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urch

검색결과 478건 처리시간 0.031초

한국 근대초기 서양 목구조의 수용과 교회 내부공간형태에 관한 연구 - 개화기와 일제강점기 교회건축의 지붕틀 구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ceptance of Western timber structure and the Interior space of Church buildings in the early modern period in Korea - Focused on the roof structure of church architecture in the Flowering and Japanese occupation period -)

  • 김정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0-17
    • /
    • 2005
  •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acceptance of Western timber structure and the interior space of church buildings in the early modern period in Korea. Timber roofs have represented a wide variety of constructional forms and have been fundamental to any technological appraisal of the evolution of both of Western and Eastern architecture. Especially the roof structure of the church buildings reflects the technological level, aesthetic sense, and spacial concepts of the age. Between Western timber structure and Korean timber structure,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not only structural form but also form of roof, members, load, frame system and etc. And there were various types of framing technique such as timber truss, timber arch, timber vault in the western style church architecture in the early modern period in Korea. I have summarized the character of the acceptance process of Western timber structure and the influences on the interior space of church buildings.

Restoration Review of the First Baptist Church in Urbana, Illinois (1838-)

  • kim, jin-ho
    • 도시과학
    • /
    • 제8권1호
    • /
    • pp.59-6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history and significance of the building and its site of First Baptist Church in Urbana, Illinois. Before the full-scale restoration work is initiated, historical confirmation of the building is necessary. Therefore, this paper examine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church through the in-depth literature review and examined the interior and exterior conditions thoroughly. Ultimately, this paper can contribute to make up the restoration work list and to determine the priority of them.

기독 청년들의 교회를 떠나고 싶은 이유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Reasons Why Christian Young Adults Want to Leave the Church)

  • 신승범;이종민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6권
    • /
    • pp.273-30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청년들의 심층적인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질적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청년들의 교회에 대한 내면적 인식과 딜레마들을 탐색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주제와 관련한 핵심적인 연구대상자들을 목적 표집하였으며, 연구대상자로 선정된 이들과 심층 면담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대상자들의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교회 내에서 신앙적 갈등과 딜레마를 경험한 청년, 둘째, 교회를 떠날 것을 고민해 본 청년, 셋째, 예전에는 신앙생활을 하였으나 현재는 교회에 출석하지 않고 있는 청년, 넷째, 한국교회 내에서 다양한 신앙활동을 수행한 경험이 있는 청년, 다섯째, 신앙생활의 연수가 5년 이상인 청년이다. 연구참여자는 모두 20~30대 교회 경험을 가진 청년 21명으로 남자 12명, 여자 9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Riessman(1993)의 분석절차에 근거하여 연구가 수행되었는데 Riessman은 '이야기하기' ⇛ '기록하기' ⇛ '분석하기'의 절차를 중심으로 연구참여자의 경험과 삶의 정황을 파악하도록 하고 있다. 질적 자료로 수집된(전사된 내용) 현장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자별 코딩 과정이 적용되어 핵심적인 현상의 주제들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한국교회 청년들이 왜 교회를 떠나는가에 대한 상황과 맥락을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으로 '개인 신앙요인, 목회자 요인, 공동체 관계 요인, 교회 문화 요인, 교회의 사회적 신뢰도 및 관례 요인'의 5가지 주제와 15가지 부제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월의 공간, 친밀의 공간, 이해의 공간, 변화의 공간, 봉사의 공간, 성찰의 공간을 청년에게 필요한 공동체로 제안한다.

초기 기독교 교회건축에서 로마 바실리카의 기독교화와 기독교 건축의 로마화에 관한 연구 - 4세기 콘스탄티누스 바실리카 교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ristianization of Roman Basilica and Romanization of Christian Building on the Early Christian Church Architecture - Focused on the 4th Century Constantinus Basilica Churches -)

  • 홍순명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151-161
    • /
    • 2013
  • This study which analyzed 4th century Constantinus basilica church architecture is on how the Roman basilica architecture became to christianized and christian architecture became romanized. Basilica architecture of Rome which has strong public characteristic had approach from various direction, especially it has formed inter communicable open space to center forum. Even though, the early christian church has became to bigger size on the process of domus ecclesia centered growth, but it has formed essencially unhierarchy community of home based, it also seemed to have loose religious community below hundred. The result of analyzing 22 of 4 century basilica churches had been shown that more than 60% of them were built on historical place such as tomb of martyr, nearly 70% of them were long axis type, the size of church showed up $3,200m^2$ of average total area. In conclusion, this study concluded the result of christianized showed closeness pursue holiness by separation from the secular world, and long axis it was revealed as mass for the procession ceremony of catholic church. The result of romanized occurred from the process that the basilica church abandoned the unhierarchy, small sizing, worship simplicity of early domus ecclesia characteristics and accept hierarchy, big sizing, worship formalism and complexity of Roman empire system in the roman basilica churches. Through this study it could be grasp that the romanized of early christianity bring not only the change of church architecture but also degeneration of christian itself.

지역사회를 위한 현대 교회의 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 본당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atial Utilities of Contemporary Church for Community -Focused on the main hall-)

  • 이종희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125-134
    • /
    • 2005
  • 현대 교회의 본당 공간은 비효율적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이 연구는 단지 예배만을 위한 공간으로 존재했던 본당 공간의 다양한 활용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지역사회를 위해 이 공간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가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지역사회를 위한 교회의 책임을 주장하는 현대 신학적 이론에도 그 근거를 두고 있다. 이 연구를 위해 360명의 성직자, 교인,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2003년 10월부터 2004년 3월까지 설문 조사를 하였다. 이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직자, 교인, 지역주민 모두는 교회가 지역 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2. 이를 위해 본당의 경우 예배 이외에 음악회, 극장, 공연장, 장례식, 결혼식 같은 문화적 기능을 감당 할 수 있는 복합적인 공간계획이 필요하다. 3. 새로이 교회가 신축되거나 증축될 때에는, 지역사회를 위한 봉사 기능과 함께 교회 시설을 최대한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고려한 건축계획이 반영되어야 한다.

  • PDF

한국교회 청년들의 교회 이동 및 신앙생활 포기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of Korean Church Youth's Church Movement and Giving Up on Christian Faith)

  • 함영주;이현철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6권
    • /
    • pp.209-24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청년들의 교회 이동과 신앙생활 포기 의향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해당 의향과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청년 사역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해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데이터는 2021년 Align Research Center for Christianity(ARCC)의 청년실태조사 데이터이며, 전국단위의 1,017명(남성, 409명, 여성 608명),이 최종 분석대상으로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분산분석, 회귀분석이 적용되었다. 한국교회 내 청년들의 교회 이동과 신앙생활 포기 의향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향후 교회 이동과 신앙생활 포기 인식에 대한 기초 통계를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주요 항목에 대한 집단별(의향 수준별) 인식의 차이, 교회 이동 및 신앙생활 포기에 대한 영향 요인을 도출할 수 있었다.

농촌지역(農村地域) 개신교회(改新敎會)의 다목적(多目的) 공간(空間) 활용(活用) 방안(方案) (A Plan of the Multi-use Space for the Rural Protestant Church)

  • 남윤철;장순우;한규영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권2호
    • /
    • pp.75-82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lan the social space for utilization in rural protestant church. Sindai church is the oldest and has rural characteristics in Chung-Ju. This model is used with the data which were obtained by the paster, believer, inhabit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 movable furnitures have merits of multi-use space in the rural protestant church. This could be possible the various functions for a flexible worship space.

  • PDF

충청지역 성공회 성당건축의 특성 (The Characteristic of Anglican Church Architecture in Chungcheong Area)

  • 이석봉;김수진;도선붕;한규영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42-6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wooden anglican church architecture in Chungcheong area. For this study, I have selected ten anglican churches, and have studied the characteristic through the actual survey and analysis. This study focuses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evolution of wooden anglican church in chungcheong area, based on the actual survey and histo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1)The shape of plan is long axis composed of the entry and altar. 2)The shape of elevation is composed of the roof form and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bell-tower. 3)The shape of section in divided into one kan and three kan way, by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a row of columns in the interior. 4)The structure and design follows roof-framing.

  • PDF

현대교회건축에서 표현되는 성막건축의 신학적 상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eological Symbolism on the Tabernacle's Expressed in Modern Church Architecture)

  • 오태주;이상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185-192
    • /
    • 2005
  • The Tabernacle was Personally designed by God and was ordered from God to Moses to build it as the first Piece of church architecture that accurately showed God's love and will of salvation towards humankind. Tabernacles, through the architecture of tabernacles teaches the Lord being among us. His Holiness and man's sins, and also reflects the path of eternity as well as the good news and salvation through Jesus Christ. And the Tabernacle is talking of the Glory of New Jerusalem that is provided Kingdom of Heaven for us at the same time being a completion of a final and ultimate church constructed long predicted through the Bible being already designed by God. The external expression of modern architecture may follow the uniqueness of that age but the special quality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symbolism of church architecture will have to consist the standards of God for He is the first, sincere designer.

안동지역(安東地域) 목조교회건축(木造敎會建築)의 형성(形成)과 특성(特性)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Wooden Church Architecture in Andong Area)

  • 김수진;도선붕;한규영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39-4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explain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wooden church architecture in Andong area from 1902 to 1975. Especially, I tri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 of wooden construction and the influence of typical form of Andong church architecture to the small church of nearby Andong rural a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e actual inspection of existing architecture through analy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