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iddle School Students' Construction of Physics Inquiry Problems and Variables Isolation and Clarification during Small Group Open-inquiry Activities

중학생의 소집단 자유탐구활동 중 물리 영역 탐구문제의 구성과 변인 추출 및 명료화 과정

  • Received : 2012.04.10
  • Accepted : 2012.08.11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The study aimed to analyze middle school students construction of physics inquiry problems for open inquiry from the viewpoint of variable isolation and clarification, and investigate students' difficulties during the processes of variable isolation and clarification to get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small group open inquiry activities which have been included in the 2007 national curriculum. The participants were 4 students who had attended an outreach program for the science gifted run by a university institution located in Seoul area. They performed an open inquiry on egg drop for 13 lessons for 30 hours. Level descriptions for variable isolation and clarification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analyze students' inquiry problems and variables included by the problems. Students iterated inquiry processed 5 times and the inquiry problem showed progress gradually. Dependent variables have been isolated ahead and the levels of variable isolation and clarification showed higher than the independent variables. Many kinds of independent variables isolated extensively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control variables have been mingled. One of the reasons why students had some difficulties in isolation of independent variables could be the absence of theoretical models. The realities of school lab could restrict the variable isolation and clarification as well as topic selections. Some sensory or extensive variables such as broken eggs and drop height seem to be salient to be focused on as core variables. Lack of background knowledges could be one of the reasons for students' difficulties in variable clarification, such as theoretical definitions and operational definitions. As a result of lacking background knowledges, students could not construct theoretical models even though they could isolate and clarify variables as scientific lexical definitions. Some perceptions of inquiry as trial and error or reckless establishment of causal relations between variables could be accounted as one reason.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도입된 자유탐구활동의 지도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중학생의 소집단 자유탐구 활동 중 물리 영역 탐구문제 구성과정을 변인의 추출 및 명료화의 관점에서 분석하였으며, 변인의 명료화가 진행되는 단계에서 학생의 어려움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 학생은 서울 소재 대학 영재원 과학반 소속 중학생 4명이며 '계란낙하'라는 하나의 주제를 가지고 13차시, 30시간동안 자유탐구활동을 진행하였다. 학생들의 탐구문제 구성에서 나타난 변인의 추출 및 명료화 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변인 추출의 수준 및 변인의 명료화 수준에 대한 분석틀을 제안하였다. 학생들은 과학적 탐구의 과정을 반복적이고 점진적으로 수행하면서 탐구문제를 5차례 변경하였다. 종속변인이 독립변인보다 먼전 추출되었으며 변인 추출의 수준 및 명료화의 수준도 높게 나타났다. 학생들은 여러 종류의 독립변인들을 외연적 수준에서 추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학생들은 이론적 설명 모형의 부재로 중요한 독립변인을 추출하는 것을 어려워하며 그 때문에 독립변인과 통제변인을 구분하지 못하는 현상도 함께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학생들은 탐구주제의 선택 뿐 만 아니라 종속변인과 독립변인의 추출 및 정의하는데 현실적 여건에 의해 제약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은 종속변인이나 독립변인을 추출하는데 있어서 모두 감각적인 현상이나 외연적 특성인 깨지는 것, 높이 등이 부각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종속변인의 이론적 정의나 조작적 정의를 하는데 있어서 해당 지식이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었으며, 그 결과 해당하는 변인의 과학 사전적 정의를 이해해도 해당 탐구상황에 적용하여 설명모형을 만들어내지는 못하였는데, 이는 이후 독립변인 및 통제 변인을 추출하는데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이론적 설명모형의 부재는 학생들의 이론적 배경에 대한 이해의 부족에서도 비롯되지만, 과학적 탐구가 시행착오적인 해보기나 무작정적인 변인사이의 관계 설정하기가 아닌 이론에 근거한 실증적 활동이라는 인식이 부족한 것에 기인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영순 (2003). 질적연구로서 과학수업비평-수업 비평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 교육인적자원부 (2007).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3. 김재우, 오원근 (1998). 중학생의 교과서 실험 수행에서 나타난 문제점: 실험목표와 관련 변인 인식 및 인식한 목표와 도출된 결론의 관련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1), 35-42.
  4. 김재우, 오원근, 박승재 (1998).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자유 탐구보고서에 나타난 변인의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2), 297-301.
  5. 김재우 (2000). 중학생의 과학적 탐구 문제 설정과정에 대한 사례적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6. 김재우, 오원근 (2002). 중학교 1학년 상위권 학생들의 적절한 탐구 문제에 대한 생각.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2), 261-266.
  7. 박승재, 조희형 (1995). 과학학습지도. 서울: 교육과학사.
  8. 박종선, 송영욱, 김범기 (2011). 초등학생들이 선정한 자유탐구활동 주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143-152.
  9. 박종원 (2005). 학생의 과학적 탐구문제의 제안과정과 특성분석. 새물리, 50(4), 203-211.
  10. 변선주, 김현주 (2011). 자유 탐구 활동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및 자유 탐구 활동이 중학생들의 과학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210-224.
  11. 신영민, 김현경, 최병순 (2010). 학습자의 인지 수준 및 학습동기 유형에 따른 자유주제 과학탐구의 효과 및 탐구 단계별 상호작용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5). 533-543.
  12. 오필석 (2008). 지구과학자와 대학생들의 가설 형성 과정 비교 : 태풍의 이상 경로에 대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49-663.
  13. 양현주 (2005). 중학생의'개방적 탐구 계획하기' 활동에서 탐구 과정과 학생의 개념체계에 대한 사례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4. 우종옥, 이항로, 이경훈 (1992). 대학 수학 능력 시험의 자연과학 탐구 능력 평가를 위한 행동 요소의 추출과 평가 목표의 상세화 연구 II.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2), 81-95.
  15. 이상권, 백명화, 이종백, 최병순, 박종윤 (2011). '생각하는 과학'활동을 경험한 중학생들의 변인 통제 전략과 변인의 효과를 추로하는 능력에 대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1(4). 587-599.
  16. 이윤하, 강순희 (2011). 중학생들의 변인 통제 논리력과 변인 통제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1(1), 32-47.
  17. 이정원 (1999). 영릉 과학 탐방을 통한 중학생들의 문화재에 대한 개방적 탐구활동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정우경, 이준기, 오상옥 (2011). 중학교 학생들의 자유탐구활동 중 주제선정단계에서 나타난 어려움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8), 1199-1213.
  19. 전영석, 전민지 (2009). 과학 자유탐구를 지도할 때 발생하는 어려움. 서울교육대학교 한국초등교육문집, 20(1). 105-115.
  20. 채동현, 박현주, 이수영 (2003). 과학교육의 질적 접근. 북스힐.
  21. 허명(1984). 과학 탐구 평가표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2), 57-63.
  22. 황성원, 박승재 (2001). 전기와 자기에 대한 중학생들의 개방적 탐구에서 과제 유형에 따른 탐구 수행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2), 255-263.
  23. Alston, W. P. (1964). 언어 철학(곽강제 역). 서광사(원저 1964 출판).
  24. Ben-david, A., & Zohar, A. (2009). Contribution of Meta-strategic Knowledge to Scientific Inquiry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12), 1657-1682. https://doi.org/10.1080/09500690802162762
  25. Bridgman, P. W. (1927). The Logic of Modern Physics. New York: Macmillan.
  26. Chinn, C. A., & Malhotra, B. A.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Inquiry Tasks. Science Education, 86, 175-218. https://doi.org/10.1002/sce.10001
  27. Colburn, A. (2003). The lingo of learning : 88 education terms every science teacher should know.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NSTA Press.
  28. Copi, I. M., Cohen, C. & McMahon, K. (2010). Introduction to Logic(14th Edition). Prentice Hall.
  29. Gay, L. R., Mills, G. E., & Airasian, P. (2006). Educational research: competencies for analysis and applications. Pearson Merrill Prentice Hall.
  30.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 (2007) TIMSS 2007 assessment frameworks: Science cognitive domains-fourth and eighth grades. Boston college: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31. Jones, A. T., Simon, S. A., Black, P. J., Fairbrother, R. W., & Watson, J. R. (1992). Open Work in Science: Development of investigations in schools. London: Centre for Educational Studies, King's College, University of London.
  32. Kellough, R. D., Carjuzaa, J., Callahan, & J. F. (2006). Teaching in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s. Upper Saddle River, N.J. : Pearson/Merrill/Prentice Hall.
  33. Kuhn, D. & Brannock, J. (1977). Development of the Isolation of Variables Scheme in Experimental and " Natural Experiment" Contexts. Developmental Psychology, 13(1), 1, 9-14. https://doi.org/10.1037/0012-1649.13.1.9
  34. Minner, D. D., Levy, A. J., & Century, J. (2010). Inquiry-based science instruction what is it and does it matter? Results from a research synthesis years 1984 to 2002.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4), 474-496. Daphne D. Minner, Abigail Jurist Levy and Jeanne Century. https://doi.org/10.1002/tea.20347
  35.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1)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The National Academy Press. http://www.nap.edu/catalog.php?record_id=13165에서 내려받음.
  36. Okuda, S. M., Runco, M. A., & Berger, D. E. (1991). Creativity and the finding and solving of real-world problems. Journal of Psychoeducational Assessment, 9(1), 45-53. https://doi.org/10.1177/073428299100900104
  37. Park, J., & Jang, K. (2005). Analysis of the Actual Scientific Inquiries of Physicists-Focus on Research Motivation.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47(3), 401-408.
  38. Robinson, R. (1954). Definition.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39. Qualifications and Curriculum Authority (2007). Science: Programme of study for key stage 3 in the national curriculum 2007. London: Qualifications and Curriculum Development Agency.
  40. Wellington, J., & Osborne, J. (2001). Language and Literacy in Science Education.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41. Wiersma, W., & Jurs, S. G. (1995). Research methods in education : an introduction. Boston : Pearson/Allyn and Bacon
  42. Zion, M., Slezak, M., Shapira, D., Link, E., Bashan, N., & Brumer, M. (2004) Dynamic, Open Inquiry in Biology Learning. Science Education, 88, 728-753. https://doi.org/10.1002/sce.10145

Cited by

  1. Characteristics of Student Inquiry Found in Project-based Science Practices: Focusing on Theory-Evidence-Method Coordinations and Skills in Using Tools vol.35, pp.4,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4.0599
  2. Development and Effects of Open Inquiry Module by the Use of Equisetum arvense L. vol.43, pp.3, 2012, https://doi.org/10.15717/bioedu.2015.43.3.189
  3. 공통맥락 형성의 관점에서 살펴본 마찰력에 대한 소집단 토론의 특징 vol.37, pp.2,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2.0301
  4. 중등 과학교육에서 소집단을 활용한 교수학습 연구 분석 및 '소집단 연구' 방법론 고찰 vol.45, pp.3, 2012, https://doi.org/10.15717/bioedu.2017.45.3.437
  5. 고등학생의 학교 과학 탐구 활동에서 나타나는 도구발생의 특징 vol.37, pp.6, 2017,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6.971
  6. 고등학교 과제 연구 수업에서 탐구 문제 도출 과정 탐색 vol.38, pp.3,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3.319
  7.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탐구실험 교과서에 나타난 참탐구 요소 분석 vol.63, pp.3, 2012, https://doi.org/10.5012/jkcs.2019.63.3.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