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32초

Identification of STAT5a Inhibitors for Breast Cancer Treatment Through In silico Approach

  • Bavya Chandrasekhar;Dona Samuel Karen;Veena Jaganivasan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3-20
    • /
    • 2024
  • Female breast cancer is the fifth highest cause of mortality. Breast cancer is the most prevalent type of cancer in women globally, while it can also affect men. STAT5A plays a role in its development and progression. Given that activation of STAT5a is frequently linked to the growth and progression of tumors, STAT5a has been identified as a possible target for the therapy of several cancers. STAT5A, in particular, has proven to be overexpressed in various breast cancer cell lines and tumors, and it has been associated to the promotion of tumour cell proliferation and survival. STAT5A inhibition has been shown in vitro and in vivo to reduce the development of breast cancer cells. As a result, we have screened compounds from the FDA database that might serve as potential inhibitors of STAT5a through virtual screening, docking, DFT and MD simulation approaches. The drug Nilotinib has shown promising results inhibiting STAT5a. Further, in-vitro analysis will be carried forward to understand the anti-cancer activity.

Oxidative Stress-Induced Apoptosis in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K562 Cells by an Active Compound from the Dithio-Carbamate Family

  • Khoshtabiat, Laya;Mahdavi, Majid;Dehghan, Gholamreza;Rashidi, Mohammad Rez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9호
    • /
    • pp.4267-4273
    • /
    • 2016
  •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at dithio-carbamates are potent apoptosis and anti-apoptosis inducing agents in various cancer cells. Here, the anti-proliferative and apoptosis inducing effects of a new derivative (2-NDC) from the dithio-carbamate family was examined in human leukemia K562 cells. We use 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MTT) to measure viability and cell growth inhibition. The 2-NDC showed effects on viability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inhibiting proliferation at concentrations of $10-30{\mu}M$ after 24-48 hours of treatment and increasing values after 72 hours at $40-120{\mu}M$. The cytotoxic effect of the compound was calculated with an $IC_{50}$ of $30{\mu}M$ after 24-hour. Apoptosis induction was confirmed by acridine orange-ethidium bromide (AO/EtBr) staining, DNA fragmentation assay, flow cytometric assessment and also caspase-3 activation assay. Furthermore, enzymes level such as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catalase (CAT) involved in oxidative stress were evalu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insignificant increase of intracellular ROS levels for 24 hours and reduction after 48-72 hours. In addition to reduction of intracellular thiol, caspase-3 like activity was also decreased in a time-dependent manner in cells treated with 2-NDC. Thus 2-NDC can be considered as a good candidate for further pharmaceutical evaluations.

백혈병 환자의 과립구 육종(녹색종양) (Granulocytic Sarcoma(Chloroma) in Leukemic Patients)

  • 이승구;강용구;박원종;정양국;이상욱;정지호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4-61
    • /
    • 2005
  • 목적: 백혈병 환자의 사지와 척추 등에 발생하는 과립구 육종(녹색종)은 매우 드물고 그 치료나 예후도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과립구 육종 20 예를 대상으로 그 발병기전, 임상적 경과와 치료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4월부터 2004년 9월까지 본 대학 혈액 종양 센터 및 정형외과학교실에서 치료한 총 2,197명의 백혈병 환자 중 척추 및 사지에 이환되었던 과립구 육종 20명(0.91%)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1-78개월(평균18개월)간 추적관찰하였다. 결과: 과립구 육종의 발생 빈도는 1998년 4월부터 2004년 9월 까지 6년 5개월 간 본 대학 혈액 종양 센터에서 가료한 급성 골수성 환자 1,331명중 15례, 만성 골수성 환자 744명중 4례, 혼합형 급성 백혈병 환자 122명중 1례가 발생하여 전체 백혈병에서의 발생율은 2,197명 중 20명이 발생하여 0.91%의 빈도를 보였다. 평균 연령은 28.3세(4~52)였고, 남자 13명, 여자 7명이었다. 단발성 병변은 11례, 다발성 병변은 9례였으며, 병변은 척추 12례, 뇌실질 5례, 사지 6례, 흉부 2례, 골반부 2례, 두개골 및 안구에 각각 1례씩 발생되었다. 과립구 육종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genous leukemia, AML)환자 15명, 만성 골수성 백혈병(chronic myelogenous leukemia, CML) 환자 4례에서 그리고 혼합형 급성 백혈병(acute biphenotype leukemia) 환자 1례 등 총 20명 환자에서 발생하였다. 백혈병의 치료 과정중 과립구 육종의 발병 시기별로는 완전 관해 되었을 때 발병한 것이 8례, 특히 이중에서 4례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이 급성 백혈병으로 재발 악화 되면서 육종이 발병하였고, 나머지 12례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의 치료 과정 중 과립구성 육종이 병발하였다. 6례에서의 조직 검사상 미성숙한 골수모세포와 림파구 등이 혼재된 전형적인 과립구 육종을 확진하였고, 과립구 육종의 치료는 전예를 백혈병의 재발 또는 진행과정에 따라 글리벡 및 스테로이드를 이용한 백혈병 자체에 대한 항암치료만을 시행하였고, 6예에서는 항암치료와 함께 과립구 육종에 대한 국소 또는 전신 방사선 치료를 병합하였다. 평균 18개월의 추시 기간 중 만성 골수성 환자의 경우는 4명 모두 사망하였고, 전체 환자는 모두12명(12/20: 60%)이 과립구성 육종의 발병이후 6.5 개월 만에 사망하였으며, 연령과 예후는 고령 발생시 더욱 불량하였다. 결론: 백혈병 환자에서 발생한 척추 및 사지의 과립구 육종의 예후는 불량하였고, 특히 만성 골수성 환자에서 발생시 예후가 더욱 불량하였으나, 급성 골수성 환자의 경우는 반드시 불량한 예후를 보이는 것은 아니여서, 백혈병 자체에 대한 적극적인 항암 치료와, 사지 과립구 육종에 대한 방사선 치료의 병합 요법이 필요하였다.

  • PDF

만성골수성백혈병 15예의 비장조사 (Splenic Irradiation in Chronic Myeologenous Leukemia)

  • 오윤경;권형철;윤세철;박용휘;김춘추;김동집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권2호
    • /
    • pp.137-144
    • /
    • 1985
  • 전신질환인 만성골수성백혈병(Chronic Myelogenous Leukemia: CML)에 있어서, 비장에만 국소적으로 방사선을 조사(Splenic Irradiation; SI)함으로써, 임상적 증상의 호전과 혈액소견상에 완해를 일으킨다는 것은 1903년대 이후로 알러져 있는 사실이다. 최근에 와서 Busulfan에 의한 화학요법이 주치료로서 도입되기 전까지는 SI가 CML치료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었다. 요즈음엔 비장의 방사선치료는 화학요법보다 그 결과가 좋지 못하지만, 통증을 동반한 비종대에서 증상의 완화를 위하거나, 가속기(accelerated phase)에 들어섰거나, 화학요법에 반응하지 않을 때 사용되고 있다. SI의 효과는 백혈구수의 감소, 헤모글로빈치의 상승등의 직접, 간접효과가 있으며 이 효과는 방사선치료를 끝낸 후에도 어느 기간 지속되며, 만족스런 반응을 보일 경우엔 반복치료도 시도되고 있다. 그리고 약물치료에 반응이 없었던 판자에서도 에로는 SI로 임상적 호전을 관찰할 수 있으며, SI전에 많은 치료를 받지 않았던 경우에 더 좋은 반응을 기대할 수 있음은 잘 알려져 있다. 가톨릭의대 방사선치료실에서는 화학요법도중 통증을 동반한 심한 비종대를 호소하거나, 화학요법에 반응이 없었던 15례의 CML환자에서 SI를 실시하였다. 저자들은 대상환자들의 SI전후의 임상적 증상, 이학적 소견 혈액학적 소견등의 변화 및 생존기간을 추적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골수이식 후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으로 발생한 폐쇄성 세기관지염에 의한 이차성 재발성 기흉 1례 (Recurrent Secondary Pneumothorax Caused by Bronchiolitis Obliterans Due to Chronic Graft Versus Host Disease in a Patient with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after Allogen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 안철민;황상연;변민광;이진형;정우영;문진욱;박무석;민유홍;김세규;장준;김성규;김혜령;김호근;김영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2호
    • /
    • pp.183-187
    • /
    • 2004
  • 저자들은 30세 남자 환자에서 골수이식 후 발생한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에 의한 폐쇄성 세기관지염으로 인하여 발병한 이차성 재발성 기흉의 임상적 진단 및 스테로이드와 면역 억제제 치료 후 호전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이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Synthesis and Antitumor Evaluation of Acyclic 1-[${\omega}$-(N^I-2-chloroethyl-N^I-nitrosoureido)alkyl]thymidine Nucleoside Analogues

  • Kim, Jack-C.;Kim, Young-Hyun;Park, Jin-Il;Kim, Seon-Hee;Choi, Soon-Kyu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259-263
    • /
    • 1997
  • In the preparation of acyclic thymidine nucleoside analogues, $K_2CO_3$(or NaH) treated thymine in DMSO was alkylated with .omega.-chloroalkyl nitrite (Cl-(CH_2)n-CN; n=1, 2, 3, 4) to provide an isomeric mixture of 1-(${\omega}$-cyanoalkyl)thymine (2a-d) and 1,3-bis(${\omega}$-cyanoalkyl)thymine in approximately 5:1 ratios. Reduction of the cyano function 2a-d with $NaBH_{4}/CoCl_{2}$ center dot$ 6H_{2}O$gave the corresponding 1-(${\omega}$aminoalkyl)thymine (3a-d). The newly formed primary amino function in 3a-d was directly reacted with 2-chloroethylisocyanate to afford the 1-[.omega.($N^{I}$-2-chloroethylureido) alkyl]thymine (4a-d) in good yields. Nitrosation of 1-[5-($ N^{I}-2$-chloroethylureido)pentyl] thymine (4d) with glacial acetic acid and dry $NaNO_{2}$-powder in anhydrous $CH_{2}Cl_{2}$gave two types of regioisomeric nitrosoureas, 1-[5-($N^{I}$--chloroethyl-$N^{I}$--nitrosoureido)pentylithymine (5d) and 1-[5-($N^{I}-2$-chloroethyl-N-nitrosoureido)pentyllthymine in approximately 5 :1 ratios. The in vitro cytotoxicity of the synthesized compounds (2a-d, 3a-d, 4a-d and 5a-d) against three cell lines (K-562, P-388 and FM-3A) are measured as $IC^{50}$ values. Compounds 3b and 4c showed moderate activities against all three cell lines, and all other compounds were found to be not active.

  • PDF

Anti-growth Effects of Imatinib and GNF5 via Regulation of Skp2 in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 Kim, Sung Hyun;Kim, Myoung-Ok;Kim, Ki-Rim
    •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23권4호
    • /
    • pp.170-175
    • /
    • 2018
  • Background: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is a common liver tumor and the main cause of cancer-related death. Tyrosine kinase inhibitors, such as imatinib and GNF5 which were developed to treat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regulate the progression of various cance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anti-tumor activity of tyrosine kinase inhibitors through regulation of S-phase kinase-associated protein 2 (Skp2), an important oncogenic factor in various cancer cells, in human hepatocarcinoma SK-HEP1 cells. Methods: Cell viability and colony formation assay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imatinib, GNF5 and GNF2 on the growth of SK-HEP1 cells. Using immunoblot analysis, we assessed change of the activation of caspases, PARP, Akt,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and Skp2/p27/p21 pathway by imatinib and GNF5 in SK-HEP1 cells. Using sh-Skp2 HCC cells, the role of Skp2 in the effects of imatinib and GNF5 was evaluated. Results: Imatinib and GNF5 significantly inhibited the growth of SK-HEP1 cells. Treatment of imatinib and GNF5 decreased Skp2 expression and Akt phosphorylation, and increased the expression of p27, p21, and active-caspases in SK-HEP1 cells. In sh-Skp2 HCC cells, cell growth and the expression of Skp2 were inhibited by more than in the mock group treated with imatinib and GNF5.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growth activity of tyrosine kinase inhibitors may be associated with the regulation of p27/p21 and caspases through Skp2 blockage in HCC cells.

디티오카르바메이트 유도체의 새로운 1,10-페난트롤린 팔라디움(II) 착물의 DNA 결합 성질 및 세포독성에 관한 연구 (DNA Binding Studies and Cytotoxicity of the Novel 1,10-phenanthroline Palladium(II) Complexes of Dithiocarbamate Derivatives)

  • Mansouri-Torshizi, Hassan;Saeidifar, Maryam;Ghasemi, Zahra Yekke;Khastan, Mahmood;Divsalar, Adeleh;Saboury, Ali Akbar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70-80
    • /
    • 2011
  • 두 종류의 새로운 팔라디움(II) 착물인 [Pd(phen)(pip-dtc)]$NO_3$와 [Pd(phen)(mor-dtc)]$NO_3$ (여기서 phen은 1,10-페난트롤린, pip-dtc은 피페리딘디티오카르바메이트 음이온, mor-dtc은 모르폴린디티오카르바메이트 음이온을 가리킨다)를 합성하고 원소분석, 분광법(FT-IR, $^1H$ NMR, UV-Vis) 및 전기전도도 측정을 이용하여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 착물들에서, 디티오카르베이트 리간드는 팔라디움 (II) 중심과 두 개의 황 원자와 이중으로 배위 결합을 하고 있다. 이 착물의 세포독성을 K562 세포주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을 때 $IC_{50}$ 값이 시스플라틴보다 작았기 때문에 착물들의 송아지 흉선 DNA(CT-DNA)와의 결합 모드를 UV 흡광도 차이와 형광 분광법으로 조사하였다. 착물들은 DNA를 변형시키고, 협동결합을 하고, DNA에 끼어 들어간다. 또한 몇 가지 결합 및 열역학적인 변수들이 기술되었다.

K562 세포의 방사선 감수성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신호전달인자 (Signal Transduction Factors on the Modulation of Radiosusceptibility in K562 Cells)

  • 양광모;윤선민;정수진;장지연;조월순;도창호;유여진;신영철;이형식;허원주;임영진;정민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1권3호
    • /
    • pp.227-237
    • /
    • 2003
  • 목적: 만성 골수성 백혈병 세포인 K562 세포주는 방사선 및 다양한 항암제에 대한 apoptosis에 저항성을 가진다. 지난 연구에서 K562 세포는 방사선에 대하여 내성반응을 보이며, 세포내 PTK의 작용을 억제하고자 방사선 조사와 함께 투여한 herbimycin A (HMA)에 의하여 방사선에 대한 apoptosis와 같은 감수성반응이 유도되는 반면, genistein에 의하여 방사선에 대한 apoptosis 반응이 저해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타이로신 인산화효소 억제에 의한 K562 세포의 방사선 반응변화를 조절하는 신호전달경로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K562 세포를 지수증식기의 세포들만 선택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방사선조사는 6 MeV 선형가속기(Clinac 1800C, Varian)를 이 용하여 $200\~300$ cGy/min 선량률로 $0.5\~12 $ Gy를 균일하게 조사하였다. HMA와 genistein은 각각 $0.25/muM,\;25\muM$을 방사선 조사 후 즉시 투여하였다. 실험에서 신호전달 경로로 abl kinase, MAPK family, NF-kB, c-fos, c-myc, thymidine kinase1 (TK1) 등에서의 단백질 또는 유전자 발현 및 활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약제 투여에 따른 유전자 발현차이(differential gene expression)를 조사하였다. 결과: Abl kinase의 발현 및 활성 변화를 조사하였으나 PTK 저해제에 의한 방사선 유도 세포사의 변화와의 연관성을 찾을 수 없었다. 세포 생존 및 사멸의 신호전달체계에서 주요 조절과정인 MAPK family의 관여 여부 확인에서 방사선으로 인한 SAPK/JNK의 활성화의 유도가 관찰되었으나, PTK 저해제에 따른 변화는 없었으며, 또한 MAPK/ERK와 p38 MAPK 활성은 모든 조건에서 변함 없이 일정하였다. 전사인자 활성화에 대한 조사에서 방사선 조사와 함께 genistein을 투여한 경우에 NF-kB활성이 증가하였다. 유전자 발현 차이의 조사에서 genistein 투여에 의한 TK 1 유전자 발현 및 단백질 활성이 증가하였다. 결론: PTK 억제에 의한 K562 세포의 방사선에 대한 반응 변화는 bcrabl kinase 활성과는 무관하게 진행되며, MAPK family 경로 외의 다른 경로를 통한 전사인자 활성화 과정이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비 AIDS 면역 결핍 환자들에서 발생한 주폐포자충 폐렴의 예후인자 (The Prognostic Indicies of Pneumocystis Carinii Pneumonia in Immunocompromised Patients other than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 박완;김유겸;이진성;안종준;홍상범;심태선;임채만;이상도;김우성;김동순;김원동;고윤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4호
    • /
    • pp.805-812
    • /
    • 1998
  • 연구배경: 주폐포자충 페렴은 면역 부전 환자들에게서 발생하는 흔한 기회감염증이다. 주폐포자충폐렴 환자의 기관지폐포 세척액에서 동반 검출되는 거대세포바이러스의 주폐포자충 폐렴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고들은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그 결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기관지폐포 세척액에서 거대세포바이러스가 동반 검출된 환자군이 포함된 주폐포자충 폐렴으로 증명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 소견을 고찰 하였다. 방 법: AIDS가 아닌 주폐포자충 폐렴이 진단된 10명의 의무기록을 분석 하였으며 흉부 단순 촬영 소견은 폐 침윤, 결절 형성, 늑막액 여부등을 조사 하였다. 각 수치는 중앙값(범위)로 표기하였고 주폐포자충 폐렴의 사망 관련 인자 분석에는 Fisher's exact test와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였다. 결 과: 기저 질환은 신 이식(n=4), 특발성 폐 섬유화증(n=1), 혈관염 (n=1), 전신성 홍반성 낭창(n=1), 뇌 종양(n=1), 만성 골수성 백혈병(n=1)과 기저질환을 모르는 환자가 1예였다. 단독으로 주폐포자충 폐렴이 있는 군과 거대세포바이러스 동반 검출 군 사이에 임상 경과의 차이는 없었으며, 기계 환기 여부(p=0.028), APACHE III 점수 (p=0.018), 혈중 알부민 농도(p=0.048)등이 주폐포자충 폐렴의 예후와 관련이 있었다. 결 론: 기관지폐포 세척액에서 거대세포바이러스가 동반 검출된 주폐포자충 폐렴 환자의 임상 경과는 비검출 환자들과 유사 하였으며 호흡 부전 동반, 고 APACHE III 점수, 부실한 영양 상태등이 주폐포자충 폐렴의 불량한 예후와 연관 되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