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olesterol biosynthesis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4초

Lovastatin biosynthesis enhanced by thiamine in Aspergillus terreus

  • 안우석;한규범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X)
    • /
    • pp.184-187
    • /
    • 2002
  • Lovastatin is a cholesterol-lowering agent, which plays a role of an inhibitor of 3-hydroxy-3- methylglutaryl coenzyme A reductase (HMG-CoA). When thiamine was supplemented in 3L batch fermentation, the production of lovastatin was improved. At the same time, the levels of pyruvic acid and NAD(P)H were estimated in the course of the fermentation of A. terreus. For the high level production of lovastatin, semi fed-batch fermentation was performed. And the thiamine level was maintained to a concentration of 20 mg/L and glucose was supplied. The final dry cell weight was lowered by 30 % and final lovastatin concentration was increased by 33 %. Final lovastatin concentration of 3.3 g/L was achieved in 8 days.

  • PDF

In vivo Anti-metastatic Action of Ginseng Protopanaxadiol saponins is Based on Their Intestinal Bacterial Metabolites After Oral Administration

  • Saiki, Ikuo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of UNESCO-internetwork Cooperative Regional Seminar and Workshop on Bioassay Guided Isolation of Bioactive Substances from Natural Products and Microbial Products
    • /
    • pp.95-98
    • /
    • 1998
  • Ginseng (the root of Panax ginseng C. A. MEYER, Araliaceae) has been used for traditional medicine in China, Korea, Japan and other Asian countries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psychiatric and neurologic diseases as well as diabetes mellitus. So far, ginseng saponins (ginsenosides) have been regarded as the principal components responsible for the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ginseng. Ginsenosides are glycosides containing an aglycone (protopanaxadiol or protopanaxatriol) with a dammarane skeleton and have been shown to possess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the enhancement of cholesterol biosynthesis, stimulation of serum protein synthesis, immuno- modulatory effects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Several studies using ginsenosides have also reported anti-tumor effects, particularly the inhibition of tumor-induced angiogenesis, tumor invasion and metastasis, and the control of phenotypic expression and differentiation of tumor cells.

  • PDF

Mevinolin Production by Monascus pilosus IFO 480 in Solid State Fermentation of Soymeal

  • Pyo, Young-Hee;Lee, Young-Chul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4호
    • /
    • pp.647-649
    • /
    • 2006
  • Mevinolin, a fungal metabolite, is a potent inhibitor of 3-hydroxy-methyl-3-glutaryl-coenzyme A (HMG-CoA) reductase, the rate-controlling enzyme in cholesterol biosynthesis. In this investigation, the optimum factors for mevinolin production by Monascus pilosus IFO 480 in soymeal fermentation were studied. The highest yield of mevinolin, 2.82 mg mevinolin per g dry weight, without citrinin (a toxic fungal secondary metabolite) was obtained after 21 days of fermentation at $30^{\circ}C$ at 65% moisture content, particle size 0.6-0.9 mm, and initial substrate pH of 6.0. Mevinolin was present in the fermentation substrate predominantly in the hydroxycarboxylate form (open lactone, 92.1-97.3%), which is currently being used as a hypocholesterolemic agent.

감귤류 플라보노이드의 생리기능 활성 (Biofunctional Activities of Citrus Flavonoids)

  • 차재영;조영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2호
    • /
    • pp.122-128
    • /
    • 2001
  • 감귤류 유래 플라보노이드인 hesperidin 및 naringin과 이들의 agIycone 형태인 hesperetin 및 naringenin의 생리기능 활성에 대하여 동물(흰쥐 및 햄스터)실험을 통한 지질대사,인체 간종양 세포주 HepG2 세포를 이용한 암세포 생육 및 지질대사, 노화와 질병의 원인이 되는 불포화 지방산의 지질 과산화 억제 작용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들 감귤류 플라보노이드는 흰쥐에서의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작용 및 햄스터에서의 중성지질 농도 저하작용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대사 기작으로서 콜레스테를 및 중성지질 합성의 중요 조절효소로 알려진 acyl-CoA: cholesterol acyltransferase(ACAT) 및 phosphatidate phosphohydrolase(PAP) 활성이 in vivo 및 in vitro 실험계에서 현저히 저해되었으며, 특히 aglycone 형태의 플라보노이드에서 그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이들 플라보노이드는 인체 간종양 세포주 HepG2 세포를 이용한 실험에서 암세포 생육 억제 및 세포내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농도를 저하시키는 효과도 인정되었다. Hesperetin은 실험적으로 유도한 간질환을 개선시켰다. 노화 및 질병의 발생과 깊이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불포화지방산 과산화 반응을 억제시키는 항산화 효과도 확인되었는데, hesperetin에서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감귤류 유래 플라보노이드는 동물의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억제작용에 의한 혈관계 질환 개선효과, 지방간을 비롯한 간질환 개선효과, 암세포 증식억제 작용, 노화 및 질병의 원인이 되는 지질 과산화 억제 작용 등 건강에 관련된 다양한 생리기능 활성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여 기능성 성분의 연구로 일정의 효과를 얻었다. 따라서 이러한 감귤류 유래의 생리활성 성분의 연구목적은 건강증진 효과를 높이는 식품의 개발과 식품 첨가물의 신규 수요를 증대시켜 국민의 건강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 PDF

페놀 화합물로부터 HMG-CoA reductase 저해 활성 물질 탐색 (Screening of Phenolic Compounds with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HMG-CoA Reductase)

  • 손건호;이주연;이정순;강삼식;손호용;권정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25-333
    • /
    • 2017
  • 심혈관계 질환은 질환별 사망률 순위에 있어서 세계에서는 1위이며, 우리나라에서는 2위인 질병이다. 심혈관계 질환 발생의 주 위험 요인인 콜레스테롤은 HMG-CoA reductase에 의해 간에서 신생합성이 조절된다. 현재 고콜레스테롤혈증 치료에 statin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광범위한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어서 이를 대체하거나 보조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의 기능성 물질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혈장 콜레스테롤 감소 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발굴하고자 71종의 페놀 및 그와 관련된 화합물들을 대상으로 10ug/ml 농도에서 HMG-CoA reductase 저해 활성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1,4-naphthoquinone의 HMG-CoA reductase 저해율이 99.4%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plumbagin 91.4%, pentagalloyl ${\beta}-D-glucose$ 46.6%, 2,4-dihydroxybenzoic acid 40.9%, shikonin 37.7%, 1,2-naphthoquinone 36.6%, trans-cinnamic acid 32.0%, acetonylgeraniin 30.2%, benzoic acid 28.5%, geraniin 28.3%, gentisic acid 22.3%의 순이었다. $IC_{50}$값을 계산한 결과, 1,4-naphthoquinone가 $2.1{\mu}g/ml$로 가장 낮았으며, plumbagin과 pentagalloyl ${\beta}-D-glucose$은 각각 $5.8{\mu}g/ml$$13.1{\mu}g/ml$으로 나타났다. 1,4-naphthoquinone과 plumbagin의 경우, $5{\mu}g/ml$에서도 각각 90.3%와 43.3%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Regulation of HMG-CoA Reductase mRNA Stability by 25-hydroxycholesterol

  • Park, Jae-Won;Oh, Seung-M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5권4호
    • /
    • pp.184-188
    • /
    • 2000
  • HMG-CoA reductase is th rate-limiting enzyme of cholesterol biosynthesis. As intracellular levels of cholesterol should be regulated elaborately in response to external stimuli an internal needs, the expression of the HMG-CoA reductase gene is regulated intricately at several different levels from transcription to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gulatory mechanism of HMG-CoA reductase gene expression at the post-transcriptional/pre-translational levels in a baby hamster kidney cell line, C100. when 25-hydroxycholesterol was added to cells cultured in medium containing 5% delipidized fetal bovine serum and 25$\mu$M lovastatin, the levels of HMG-CoA reductase mRNA decreased rapidly, which seemed to be due to the increased degradation of reductase mRNA. These suppressive effects of 25-hydroxycholesterol on MG-CoA reductase mRNA levels were blocked by a translation inhibitor, cycloheximide. Similarly, actinomycin D and 5,6-dichloro-1-$\beta$-D-ribofuranosylbenzimidazole, transcription inhibitors, blocked the 25-hydroxycholesterol-mediated degradation of HMG-CoA reductase mRN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new protein/RNA synthesis is required for the degradation of HMG-CoA reductase mRNA. In addition, data from the transfection experiments shows that cis-acting determinants, regulating the stability of reductase mRNA, were scattered in the sequence corresponding to 1766-4313 based on the sequence of Syrian hamster HMG-CoA reductase cDNA. Our data suggests that sterol-mediated destabilization of reductase mRNA might be one of the important regulatory mechanism of HMG-CoA reductase gene expression.

  • PDF

DHCR 7 유전자 돌연변이로 확진된 스미스-렘리-오피츠 증후군 1례 (A Case of Smith-Lemli-Opitz Syndrome in DHCR7 Mutation)

  • 정유주;허림;권영희;이지은;조성윤;기창석;진동규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0-65
    • /
    • 2014
  • 스미스-렘리-오피츠 증후군은 상염색체 열성유전질환으로 콜레스테롤 합성의 장애로 나타나는 질병이다. 7-dehydrochlolesterol reductase 유전자의 변이로 인하여 콜레스테롤을 합성하지 못함으로써 정신지체, 자폐증, 발육부진, 내부장기 기형, 손과 발의 기형, 면역기능 저하, 소화기 및 시력의 문제 등이 나타난다. 이 질환은 경미한 증상에서부터 치명적인 증상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진다. 저자들은 다양한 기형을 가진 환아에서 조기에 스미스-렘리-오피츠 증후군을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진단하였으며, 조기 진단 후 식이진행 및 기형에 대한 치료, 콜레스테롤을 보충 하였으며,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울금(Curcuma longa)으로부터 분리한 squalene synthase 저해물질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Squalene Synthase Inhibitor Isolated from Curcuma longa)

  • 최성원;양재성;이한승;김동섭;배동훈;유주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97-301
    • /
    • 2003
  • 동맥경화증과 같은 심혈관 질환을 야기시키는 주요 위험요인인 혈중 콜레스테롤의 수준을 낮추기 위하여 콜레스테롤 생합성 과정의 속도조절단계 효소의 하나인 squalene synth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을 분리 정제하여, 물질의 이화학적 특성과 생물학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Squalene synthase 저해물질은 acetone extraction, ethyl acetate extraction,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결정화 등을 이용하여 분리 정제하여 YUF-01을 얻었다. 기기분석을 통하여 구조분석을 행한 결과 YUF-01은 분자량 368, 분자식 $C_{20}H_{21}O_6$으로 분석되었으며 243과 421 nm 에서 UV-VIS 흡광을 나타내었고 $^{13}C$ NMR spectrum과 $^1H$ NMR spectrum을 검토하였을 때 aromatic ketone 구조인 curcuminoid 계통의 curcumin과 일치하였다. Squalene synthase에 대한 curcumin의 $IC_{50}$ 값은 $100{\mu}M$이었으며, non-competitive inhibitor로 작용하였다.

홍국균 발효 메밀에서의 rutin과 monacolin K의 함량 변화 (Content of Rutin and Monacolin K in the Red Buckwheat Fermented with Monascus ruber)

  • 강동주;엄주방;이성구;이종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42-245
    • /
    • 2003
  • 좋은 아미노산 조성의 단백질과 높은 식이섬유 함량을 비롯한 좋은 영양조성을 가지고 있어 건강기능식품의 재료로 주목을 받고 있는 메밀에는 항산화효과, 혈압강하작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rutin이라는 flavonol 배당체가 많이 함유되어 있다. 홍국의 제조에 쓰이는 Monascus속 곰팡이는 cholesterol 생합성 저해효과를 나타내는 monacolin K라는 대사산물을 생산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두가지 성분을 모두 함유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를 위해 도정메밀과 발아시킨 도정메밀을 이용한 홍국을 제조하여 두가지 성분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도정메밀의 발아에 따른 rutin 함량은 초기에 약간 감소하였으나 싹의 길이에 비례하여 증가했고, 홍국균의 증식이 메밀에 함유된 rutin 함량에는 영양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아시킨 도정메밀로 제조한 홍국의 monacolin K 함량은 발아시키지 않은 도정메밀에서 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메밀 싹 길이의 증가에 따라 monacolin K 함량은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아시킨 메밀을 이용한 홍국의 제조에서는 발아에서 오는 탄소원 및 영양분 감소가 홍국균의 증식에 영향을 주어 monacolin K의 함량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추정된다.

Lovastatin 생합성 유전자를 이용한 lovastatin 생산균주의 탐색 (Screening of lovastatin-producing strains by PCR using lovastatin biosynthesis genes)

  • 고희선;김현수
    • KSBB Journal
    • /
    • 제24권2호
    • /
    • pp.163-169
    • /
    • 2009
  • 본 연구는 Asp. terreus ATCC 20542 변이주로부터 lovastatin 생합성 유전자 중 polyketide 생합성 유전자 등을 이용한 PCR법으로 Aspergillus sp. 이외의 statin계열 물질 생산균주의 탐색법 구축 및 lovastatin 대량생산을 하고자 하였다. Lovastatin 생합성 유전자 중 가장 중요한 유전자인 polyketide synthase gene와 diketide synthase gene로부터 각각의 primer를 제작하여 PCR을 이용한 lovastatin 생산 균주를 탐색하였다. 선발된 7개의 균주의 형태학상의 특성 및 lovastatin 생산성을 검토한 결과 Aspergillus sp. 이외의 Penicillium sp.으로 추정되는 균주를 재선발하여 SJ-2로 명명하였다. 선발된 SJ-2는 액체배양 및 고체배양을 한 후 추출하여 TLC와 HPLC를 통하여 각각의 lovastatin 생산량을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SJ-2에 대두를 이용하여 lovastatin 고생산성을 확인한 결과, 대두-전배양체를 $30^{\circ}C$, 1시간동안 열처리하여 접종하여 본배양 15일째에 가장 높은 lovastatin을 생산할 수 있었다. In vitro assay 결과에서는 HMG-CoA reductase에 대한 저해활성도가 75%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lovastatin 탐색법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bioassay법이 아닌 lovastatin 생합성 유전자를 이용하여 PCR을 통한 lovastatin 생산균주의 탐색이 신속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