903-927
    • /
    • 2012
  •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도입된 자유탐구활동의 지도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중학생의 소집단 자유탐구 활동 중 물리 영역 탐구문제 구성과정을 변인의 추출 및 명료화의 관점에서 분석하였으며, 변인의 명료화가 진행되는 단계에서 학생의 어려움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 학생은 서울 소재 대학 영재원 과학반 소속 중학생 4명이며 '계란낙하'라는 하나의 주제를 가지고 13차시, 30시간동안 자유탐구활동을 진행하였다. 학생들의 탐구문제 구성에서 나타난 변인의 추출 및 명료화 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변인 추출의 수준 및 변인의 명료화 수준에 대한 분석틀을 제안하였다. 학생들은 과학적 탐구의 과정을 반복적이고 점진적으로 수행하면서 탐구문제를 5차례 변경하였다. 종속변인이 독립변인보다 먼전 추출되었으며 변인 추출의 수준 및 명료화의 수준도 높게 나타났다. 학생들은 여러 종류의 독립변인들을 외연적 수준에서 추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학생들은 이론적 설명 모형의 부재로 중요한 독립변인을 추출하는 것을 어려워하며 그 때문에 독립변인과 통제변인을 구분하지 못하는 현상도 함께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학생들은 탐구주제의 선택 뿐 만 아니라 종속변인과 독립변인의 추출 및 정의하는데 현실적 여건에 의해 제약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은 종속변인이나 독립변인을 추출하는데 있어서 모두 감각적인 현상이나 외연적 특성인 깨지는 것, 높이 등이 부각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종속변인의 이론적 정의나 조작적 정의를 하는데 있어서 해당 지식이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었으며, 그 결과 해당하는 변인의 과학 사전적 정의를 이해해도 해당 탐구상황에 적용하여 설명모형을 만들어내지는 못하였는데, 이는 이후 독립변인 및 통제 변인을 추출하는데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이론적 설명모형의 부재는 학생들의 이론적 배경에 대한 이해의 부족에서도 비롯되지만, 과학적 탐구가 시행착오적인 해보기나 무작정적인 변인사이의 관계 설정하기가 아닌 이론에 근거한 실증적 활동이라는 인식이 부족한 것에 기인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