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hlorogenic acid

검색결과 398건 처리시간 0.036초

탈지들깨박에서 분리한 페놀화합물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Deffated Perilla Seed Flour)

  • 이기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14
    • /
    • 1993
  • 탈지들깨박으로부터 추출한 유리페놀산, 페놀산 에스터 및 불용성 결합형 페놀산 형태의 페놀화합물들의 항산화효과를 일반 시판용 합성항산화제들과 비교하였다. Chlorogenic acid를 표준물로써 비색법으로 측정한 페놀화합물들의 총함량은 0.75%였고 총페놀산중 유리페놀산, 페놀산 에스터 및 불용성 페놀산 추출물이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87.5, 7.5, 5.0%였다. 이차원 전개법에 의한 paper chromatography 성분분석 결과 유리페놀산 형태의 추출물에서는 대부분의 폐놀화합물이 chlorogenic acid와 일치하였고 소량의 caffeic acid와도 일치되었으나, 페놀산 에스터와 불용성 결합형 페놀산 형태의 추출물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30g의 탈지들깨 종자박에서 추출된 각 형태의 페놀산 추출물들은 각각의 페놀함량 차이가 큼에도 불구하고 식용대두유 기질에서 0.02%(w/w) 농도로 첨가된 BHT와 비슷한 정도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 PDF

가시오갈피 유식물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물질 (Antioxidative Compounds in Extract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 Plantlets)

  • 김명조;권용수;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94-198
    • /
    • 2005
  • 가시오갈피 유식물체의 함유성분을 밝히고, 분리된 화합물들을 대상으로 DPPH를 이용한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여 대체 약용자원으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가시오갈피 유식물체를 MeOH로 추출, 농축하고 Hexane, EtOAc 및 BuOH순으로 분획하여 얻은 각각의 분획을 대상으로 성분연구에 착수하였다. 각종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성분을 분리한 결과 EtOAc분획으로부터 1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고, BuOH 분획으로부터 1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이들 화합물에 대하여 UV, IR, Mass, $^1H-NMR$$^{13}C-NMR$ spectrum과 문헌치를 대조하여 그 구조를 동정한 결과그 구조는 각각 Chlorogenic acld (1)과 1,4-di-O-caffeoyl-quinic acid (2)이였다. DPPH (1,1-diphenyl-2-picry-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이용하여 측정한 항산화활성의 $RC_{50}$ value는 각각 1.2 및 $0.4\;{\mu}g/ml$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가시오갈피 유식물체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는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개발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Direct Inlet/MS를 이용한 잎담배중 폴리페놀 화합물의 열분해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yrolysis of Polyphenols from Tobacco by Direct Inlet/MS)

  • 박진우
    • 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23-128
    • /
    • 1982
  • Direct inlet/M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pyrolysis pathway and the pyrolyzates of tobacco polyphenols as precursor of catechol which has been known as one of the most potent co-carcinogen from cigarette smoke. Caffeic acid, catechol and quercetin, catechol were detected from the pyrolyzates of chlorogenic acid and rutin, respectively. Interrelationship between polyphenols from tobacco leaf and catechol from cigarette smoke was investigated by using HPLC and GC. These results reveal that chlorogenic acid is the most significant precursor of catechol in cigarette smoke.

  • PDF

비파 씨로부터 Tyrosinase 저해 활성물질의 분리 (A Tyrosinase Inhibitor Isolated from the Seeds of Eriobotrya japonica)

  • 김태훈;신승렬;김태완;이인철;박문영;조철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35-441
    • /
    • 2009
  • 비파 씨를 MeOH로 침지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n-hexane, EtOAc, n-BuOH 및 $H_2O$로 용매 분획하였다. 이중 tyrosinase, DPPH 및 SOD 활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EtOAc 분획에 대해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6개의 페놀성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스펙트럼 데이터 해석 및 표품과의 HPLC 직접 비교를 통하여 benzaldehyde (1), chlorogenic acid (2), caffeic acid (3), benzoic acid (4), ferulic acid (5) 및 amygdalin (6)으로 동정하였다. 이들 화합물중 benzaldehyde (1)는 125 mg/mL농도에서 tyrosinase저해활성이 70.8%로 나타나 positive control인 kojic acid의 56.3%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분리한 화합물 중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2.5 mg/mL 실험농도에서 chlorogenic acid (2)와 caffeic acid (3)가 각각 43.7, 81.5%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비파 씨의 SOD 활성물질은 chlorogenic acid (2)임을 확인하였다. 향후 이들 활성물질의 활성 기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결과는 보다 안전하고 우수한 tyrosinase 및 라디칼소거능을 가지는 새로운 선도화합물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비파 씨의 식물 화학적 성분에 대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hysicochemical quality, antioxidant compounds, and activity of 'Beta Tiny' and 'TY Nonari' cherry tomatoes during storage

  • Joung, Minji;Shin, Youngjae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63-71
    • /
    • 2021
  • In this study, a compar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between the 'Beta Tiny' and 'TY Nonari' cherry tomato cultivars harvested at the pink and red stages. Samples of the red stage were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9 days, during which physicochemical qualities, antioxidant compounds, and activities were measured. As cherry tomato ripening and storage progressed, firmness was reduced, whereas the lycopene content increased.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as ripening and storage progressed; however, total flavonoid content of 'Beta Tiny'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p<0.05). The main polyphenols in the two cultivars were identified as chlorogenic acid, rutin, and (-)-epigallocatechin gallate, among which chlorogenic acid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p<0.05) as ripening and storage progressed. A strong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 (R=0.744),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0.975). Additionally, a negative correlation was shown by lycopene and chlorogenic acid (R= -0.934).

시험관 및 생체조건하에서 니트로소프로린 생성에 미치는 수종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영향 (Influence of Some Flavonoids on N-Nitrosoproline Formation in vitro and in vivo)

  • Lee, Ji-Hyeon;Park, Jae-Sue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66-272
    • /
    • 1993
  • 우리들의 식이중에 함유되어 있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들이 니트로소화합물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체내에서 일어나는 니트로소화 과정을 아질산염, 프로린과 시료를 동시에 투여하여 생성된 니트로소프로린 함량을 시험관 및 생체조건하에서 HPLC로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잘 알려진 ascorbic acid, KSCN과 더불어 catechin, chlorogenic acid, morin, luteolin, luteolin-7-O-glucoside, naringenin 등은 아질산염 소거에는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니트로소프로린 생성에 대해서는 ascorbic acid와 chlorogenic acid를 제외한 나머지 화합물들은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오히려 그 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thyl Acetate와 Methanol을 이용한 블루베리 추출물 대사체 분석 (Metabolomic Analysis of Ethyl Acetate and Methanol Extracts of Blueberry)

  • 조영희;김수경;권다애;이홍진;최형균;어중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419-42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LC-MS/MS를 이용한 블루베리의 methanol과 ethyl acetate 추출 분획에 존재하는 대사체의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대사체 profiling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LC-MS/MS에서 검출되는 대사체를 통계 처리한 결과, methanol 추출 분획에서는 5-O-feruloylquinic acid, malvidin hexoside, malvidin-3-arabinoside, petunidin-3-arabinoside, delphinidin hexoside, delphinidin, petunidin hexoside와 같은 안토시아닌 계열의 화합물들이 존재하였고, ethyl acetate 분획에서는 chlorogenic acid, chlorogenic acid dimer, 6,8-di-C-arabinopyranosylluteolin, luteolin과 같은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대사체학 기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추출물 전체 대사물질의 profiling을 시도한 최초의 연구로서 블루베리에 함유된 유용 성분의 스크리닝 등 향후 응용 연구에 유용한 기반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rotective Effects of Chlorogenic Acid against Experimental Reflux Esophagitis in Rats

  • Kang, Jung-Woo;Lee, Sun-Mee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2권5호
    • /
    • pp.420-425
    • /
    • 2014
  • Esophageal reflux of gastric contents causes esophageal mucosal damage and inflammation. Recent studies show that oxygen-derived free radicals mediate mucosal damage in reflux esophagitis (RE). Chlorogenic acid (CGA), an ester of caffeic acid and quinic acid, is one of the most abundant polyphenols in the human diet and possesses anti-inflammatory,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this context,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GA against experimental RE in rats. RE was produced by ligating the transitional region between the forestomach and the glandular portion and covering the duodenum near the pylorus ring with a small piece of catheter. CGA (10, 30 and 100 mg/kg) and omeprazole (positive control, 10 mg/kg) were administered orally 48 h after the RE operation for 12 days. CGA reduced the severity of esophageal lesions, and this beneficial effect was confirmed by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s. CGA reduced esophageal lipid peroxidation and increased the reduced glutathione/oxidized glutathione ratio. CGA attenuated increases in the serum level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expression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2 protein. CGA alleviates RE-induced mucosal injury, and this protection is associated with reduced oxidative stress and the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CGA.

추출용매 조건에 따른 비파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유효성분의 분석법 밸리데이션 (Validation of analytical method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extract according to extraction solvent)

  • 김현희;허미라;이송미;임순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01-30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다고 알려진 비파의 잎과 이에 비하여 연구가 미흡한 비파 어린잎에 대한 항산화 활성 등 생리활성에 대한 과학적 연구 근거를 제공하여 산업적 이용 증대 및 고부가가치 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비파 잎 및 비파의 어린잎을 열수, 20% 에탄올, 80% 에탄올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 용매 조건에 따른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주요성분의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추출물의 수율이 가장 높았던 비파 잎 및 어린잎의 80% 에탄올 추출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194.7 mg QE/g 및 502.3 mg QE/g으로 장미과 식물과 비교해 보았을 때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DPPH radical 소거 활성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모든 추출물 시료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는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비파 잎의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DPPH와 ABTS radical 소거 활성 $IC_{50}$ 값이 13.9와 $10.9{\mu}g/mL$로 분석되어 비파 어린잎 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비파 잎에 함유되어 있는 페놀성 화합물 중 항산화 효능이 입증된 ellagic acid와 chlorogenic acid 성분의 표준화를 위하여 HPLC-DAD를 이용하여 chlorogenic acid와 ellagic acid의 함량분석 및 분석법에 대한 밸리데이션을 수행하여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이상의 결과 비파 잎 80% 에탄올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어 비파 잎의 산업적으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각종 가공식품 및 건강 기능성 식품 개발가치가 한층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쑥갓 스테롤배당체의 아질산염소거작용 및 SOD 유사활성 (Nitrite Scavenging Ability and SOD-like Activity of a Sterol Glucoside form Chrysanthemum coronarium L. var. spatiosum)

  • 조민정;박미정;이흠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7-82
    • /
    • 2007
  • 쑥갓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쑥갓 총 메탄올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SOD 유사활성을 가지고 있는 총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클로로포름, n-부탄올 및 물 분획물을 제조하여 각각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pH가 1.5일 때의 클로로포름 분획물의 $IC_{50}$값은 39ppm으로 가장 우수한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보였으며, vitamin C와 chlorogenic acid의 $IC_{50}$값이 15ppm과 36ppm일 때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양성대조군인 chlorogenic acid와 동등한 소거작용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하여 유의성 있게 높은 활성을 나타낸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silica gel 컬럼크로마토그래피와 sephadex LH-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획의 활성성분인 compound I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compound를 $^{1}H-NMR$$^{13}C-NMR$ spectral data를 통하여 구조를 동정한 결과 compound I은 ${\beta}-sitosterol-O-{\beta}-D-glucoside$임을 확인하였다. Compound I과 그 aglycone인 ${\beta}-sitosterol$의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SOD 유사활성은 다소 차이가 있었다.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vitamin C와 chlorogenic acid의 $IC_{50}$값이 pH 1.5에서 각각 15ppm과 36ppm일때 compound I의 $IC_{50}$값이 335ppm, ${\beta}-sitosterol$$IC_{50}$값이 41ppm으로 가수분해된 aglycone이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훨씬 높았다. SOD 유사활성의 경우 vitamin C와 chlorogenic acid의 $EC_{50}$ 값은 38ppm, 449ppm으로 이와 비교시 ${\beta}-sitosterol$과 배당체의 $EC_{50}$ 값은 1,291ppm과 2,000ppm 이상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