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ronobiology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6초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수면의 질 평가와 액티그라프의 역할 (Role of Actigraphy in the Estimation of Sleep Quality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이승희;이진성;정도언
    • 수면정신생리
    • /
    • 제14권2호
    • /
    • pp.86-91
    • /
    • 2007
  • 목 적:활동기록기는 활동도를 기록함으로써 수면과 각성을 판별할 수 있다. 수면다원검사와 달리 활동기록기는 싸고 간편하다. 그러나 뇌파를 포함한 여러 신호를 가지고 수면단계를 판별하는 수면다원검사와 달리 활동기록기는 기술적인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표적 수면장애인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활동기록기와 야간수면 다원검사간에 수면변수를 비교하였다. 방 법:2004년 11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수면의학센터에서 수면다원검사와 손목 활동기록법을 동시에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 89명,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과 주기성 사지운동증이 동시에 있는 환자 21명이었다. 결 과: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를 호흡장애지수(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RID)에 따라 나누어 분석했을 때 경도(RDI<15), 중등도($15{\leq}RDI$<30) 환자군 및 주기성 사지운동증을 동반한 환자군에서는 활동기록법과 수면다원검사에서 얻어진 총수면시간 및 수면효율에 차이가 없었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이 심한($30{\leq}RDI$) 환자에서 는 야간수면다원검사에 비해 활동기록법에서 얻어진 총수면시간이 유의하게 짧고 수면효율은 낮았다. 이들 모두에서 활동기록법과 야간수면다원검사에서 측정된 수면변수간에 유의한 양의 상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수면다원검사에서 얻은 총수면시간과 활동기록법에서 얻은 총수면시간의 차이와 호흡장애 지수(RDI)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수면다원검사에서 얻은 수면효율과 활동기록법에서 얻은 수면효율의 차이와 호흡장애 지수(RDI)도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심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활동기록기만으로 수면의 질을 평가해서는 안될 것이다. 경도와 중등도의 무호흡증에서는 활동기록기가 스크린 도구로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수면 중 이상 행동 장애 (Sleep-Related Behaviors during Nocturnal Sleep)

  • 이유진;정도언
    • 수면정신생리
    • /
    • 제13권1호
    • /
    • pp.11-14
    • /
    • 2006
  • Sleep-related behaviors observed in parasomnias can result in serious injuries of patients and/or spouses. Parasomnia is defined as undesirable physical or behavioral phenomenon occurring during sleep. If these disorders are accurately diagnosed, effective treatments are available. Often, these disorders can be even cured. Environmental management for patient and/or spouse safety and good sleep hygiene are the most recommended for individuals behaving abnormally during sleep.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clinical features, diagnosis and treatment of several sleep-related behavior disorders.

  • PDF

수면연구를 위한 액티그라피 정량분석 방법론 (Quantitative Analysis of Actigraphy in Sleep Research)

  • 김종원
    • 수면정신생리
    • /
    • 제23권1호
    • /
    • pp.10-15
    • /
    • 2016
  • Since its development in the early 70s, actigraphy has been widely used in sleep research and clinical sleep medicine as an assessment tool of sleep and sleep-wake cycles. The validation and reliability of actigraphic measures have been reasonably examined in healthy normal individuals with good sleep patterns. Recent literature suggests that the use of actigraphy could be further extended to monitor insomnia and circadian sleep-wake disturbances, and detect sleep changes associated with drug treatments and non-pharmacologic interventions, although it is generally recommended to use complementary assessments such as sleep diaries and overnight polysomnography when possible. The development of actigraphy includes its improved hardware sensors for better detection of movements and advanced algorithms to score sleep and wake epochs. In this paper, we briefly review the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of actigraphy and its potential applications in sleep research.

수면과 통증 (Sleep and Pain)

  • 이진성;정도언
    • 수면정신생리
    • /
    • 제19권2호
    • /
    • pp.63-67
    • /
    • 2012
  • The reciprocal interaction between sleep and pain has been reported by numerous studies. Patients with acute or chronic pain often complain of difficulty falling asleep, frequent awakenings, shorter sleep duration, unrefreshing sleep, and poor sleep quality in general. According to the majority of the experimental human studies, sleep deprivation may produce hyperalgesic changes. The selective disruption of slow wave sleep has shown this effect more consistently, while results after selective REM sleep deprivation remain unclear. Patients with chronic pain have a marked alteration of sleep structure and continuity, such as frequent sleep-stage shifts, increased nocturnal awakenings, decreased slow wave sleep (SWS), decreased rapid eye movement (REM) sleep, and alpha-delta sleep. Many analgesic medications can alter sleep architecture in a manner similar to the effects of acute and chronic pain, suppressing SWS and REM sleep.

일주기리듬의 조절이상이 양극성장애의 핵심 발병 기전일까? (Is the Circadian Rhythm Dysregulation a Core Pathogenetic Mechanism of Bipolar Disorder?)

  • 이헌정
    • 신경정신의학
    • /
    • 제57권4호
    • /
    • pp.276-286
    • /
    • 2018
  • Circadian rhythm is a periodic and continuous change in physiological, behavioral, and mental characteristics that occurs in most organisms on the Earth, because the Earth rotates in a 24-hour cycle. The circadian system regulates daily rhythms of physiology and behavior, such as the sleep/wake cycle, body temperature, hormonal secretion, and mood. The influence of circadian rhythm is very powerful, but limited research has addressed its effects. However, many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circadian dysregulation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bipolar disorder. This review study examined current and noteworthy studies, including the authors' own works, and proposes a possible clinical application of bipolar disorder based on evidence that circadian rhythm dysregulation in bipolar disorder may be a key pathogenetic mechanism.

의과대학생의 수면 양상과 성적의 관련성 (Sleep Pattern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Medical Students)

  • 신서연;이진성;정도언
    • 수면정신생리
    • /
    • 제15권2호
    • /
    • pp.87-93
    • /
    • 2008
  • 목 적:의과대학생은 수면량이 부족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국내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는 않다. 이 연구에서는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생활 습관 및 수면 양상을 알아보고 이것이 학업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방 법:서울대학교 의과대학 3학년 학생의 수면 양상을 평일과 휴일로 나누어 설문 조사하였고, 수면과 관련될 것으로 생각되는 생활 습관, PSQI와 학업 성적을 조사하였다. 총 110명(남자 85명, 여자 25명, 평균 연령 $24.4{\pm}20.6$세)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두 군간 연속변수 비교에는 독립 t-검정, 비연속변수 비교에는 $x^2$-검정, 휴일과 평일 간 비교에는 짝짓기 t-검정, 두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상관분석 그리고 세 군 이상 비교에는 ANOVA를 이용하였다(p<0.05, 양측검정). 결 과:의과대학생들에서 평일보다 휴일에 더 늦게 자고(평일 1:24;휴일 3:12;t=-5.23, p<0.01) 더 늦게 일어나며(평일 7 :38 ;휴일 10 :30 ;t=-24.48, p<0.01), 휴일 수면시간이 더 길었다(평일 5:57;휴일 8:17;t=15.94, p<0.01). 주관적인 수면의 질이 좋은 군이 좋지 않은 군에 비해 학업 성적이 더 높았다($3.35{\pm}0.52,\;3.07{\pm}0.67$, t=2.05, p<0.05). 학업 성적은 나이(r=-0.23, p<0.05), 하루 흡연량 및 총 흡연량(r=-0.78, p<0.01;r=-0.75, p<0.01), 평일 및 휴일 수면잠복시간(r=-0.23, p<0.05;r=-0.23, p<0.05) 그리고 PSQI 총점(r=-0.30, p<0.01)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 론:의과대학생들은 휴일에 비해 평일에 더 늦게 자고, 더 늦게 일어나며, 수면시간이 더 길어 평일 수면이 부족한 양상이었다. 전반적으로 주관적인 수면의 질이 좋지 않았고, 수면의 질이 안 좋은 군에서 학업 성적이 더 낮았다.

  • PDF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우울증상 정도에 따른 수면 양상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Sleep Parameters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원창연;이승희;소민아;이진성;정도언
    • 수면정신생리
    • /
    • 제14권2호
    • /
    • pp.92-98
    • /
    • 2007
  • 목 적: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흔한 질환으로, 임상적으로 우울증상이 같이 나타날 수 있다. 폐쇄성 무호흡증의 진단에는 야간 수면다원검사를 일차적으로 사용하나 현실적인 제한점으로 인하여 손목부착형 활동기록기의 보조적인 이용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남성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야간 수면다원검사 및 활동기록기를 이용하여 얻은 수면 변인들을 비교하고, 여러 수면변인과 우울 증상 간의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방 법:수면 무호흡증이 의심되어 서울대학교병원 수면의학센터에 의뢰된 264명을 일차 대상군으로 하였다. 이들에게 한국판 엡워스 졸림증 척도(Epworth sleepiness scale-Korean version, 이하 ESS-K)와 벡 우울증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이하 BDI)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손목부착형 활동기록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야간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였다. 이중에서, 다른 내외과적 질환 및 수면 장애가 없으며, 호흡장애지수가 5 이상인 남성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를 최종 대상군으로 하여, 총수면시간, 수면 효율, 입면 잠복기, 호흡장애지수 등의 수면 변인을 BDI로 산출한 우울증상 정도와 비교하였다. 결 과:연구 대상자의 연령은 평균 $46.1{\pm}13.1$세였으며, ESS-K 점수는 평균 $10.9{\pm}4.7$, BDI 점수는 평균 $12.8{\pm}8.1$로 나타났다. 야간 수면다원검사와 활동기록기로 얻어진 총 수면시간, 수면효율, 입면잠복시간 등의 수면 변수들은 야간 수면다원검사와 활동기록기 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정도를 나타내는 호흡장애지수와 BDI간에 상관관계는 없었다. 주관적인 우울증 정도가 높은 군에서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하여 총 수면시간과 수면효율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관적인 우울증 정도가 높은 군에서 주간 졸림증 정도와 호흡장애지수간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이 연구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우울증상과 수면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우울 증상과 수면 무호흡증상 간의 상관관계는 관찰하지 못하였으나, 우울감이 심한 군에서 총 수면시간과 수면 효율이 낮아 수면양상에 차이를 보였다. 또한 우울감이 심한 군에서만 주간 졸림증 정도와 호흡장애지수와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어, 주간 졸림증 등의 임상 증상을 평가하는 데 있어 우울증상의 검토가 필요하다.

  • PDF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에서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 압력 처방 검사 시 나타나는 수면분절의 감소 (Sleep Fragementation Decreases during the nCPAP Titration Night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이진성;정도언
    • 수면정신생리
    • /
    • 제15권2호
    • /
    • pp.82-86
    • /
    • 2008
  • 목 적: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수면분절과 수면구조의 변화를 초래해 야간 수면의 질을 저하시킨다. 이 연구에서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야간 수면다원검사와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 처방압력 검사 중에 나타나는 수면분절지수의 변화와 이와 관련된 요인을 비교하였다. 방 법:야간 수면다원검사 결과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되고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 처방압력 검사를 받은 환자 10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군의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였으며 기초 측정일과 양압술 시행일의 수면분절지수를 포함한 수면 변인들을 비교하였다. 두 검사 사이의 변인 비교는 짝짓기 t-test로, 수면분절지수와 수면 변인의 관계는 Pearson 상관 분석으로 하였다(p<0.05, 양측 검정). 결 과:양압술 시행 시 기초 측정일에 비하여, 1단계수면 분율(%)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렘수면 잠복시간(REM latency)은 유의하게 단축되었다. 2단계수면 분율(%), 서파수면 분율(%) 그리고 렘수면 분율(%)은 증가하였다(p<0.05). 수면분절지수는 기초 측정일 $29.0{\pm}13.8$, 양압술 시행일 $15.2{\pm}8.8$로 감소하였다(t=9.7, p<0.01). 수면분절지수와 수면효율(%) 및 총수면시간은 음의 상관관계(r=-0.60, p<0.01;r=-0.45, p<0.01)가, 호흡장애지수와는 양의 상관관계(r=0.28, p<0.01)가 있었다. 결 론:폐쇄성 수면무호흡증에서 수면분절지수는 야간수면의 분절 정도 및 질환의 중증도를 잘 반영해주고 있어 진료에 보조적인 가치가 있을 것이다.

  • PDF

일 중 수술시간이 다른 편도절제술에서 Adenosine 정주가 술 중 Remifentanil 요구량과 수술 후 통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travenous Adenosine Infusion on Intraoperative Remifentanil Requirements and Postoperative Pain in Elective Tonsillectomies Are Influenced by the Time of Day the Operation Is Performed)

  • 이철;이규창;김혜영;반종민;최은경;이명종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2권2호
    • /
    • pp.135-140
    • /
    • 2009
  • Background: The chronobiology of postoperative pain is an interesting topic.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denosine on inta-operative remifentanil requirements and on postoperative pain in patients undergoing tonsillectomies and how those effects change with changing time of day the surgery is performed. Methods: For this study, 120 patient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four groups. Patients in groups B and D received adenosine at a dose of $50{\mu}g/kg/min$, and those in group A and C received an equal volume of saline from 10 minutes after the induction of anesthesia until the end of surgery. Group A (saline) and B (adenosine) patients entered the operating room after 08:30 and finished before 11:00, Group C (saline) and D (adenosine) patients entered the operating room after 13:30 and finished before 16:00. We evaluated the intraoperative time-weighted mean remifentanil dose, and postoperative pain scores at 1, 6, 12, and 24 hours, and the analgesic dose required during the following 24 hours. Results: Time-weighted mean remifentanil doses during the intraoperative period and the analgesic requirement during the following 24 hours in group D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other groups. The numeric rating scale for pain at 1, and 6 hours in group D was significantly lower (P < 0.01) than that of group A.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ide effects among groups. Conclusions: Use of intraoperative adenosine infusion provides perioperative analgesia. Postoperative pain is affected by the time of day the operation is performed.

인체 일주기리듬의 해부학 및 생리학 (Anatomy and Physiology in Human Circadian Rhythms)

  • 손창호
    • 수면정신생리
    • /
    • 제5권1호
    • /
    • pp.1-11
    • /
    • 1998
  • Chronobiology is the area of medicine that is, how time-related event shape our daily biologic responses and apply to any aspect of medicine with regard to altering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response. In mammals, there are several evidences that prove suprachiasmatic nuclei(SCN) is the major circadian pacemaker and the circadian rhythm influences so many biological aspects of an living organism such as rest-activity, thermoregulation, reproduction, and endocrine system. In case of human beings, there had been little information of circadian system. That may be due to the experimental, technical difficulties to study but also to the fact that human has the more complex environments that may alter the circadina rhythm like the artificial light, many socio-cultural aspects and so forth. However, several reports of these days indicate human's circadian system is composed of two or more circadian oscillators and SCN is the major circadian oscillator among them like the other mammals. Free-running circadinan period of mankind is about 24 hours rather than about 25 hours, and rest-activity rhythm is polymodal like other species. In addition to that, human may have capcities to change the circadian rhythm as the seasonal changes of daynight schedule. In this article, the author will summarize recent progress of anatomy and physiology of the circadian clock mechanism in huma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