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mequat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8초

식물생장억제제와 Triazole계 살균제 처리에 의한 'New Guinea' 임파첸스(Impatiens hawkeri hybrida) 삽수의 발근촉진 (Rooting Promotion of 'New Guinea' Impatiens (Impatiens hawkeri hybrida) Cuttings by Treatment of Plant Growth Retardants and Triazole Fungicides)

  • 이승우;노경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6호
    • /
    • pp.823-826
    • /
    • 2000
  • 본 실험은 왜화제인 daminozide, chlormequat, hexaconazole, uniconazole, paclobutrazole과 triazole계 살균제인 diniconazole, myclobutanil, difenoconazole, tebuconazole, bitertanol 등이 'New Guinea' 임파첸스의 삽수발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왜화제 처리에 의한 부정근의 형성은 'Papete'와 'Anguilla'에서 daminozide를 제외한 모든 약제에서 촉진되었으며 hexaconazole, uniconazole과 paclobutrazole 처리에서 chlormequat보다 더 많은 부정근이 형성되었다. 최장근의 길이와 근권은 'Papete'에서 chlormequat, hexaconazole, uniconazole 및 pac1obutrazol의 비교적 높은 농도에서 감소되었으나 'Anguilla' 품종에서는 차이가 적었다. 한편, triazole계 살균제처리에 의한 부정근의 형성은 'Papete'와 'Martinique' 품종에서 현저하게 촉진되었으며 'Pagopago'에서는 큰 영향이 없었다. 최장근의 길이와 근권은 'Martinique'와 'Pagopago'에서 'Papete'에 비하여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발근촉진을 위하여 triazole계 살균제들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 PDF

스프레이국화의 상품성 향상을 위한 생장억제제의 효과 (Effects of Plant Growth Retardants on Producing High Quality of Spray Chrysanthemum)

  • 권민경;김현석;한윤열;정상환;최부술;상채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4호
    • /
    • pp.564-567
    • /
    • 2001
  • 본 실험은 수출용 스프레이국화의 소화경장 단축에 의한 상품성 향상을 목적으로 적정 생장억제제의 종류 및 처리농도를 알고자 수행하였다. 비아리쯔 품종, 바이킹 품종에서 초장이 daminozide와 chlormequat 처리 시 농도가 높을수록 다소 줄어드는 경향이 있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비아리쯔 품종에서는 소화경장이 daminozide $1500mg{\cdot}L^{-1}$ 농도에서 무처리에 비해 26.7% 왜화효과를 나타내었고, 바이킹 품종은 daminozide $1500mg{\cdot}L^{-1}$ 농도에서 33.6% 단축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두 품종 모두 chlormequat 처리에서는 소화경장의 단축효과가 없었다. 비아리쯔 품종에서는 daminozide 살포시 개화기가 3일 정도 지연되었으나 바이킹 품종은 daminozide와 chlormequat 처리에서 개화소요일수가 무처리와 동일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Simultaneous Analytical Method for Diquat, Paraquat and Chlormequat in Animal Products Using UPLC-MS/MS

  • Cho, Il Kyu;Rahman, Md. Musfiqur;Seol, Jae Ung;Noh, Hyun Ho;Jo, Hyeong-Wook;Moon, Joon-Kwan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68-374
    • /
    • 2020
  • BACKGROUND: The residual analysis of polar pesticides has remained a challenge. It is even more difficult to simultaneously analyze multiple polar pesticides. Diquat, paraquat, and chlormequat are typical examples of highly polar pesticides. The existing methods for the analysis of diquat, paraquat and chlormequat are complex and time consuming. Therefore, a simple, quick and effective method was developed in the represent study for simultaneous analysis of diquat, paraquat and chlormequat in animal products, meat and fat using UPLC-MS/MS. METHODS AND RESULTS: Sample extraction was carried out using acidified acetonitrile and water and re- extracted with acidified acetonitrile and combine the extracts followed by centrifugation. The extract was then cleaned up with a HLB cartridge after reconstitution with acidic acetonitrile and water. The method was validated in quintuplicate at three different concentrations. The limits of detection (LOD) and quantification (LOQ) were 0.0015 and 0.005 mg/L, respectively. Matrix suppression effect was observed for all of the analytes. A seven point matrix matched calibration curve was constructed for each of the compound resulted excellent linearity with determination coefficients (R2) ≥ 0.991. Accuracy and precision of the method was calculated from the recovery and repeatability and ranged from 62.4 to 119.7% with relative standard deviation less than 18.8%. CONCLUSION: The recovery and repeatability of the developed method were in the acceptable range according to the Codex Alimentarius guideline. The developed method can be applied for the routine monitoring of diquat, paraquat, and chlormequat in animal products, meat and fat.

백일홍의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식물생장억제제의 침종 및 경엽살포의 영향 (Effect of Seed Soaking and Foliar Spray of Plant Growth Retardants on Growth and Flowering in Zinnia elegans)

  • 이승우;안성은;김영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4호
    • /
    • pp.574-578
    • /
    • 2001
  • 본 실험은 왜화제 daminozide, chlormequat, uniconazole의 침종처리(8시간, 24시간)와 경엽살포가 백일홍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침종처리의 경우 'Dream Land Rose'의 초장의 변화는 침종시간에 따른 차이가 없이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왜화효과가 크게 나타났고, 특히 uniconazole $125mg{\cdot}L^{-1}$에서 큰 왜화효과를 보였다. 개화소요일수는 모든 약제처리에서 단축되었다. 'Dream Land Scarlet'의 초장은 8시간 침종에 비하여 24시간 침종에서 왜화효과가 컸으며 uniconazole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개화소요일수도 약제처리에 의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경엽살포처리에서는 'Dream Land Rose'와 'Dream Land Scar1et'모두 초장이 uniconazole 고농도에서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개화소요일수는 chlormequat과 uniconazole 처리에서 단축되었다. Daminozide는 설상화수를 크게 감소시켰다.

  • PDF

Effect of Application Method and Concentration of Plant Growth Retardants On Plant Quality of Potted Saxifraga rosacea Moench

  • Park, Yeon Hee;Kim, Yoon Jin;Jung, Hyun Hwan;Kim, Ki Sun
    • 화훼연구
    • /
    • 제19권3호
    • /
    • pp.127-138
    • /
    • 2011
  • 운간초의 분화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Kumoma'와 'Kumoma-Gusa' 두 품종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식물생장억제제 (PGRs) 4종을 처리하였다. 식물생장억제제 종류와 처리농도는 paclobutrazol (10, 20, 40, $80mg{\cdot}L^{-1}$), flurprimidol (5, 10, 20, $40mg{\cdot}L^{-1}$), daminozide (500, 1000, 2000, $4000mg{\cdot}L^{-1}$), chlormequat (50, 100, 200, $400mg{\cdot}L^{-1}$)이고 엽면살포와 토양관주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Paclobutrazol $40mg{\cdot}L^{-1}$ 처리는 운간초의 두 품종에서 초장과 화경장을 줄이는데 효과적이었다. 'Kumoma' 품종에서, paclobutrazol $40mg{\cdot}L^{-1}$ 엽면살포와 토양관주 처리방법은 초장을 각각 12.6, 12.5 cm로, 화경장은 3.4, 3.3 cm로 줄일 수 있었다. 'Kumoma-Gusa' 품종에서는 paclobutrazol 토양관주는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초장은 13.2-10.7 cm, 화경장은 3.9-2.0 cm까지 줄일 수 있었지만 꽃의 수는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현저하게 감소하여서 20개까지 감소하였다. Flurprimidol $20mg{\cdot}L^{-1}$ 스프레이와 토양관주 처리는 두 품종 모두 초장과 화경장을 줄일 수 있었다. 'Kumoma' 품종에서 flurprimidol $10mg{\cdot}L^{-1}$ 스프레이 또는 토양관주 처리는 개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고 대조구와 비교해 꽃의 수는 44.7개 이상, 출하 일수는 5일 정도 빨리 출하 할 수 있었다. 'Kumoma-Gusa' 품종에서 PGRs처리에 의한 초장과 화경장 억제효과가 가장 큰 것은 paclobutrazol $80mg{\cdot}L^{-1}$과 flurprimidol $40mg{\cdot}L^{-1}$ 이었고 paclobutrazol과 flurprimidol 스프레이와 토양관주 처리에서 각각, 초장은 10.7, 9.9 cm, 화경장은 2.0, 1.5 cm 로 생장 억제효과가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flurprimidol $40mg{\cdot}L^{-1}$ 토양관주 처리에서 출하일수는 농도에 따라 3-13일 정도 대조구보다 늦어졌고 꽃의 수는 15.6개로 가장 적은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두 품종 모두에서 daminozide 처리는 초장과 화경장이 줄어들지 않았지만 'Kumoma' 품종에서는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꽃의 수가 증가하였다. Chlormequat 처리는 paclobutrazol 과 flurprimidol 처리와 비교했을 때 화경장 감소효과는 작았고 처리 식물의 잎은 다른 처리에 비해 연한 녹색을 보여주었다. 두 품종 모두에서 chlormequat 과 daminozide 처리는 생육과 개화 품질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주지는 않았지만 꽃의 수는 모든 처리농도에서 41개 이상을 보여주었고, 'Kumoma-Gusa' 품종에 chlormequat 토양관주 처리는 최대 꽃의 수 63개를 볼 수 있었다. 이번 결과들은 paclobutrazol 과 flurprimidol 처리가 운간초 분화의 품질 향상을 위한 화경장의 생육을 조절하는 생장억제제로서 사용 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고, 'Kumoma' 품종에서는 paclobutrazol $40mg{\cdot}L^{-1}$ 스프레이는 생육특성을, flurprimidol $10mg{\cdot}L^{-1}$ 토양관주 방법은 개화관련 특성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생장억제제의 농도로 추천 될 수 있고, 'Kumoma-Gusa' 품종에서는 flurprimidol $20mg{\cdot}L^{-1}$ 스프레이와 flurprimidol $5mg{\cdot}L^{-1}$ 토양관주 방법이 운간초 분화의 생육특성과 개화품질을 향상시키는 생장억제제의 농도로 추천 될 수 있다.

식물생장억제제와 Triazole계 살균제 처리에 의한 'New Guinea' 임파첸스(Impafiens hawkeri hybrida)의 생육조절 (Growth Control in 'New Guinea' Impatiens (Impatiens hawkeri hybrida) by Treatments of Plant Growth Retardants and Triazole Fungicides)

  • 이승우;노경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6호
    • /
    • pp.827-833
    • /
    • 2000
  • 본 실험은 왜화제인 daminozide, chlormequt, uniconazole, paclobutrazole과 triazole계 살균제인 hexaconazole, microbutanil, difenoconazole, terbuconazole, bitertan이 등이 'New Guinea' 임파첸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과 수행하였다. 왜화제를 처리한 실험에서 'Anguilla'와 'Papete' 모두 초장과 plant canopy는 모든 종류의 왜화제처리에 의하여 감소하였으며 특히 uniconazole과 pachlobutrazole이 지상부 생육억제에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엽록소 함량은 오히려 증가하였고 줄기의 직경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처리된 약제의 가장 높은 농도에서 효과적이었다. Triazole계 살균제의 실험에서도 왜화제처리 실험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으로 'Papete', 'Pagopago', 'Martinique' 모두 초장과 plant canopy가 모든 약제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잎의 생장도 억제하였다. 반면에 엽록소 함량은 오히려 증가하였고 줄기의 직경은 처리된 약제의 고농도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은 'New Guinea' 임파첸스 분화의 품질향상을 위하여 hexaconazole, microbutanil, difenoconazole, terbuconazole, bitertanol 등과 같은 triazole계 살균제들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 PDF

Growth retardants stimulate guggulsterone production in the presence of fungal elicitor in fed-batch cultures of Commiphora wightii

  • Suthar, Satish;Ramawat, K.G.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4권1호
    • /
    • pp.9-13
    • /
    • 2010
  • Guggulsterone, a hypolipidemic natural agent, is produced in resin canals of the plant Commiphora wightii. In this study, the stimulatory effects of growth retardants [ALAR (N,N-dimethylaminosuccinamic acid) and CCC (chlormequat chloride)] and fungal elicitor on guggulsterone accumulation in cell cultures of C. wightii are reported. CCC at $1\;mg\;l^{-1}$ enhanced guggulsterone content (${\sim}123\;{\mu}g\;l^{-1})$ when added on the fifth day after inoculation, while ALAR at $2.5\;{\mu}g\;l^{-1}$ increased guggulsterone content (${\sim}116\;{\mu}g\;l^{-1}$) when added on the tenth day. In a two-stage fed-batch process, combined treatment with fungal elicitor and growth retardant caused a significant increase (${\sim}353\;{\mu}g\;l^{-1}$) in guggulsterone content in cell cultures after 17 days of growth. This represents an approximately fivefold increase over the guggulsterone contents in initial cultures of this plant.

식물생장억제제가 Creeping Bentgrass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owth Retardants on the Growth of Creeping Bentgrass)

  • 김석준;손기철;김두환;이재필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73-182
    • /
    • 1998
  • 골프장 그린에 이용되는 creeping bentgrass 'Penncross'의 여름철 그린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식물생장억제제인 chlormequat chloride(C) 250, 500, 1000배액, daminozide(D) 50, 100, 200배액, paclobutrazol(P) 1000, 2000, 4000배액, trinexpac-ethyl(T) 1000, 2000, 4000배액 그리고 uniconazole(U) 25, 50, 100배액을 엽면 처리하여 생장과 품질을 조사하였다. 엽장과 엽폭, 그리고 포복경의 절간길이는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억제되었는데 엽장은 D-50에서 포복경의 절간길이는 T-2000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잎두께는 C-250, D-50, T-2000과 T-4000에서 가장 좋았으며 단위면적당 직립경수로 조사한 직립경의 밀도 증가는 P-2000과 4000에서 가장 효과적이었으나 전체적으로 볼 때 대조구에 비해 15∼20% 정도 증가하였다. 전체 건물중은 P-2000과 4000에서 증가된 반면 잎 건물중은 T-4000, U-25와 50에서 높게 나타났고 나머지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와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잔디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시각적 평가 결과 P, T 그리고 U에서는 황변현상이 나타나 녹색유지에는 적합치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C-250, D-50, 그리고 T-4000은 실용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고려되며 여름철 골프장 그린관리를 위해 식물생장억제제의 적용은 크리핑 벤트그라스의 직립경의 밀도를 증가시키고 잔디깎기 회수를 줄이며 여름철 그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기내증식된 지황묘의 기내 및 기외 발근 (In Vivo and In Vitro Rooting of Rehmannia glutinosa Plantlet Regenerated in Vitro)

  • 백기엽;유광진;박상일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335-340
    • /
    • 1997
  • 기내에서 증식된 다수의 지황(Rehmania glutinosa)신초를 가장 효율적으로 발근시키기 위해서 기내 및 기외발근 실험을 수행하였다. 오옥신의 종류와 농도를 달리하여 신초와 마디조직을 배양해본 결과 발근율은 거의 100%에 달하였으며 IAA 0.5~1.0 mg/L 처리구에서 절편체당 뿌리형성수가 가장 많았다. 배지내 당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신초의 생장은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발근율은 100%에 달하였고 형성된 뿌리의 굵기가 커지는 경향이였다. paclobutrazol과chloromequat를 처리해본 결과 마디나 신초조직에 관계없이 발근율은 거의 100%에 달하였으며 절편체당 근형성수도 억제제의 농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신초조직에서는 5~7개, 마디조직에서는 3.5~5.0개가 형성되었다. 기외발근시에는 100ppm의 IBA용액에 15분~시간 침지처리하는 것이 타 농도보다 절편체당 근형성수가 증가하였다. 분말로된 발근촉진체를 이용한 경우 신초기부 절단면에 IBA 0.1%를 분말처리하여 버미큘라이트와 퍼얼라이트가 1:1로 혼합된 삽목상에 삽목하는 것이 생존율 및 발근율이 100%에 달하였다.

  • PDF

식물생장조절제(植物生長調節劑)가 포도 'Campbell Early' (Vitis labruscana B.) 품종(品種)의 과실성숙(果實成熟) 및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the Ripening and Quality of 'Campbell Early' Grape Fruit (Vitis laburuscana B.))

  • 김종현;이재창;황용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1-9
    • /
    • 1991
  • 본(本) 연구(硏究)는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 및 물리적(物理的) 처리(處理)를 통한 포도의 성숙조절기술(成熟調節技術) 확립(確立)을 목적으로 수행되어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Anti-gibberellin인 chlormequart 및 paclobutrazol의 verasion 10일전(日前) 처리는 박피(剝皮) 또는 적분처리(摘糞處理)에 관계없이 anthocyanin 함량(含量)을 증가시켰으나 가용성고형물함량(可溶性固形物含量) 및 과실의 숙기(熟期)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환상박피(環狀剝皮)는 성숙(成熟)을 촉진(促進)함은 물론 가용성고형물(可溶性固形物)의 축적(蓄積)을 촉진(促進)하였고 반면에 적엽처리(摘葉處理)는 숙기(熟期) 및 고형물(固形物)의 축적(蓄積)을 현저히 지연(遲延)시켰다. 2. Auxin (2,4-D 및 fenoprop)는 농도(濃度)에 따라 과실의 성숙(成熟)을 20일(日)에서 30일(日)가량 지연(遲延)시켰으며 처리농도(處理濃度)가 50 ppm이상일 경우 과방내(果房內)에서도 과립(果粒)의 성숙(成熟)이 불균일(不均一)하여 정상과립(正常果粒)이 과숙한 후에도 20-30%의 과립(果粒)은 미숙 상태로 남아 있었다. 3. Gibberellin 단용처리(單用處理)는 과실의 성숙(成熟)에 영향하지 않았으나 auxin 가용(加用)의 경우는 auxin 단용에서와 같이 성숙지연(成熟遲延) 및 과립(果粒)의 불균일(不均一)한 성숙현상(成熟現象)이 관찰되었다. 4. Verasio기(期)의 칼슘 가용(加用) ethephon 처리(處理)는 과실의 성숙(成熟)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anthocyanin 함량(含量)을 증가시켰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