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ronobiology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18초

The Influence of Circadian Gene Per2 on Cell Damaged by Ultraviolet C

  • Liu, Yanyou;Wang, Yuhui;Jiang, Zhou;Xiao, Jing;Wang, Zhengro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9권3호
    • /
    • pp.308-314
    • /
    • 2011
  • It has been shown that circadian genes not only play an important role on circadian rhythms, but also participate in other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activities, such as drug dependence, cancer development and radiation injury. The Per2, an indispensable component of the circadian clock, not only modulates circadian oscillations, but also regulates organic function. In the present study, we applied mPER2-upregulated NIH3T3 cells to reveal the relationship of mPer2 and the cells damaged by ultraviolet C (UVC). NIH3T3 cells at the peak of the expression of mPer2 induced by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 demonstrated little damage by UVC evaluated by MTT assay, cell growth curves and cell colony-forming assay, compared with that at the nadir of the expression of mPer2. Overexpression of mPER2, accompanied p53 upregulated, also demonstrated protective effect on NIH3T3 cells damaged by UVC. These results suggest that mPer2 plays a protective effect on cells damaged by UVC, whose mechanism may be involved in upregulated p53.

의사 대상 불면증 치료 현황 조사 연구 (Survey of Insomnia Treatment Status for Doctors)

  • 최연선;이미현;최재원;김수현;김지철;이유진
    • 수면정신생리
    • /
    • 제23권2호
    • /
    • pp.77-83
    • /
    • 2016
  • 목 적 : 본 연구는 1차 및 2차, 3차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의사 1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불면증 환자의 치료 실태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총 102명의 정신건강의학과 및 타과 전공 의사들이 설문에 참여하였고, 분석에 포함된 설문조사 대상자는 100명이었다. 결 과 : 실제 치료 장면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고 있는 치료는 약물학적 치료였으며, 수면위생 교육과 인지행동 치료 등의 비약물학적 치료도 시행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약물학적 치료를 시행하더라도 그 효과에 대한 만족도는 높지 않았다. 의사가 보기에 불면증 환자들의 비약물학적 치료에 대한 관심은 일정 수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에 대한 식견이나 의식 수준은 아직 미흡한 것으로 보고되었고, 치료의 실행도 충분히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으로 의료진이 생각하는 불면증 환자의 적정 진료를 위해 요구되는 점에 대해서도 탐색하였다. 결 론 : 본 연구는, 치료적 개입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획득하지는 못했다는 점, 환자를 대상으로도 설문을 실시하지는 못했다는 점 등의 제한점을 지니고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면증 치료의 개선과 변화를 위해 필요한 현황 조사를 면밀히 실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결론적으로 다수의 의사들이 불면증의 비약물학적 치료가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진료 현실에서 적용하기 힘든 부분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불면증에 대한 적정 치료를 위해 비약물학적 치료를 위한 진료 여건 개선 및 의사대상 교육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PVDF 필름 기반 센서를 이용한 무구속적인 누운 자세 추정 (Unconstrained Estimation of Body Postures on Bed Using Polyvinylidene Fluoride Film-based Sensor)

  • 서상원;황수환;윤희남;정다운;최재원;이유진;정도언;박광석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169-176
    • /
    • 2014
  • As body postures on bed affects various sleep related diseases, it is considered as important information when monitoring sleeping in daily life. Though there have already been a few approaches to monitor body postures on bed conventionally, the development for simple and unconstrained methods is still needed to realize the long-term daily monitoring. Focusing on the fact that ballistocardiogram changes depending on the body postures on bed, we developed a novel method to estimate body posturesusing extremely simple, film-type ballistocardiogram sensor which is based on polyvinylidene fluoride(PVDF) film. With 10 subjects, we performed two experiments. One was for an estimation test to show that body postures on bed can be estimated by ballistocardiogram, and the other was for a reproducibility test to present the feasibility of ballistocardiogram based body postures monitoring. To estimate body postures on bed, we made an individual template set of body postures by designating one ballistocardiogram (BCG) sample as a template in each postures. Then, we calculate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a sample and each templates and estimated the body posture of the sample by choosing a posture which corresponds to the most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s. As a result, we estimated body postures on bed with 99.2% accuracy in average and found that the estimation using ballistocardiogram is reproducible.

수면 제품 실증을 위한 수면-각성 평가에 대한 고찰 (A Study on Sleep-Wake Assessment for Substantiation of Sleep Products)

  • 이유진;김다정;이하영
    • 수면정신생리
    • /
    • 제27권2호
    • /
    • pp.51-55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국내 수면산업의 발전을 위해 수면제품 실증의 국내외사례와 평가 방법들에 대해 리뷰해 보았다. 국외에는 실증을 위한 회사나 단체가 비교적 체계적으로 제품을 검증하려고 하고 있지만 기관에 따라 다소 다른 방법을 활용하고 있었고, 표준화된 실증가이드가 확립되지는 않고 있었다. 국내의 경우는 객관적인 실증을 포함하는 평가는 사실상 전무하였다. 수면제품 실증을 위한 수면-각성 평가의 평가는 제품 자체에 관한 전문가 평가 및 사용자의 효과성 평가가 필요할 것이며 사용자 대상 평가는 주관적, 객관적 수면-각성 평가 및 일주기 리듬 평가 방법이 활용될 수 있겠다. 보다 정확한 검증을 위해 무작위 배정법, 대조 용품 활용법, 교차실험설계 등의 디자인도 활용될 수 있다.

매트리스의 종류가 건강한 성인의 주관적, 객관적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Comparative Effects of Mattress Type on Subjective and Objective Sleep Quality : A Preliminary Study)

  • 최재원;이유진;김수현;이준기;정도언
    • 수면정신생리
    • /
    • 제23권2호
    • /
    • pp.61-67
    • /
    • 2016
  • 목 적 : 일반스프링 매트리스에 비교하여 지지력 등을 향상시킨 컨투어 코일 매트리스가 주관적 및 객관적인 수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건강하게 수면하는 일반인 대상자 15명을 모집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두 종류의 매트리스에서 잠을 자면서 야간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였고 검사 전, 후 주관적인 수면의 질에 대한 자가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한 연구대상자가 각각 다른 매트리스에서 2일에 걸쳐 야간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여 얻어진 객관적인 수면변인들과 주관적인 자가 설문지 변수들로 교차설계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야간수면다원검사에서 측정된 수면잠복기가 컨투어 코일 매트리스에서 잠을 잔 경우 일반스프링 매트리스에서 잠을 잔 경우보다 평균 1.9분 감소하였다. 이외에도 주관적으로 느낀 수면 중 각성횟수, 깊게 잠든 느낌 그리고 잠자리의 편안함이 컨투어 코일 매트리스가 유의하게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결 론 : 매트리스가 종류에 따라서 주관적인 수면의 질뿐만 아니라 객관적인 수면의 질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심전도를 이용한 서파 수면 자동 검출 알고리즘 개발 (Automatic Detection of Slow-Wave Sleep Based on Electrocardiogram)

  • 윤희남;황수환;정다운;이유진;정도언;박광석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211-218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 automatic algorithm based on electrocardiogram (ECG) to estimate slow-wave sleep (SWS). An algorithm is based on 7 indices extracted from heart rate on ECG which simultaneously recorded with standard full night polysomnography from 31 subjects. Those 7 indices were then applied to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to extract a feature that discriminates SWS and other sleep stages. Overall Cohen's kappa, accuracy,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algorithm to detect 30s epochs of SWS were 0.52, 0.87, 0.70 and 0.90, respectively. The automatic SWS detection algorithm could be useful combining with existing REM and wake estimation technique on unattended home-based sleep monitoring.

불면증 환자의 수면인식과 객관적, 주관적 수면변수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Association of Sleep Perception With Objective and Subjective Sleep Variables in Insomnia Patients)

  • 윤가희;오성민;서민철;이미현;윤소영;이유진
    • 수면정신생리
    • /
    • 제28권2호
    • /
    • pp.70-77
    • /
    • 2021
  •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불면증 환자의 주관적 수면인식과 관련 있는 임상적, 객관적 요인들을 알아보고 임상에서 불면증 환자의 이해와 평가 및 치료에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방 법 : 109명의 불면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면다원검사 결과와 자가보고 설문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주관적 수면인식은 아침자가보고 설문지의 주관적 총 수면시간(subjective total sleep time, subjective TST), 입면 잠복시간(subjective sleep onset time; subjective SOL), 각성횟수, 아침 개운함 정도로 측정하였으며, 주관적-객관적 수면차이를 계산하였다. 임상적 특징은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Epworth Sleepiness Scale (ESS)를 측정하였다. 변수들 사이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109명의 불면증 대상자(남성 = 72명, 나이 43.49 ± 15.32세)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 총 수면시간(subjective TST)은 수면다원검사에서의 입면 후 각성시간(wake after sleep onset, WASO) (p < 0.001), N1 수면(p = 0.039), PSQI (p < 0.001), BDI (p = 0.014)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수면차이는 PSQI (p = 0.018)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아침 개운함 정도는 PSQI (p = 0.019), BDI (p < 0.001)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 론 : 불면증 환자에서 주관적 수면인식은 수면다원검사의 입면 후 각성시간(WASO), N1 수면과 관련성이 있었으며, 우울감과 평소 수면의 질과 관련성이 있었다. 불면증 환자에서 다양한 객관적 수면변수, 평소 수면의 질 및 우울감이 주관적 수면인식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고려하여 환자를 평가 및 치료해야 하겠다.

피부전기활동을 이용한 실시간 깊은 수면 검출 알고리즘의 개발 (Real-time Detection of Deep Sleep using Electrodermal Activity)

  • 정다운;최상호;주광민;이유진;정도언;박광석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204-210
    • /
    • 2015
  • Although many studies hav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electrodermal activity (EDA) and sleep stages, a practical method for detecting sleep stage using EDA has not been sugges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lgorithm for real-time automatic detection of deep sleep using the EDA signal. Simultaneously with overnight polysomnography (PSG), continuous measurement of skin conductance on the fingers was performed for ten subjects. The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in the fluctuations of EDA signal were employed to establish the quantitative criteria for determining deep sleep. The 30-sec epoch-by-epoch comparison between the deep sleep detected by our method and that reported from PSG exhibited an average sensitivity of 74.6%, an average specificity of 98.0%, and an average accuracy of 96.1%. This study may address the growing need for a reliable and simple measure for identifying sleep stage without a PSG.

Protective Effect of Ginsenoside R0 on Anoxic and Oxidative Damage In vitro

  • Jiang, Zhou;Wang, Yuhui;Zhang, Xiaoyun;Peng, Tao;Li, Yanqing;Zhang, Yi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0권6호
    • /
    • pp.544-549
    • /
    • 2012
  • To examine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ginsenoside R0,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insenoside R0 in PC12 cells under an anoxic or oxidative environment with Edaravone as a control. PC12 neuroendocrine cells were used as a model target. Anoxic damage or oxidative damage in PC12 cells were induced by adding sodium dithionite or hydrogen peroxide respectively in cultured medium. Survival ratios of different groups were detected by an AlamarBlue assay. At the same time, the apoptosis of PC12 cells were determined with flow cytometry. The putative neuroprotective effects of ginsenoside R0 is thought to be exerted through enhancing the activity of antioxidant enzymes Superoxide dismutases (SOD). The activity of SOD and the level of malondialdehyde (MDA) an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protective and therapeutic effects of ginsenoside R0. Ginsenoside R0 treated cells had a higher SOD activity, lower MDA level and lower ROS, and their survival ratio was higher with a lower apoptosis rate. It is suggested that ginsenoside R0 has a protective effect in the cultured PC12 cells, and the protection efficiency is higher than Edaravone. The protective mechanisms of these two are different. The prevent ability of ginsenoside R0 is higher than its repair ability in neuroprotection in vitro.

PVDF 필름 기반 센서를 이용한 정상인 및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에서의 무구속적인 렘 수면 모니터링 (Unconstrained REM Sleep Monitoring Using Polyvinylidene Fluoride Film-Based Sensor in the Normal and the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 황수환;윤희남;정다운;서상원;이유진;정도언;박광석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5-61
    • /
    • 2014
  • In sleep monitoring system, polysomnography (PSG) is the gold-standard but previous studies revealed that attaching numerous amount of sensors disturb sleep during the test which is the fundamental disadvantage of PSG. We suggest an unconstrained rapid-eye-movement (REM) sleep monitoring method measured with polyvinylidene (PVDF) film-based sensor for the normal and the obstructive sleep apnea (OSA) patients. Nine normal subjects and seventeen OSA patients have participated in the study. During REM sleep, rate and variability of respiration are known to be greater than in other sleep stages. Based on this phenomena, respiratory signals of participants were unconstrainedly measured using the PVDF-based sensor with the PSG and REM sleep were extracted from the average rate and variability of respiration. In epoch-by-epoch REM sleep detection, proposed method classified REM sleep with an average sensitivity of 72.3%, specificity of 92.5%, accuracy of 88.9%, and kappa statistic of 0.60 compared to the results of PSG. Student's t-tes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of normal and OSA group. This method is potentially applicable to REM sleep detection in homing environment or ambulatory monito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