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tosan-ascorbate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2초

Chitosan-Ascorbate 함유 동해심해수로 담근 물김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kimchi Prepared Using Eastern Deep Seawater Added with Chitosan-Ascorbate)

  • 이예경;신경옥;노흥균;김순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9호
    • /
    • pp.1450-1458
    • /
    • 2005
  • 우리나라 동해심해수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방안의 하나로 chitosan-ascorbate(CA) $0.1\%$를 함유하는 동해심 해수로 담근 물김치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물김치 제조는 담금 용수로 mineral salt $1\%$ 함유 증류수(DW), 염도 $1\%$ 동해심 해수(ED), DW+CA(DW-CA) 및 ED + EA(ED-CA)로 구분하여 $10^{\circ}C$에서 12일간 숙성시켰다. 그 결과, ED-CA는 물김치 숙성시 pH의 감소와 산도의 증가를 상당히 지연시키며, 총균수를 감소시키면서 젖산균비율을 높여 위생성을 증진시키며, 항산화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탁도를 감소시켜 국물을 맑고 투명하게 유지하며, 김치 조직의 연화현상을 막아 경도유지와 조직의 알코올 불용성 물질의 용출을 지연시키며, 종합적 기호도를 증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어 물김치 담금용수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Chitosan-Ascorbate 함유 Soyfiber Beni-Koji의 식이가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흰쥐의 체중과 지방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itosan-Ascorbate Containing Soyfiber Beni-Koji on Body Weight and Lipid Content of Obesity Rats Aid Induced from High Fat Diet)

  • 박범호;백경연;이상일;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663-669
    • /
    • 2006
  • The dietary effects of soy fiber beni-koji(SBCA) containing chitosan-ascorbate on the body weight and serum lipids in obese rats induced by a high fat diet were investigated. The experimental plots(6 rats per each group) were divided into a normal group(NC), a high fat diet group(HF), a 1% SBCA diet group(SBCA1) and a 2% SBCA diet group(SBCA2), and fed for 6 weeks. Compared with the HF group, the mean body weight and the $R\'{o}hrer$ index of the SBCA1 and SBCA2 groups decreased by $3.4{\sim}7.4%$ and $8.1{\sim}13.9%$,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body lipids in the SBCA2 group decreased by 42.3%. The serum triglyceride content decreased by approximately $25.54{\sim}27.34%$ in the experimental diet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rum total lipids between the HF and SBCA1 groups. On the other hand, the total lipids in SBCA2 group decreased by 19.12% compared with the HF group. In the SBCA2 group, the total serum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content decreased by 6.57% and 41.20% compared with the HF group, respectively, while the HDL-cholesterol increased by 10.0%. The risk factor index(RFI) in the SBCA2 group was decreased remarkably by 58.57%.

  • PDF

Chitosan-ascorbate 처리 감압건조 과메기의 품질특성과 고지방식이 흰쥐의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tosan-ascorbate Treated Kwamaegi Prepared by Vacuum Drying, and Lowering Effect of Serum Lipids in Rats Fed High Fat Diets)

  • 신경옥;오승희;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69-675
    • /
    • 2007
  • Chitosan-ascorbate (CA)를 표면처리한 후 $40{\sim}60^{\circ}C$에서 감압건조한 과메기(VD-과메기)의 품질특성과 고지방식이 흰쥐의 혈청지질과 항산화계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VD-과메기의 제조기간은 $4.5{\sim}8.3시간, 자연건조과메기(ND-과메기)의 제조기간 $360{\sim}480$시간이었다. 총 균수는 VD-과메기에서는 $0.2{\sim}0.5$ log CFU/g, ND-과메기에서는 8.2 log CFU/g였다.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128.3{\sim}135.0$mg%로 ND-과메기와 VD-과메기의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VD-과메기는 ND-과메기에 비하여 산가와 과산화물가가 현저하게 낮으며 비린내가 적고 조직감, 색상 및 종합적기 호도가 높았으며 종합적으로는 $40^{\circ}C$에서 제조한 VD-40-과메기가 가장 우수하였다. 고지방식이 흰쥐에 감압건조한 VD-40-과메기를 10% 혼합하여 4주간 급여한 군 (HVK)은 ND-과메기에 비하여 증체량이 낮고, 혈청 HDL-cholesterol 함량은 높은 반면 total cholesterol과 LDL-cholesterol함량이 낮았으며, glutathione 함량은 뚜렷한 차이가 없으나 lipid peroxide 함량은 현저하게 낮았다. 또한 고지방식이로 증가된 간의 xanthine oxidase total 및 O type 활성도 및 O/T(%)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 과메기 제조시 CA를 처리한 후 $40^{\circ}C$서 감압건조하는 방법은 제조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과메기의 위생성과 영양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산업적 활용이 기대된다.

키토산-아스코베이트의 용해성, 항산화성 및 항균성 (Solubility,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Chitosan-Ascorbate)

  • 이승배;이예경;김순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973-978
    • /
    • 2006
  • 동결건조한 chitosan-ascorbate(CAs)와 chitosan-acetate(CAc)의 용해성, 항균성, 항산화성을 비교하였다. 용해성을 조사한 결과 CAs는 증류수, 식초, 녹차, 소주, 맥주, 적포도주에 0.5%이상의 농도로 용해되었으나 간장, 두유, 우유, 오렌지주스, 커피, 참기름, 대두유에는 녹지 않았다. CAc도 CAs의 경우와 비슷하나 맥주에서는 0.1%이하의 농도에서 용해되었으며 적포도주에서는 커드를 형성하였다. CAc의 전자공여능, 항산화능 및 SOD활성은 CAc에서는 각각 0, 40.0 및 10.0%였으나 CAs의 경우는 48.2, 90.6 및 67.5%로 CAc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B. circulans, B. brevis, B. licheniformis, B. arabitane, B. sterothermophillus에 대한 CAs와 CAc의 최소저해농도(MIC)는 다같이 $200\;{\mu}g/disc$이었으며, E. coli O157, Listeria monocytogenous, B. cereus, B. subtilis에 대한 MIC는 다같이 $400\;{\mu}g/disc$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As와 CAc의 Hunter's L*값은 $81.95{\sim}82.97$로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Hunter's a* 및 b*값은 CAs가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CAs는 CAc에 비하여 신맛과 쓴맛은 낮았으나 떫은맛은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CAs는 CAc에 비하여 항균성, 항산화성 및 기호도 측면에서 우수하여 식품에의 활용이 기대된다.

키토산-아스코베이트를 첨가한 물김치의 품질특성과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Kimchi with Chitosan-Ascorbate and Dietary Effect on Serum Lipids of Rats Fed with High Cholesterol Diet)

  • 신경옥;김미정;백경연;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754-761
    • /
    • 2006
  • 본 연구는 chitosan-ascorbate (CA) 첨가(0.1%)가 물김치의 숙성에 미치는 영향과 고콜레스테롤식이 흰쥐의 혈청지질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CA첨가 물김치는 무첨가에 비하여 탁도가 낮고, 보존성이 높으며, glucosamine함량이 무첨가에 비하여 $1.84{\sim}2.90$배, SOD활성이 $59.00{\sim}64.24%$로 높았으며 2025 kDa의 chitosan으로 제조한 CA2025가 가장 양호하였다. 동물실험은 SD계 흰쥐로 정상식 이군(NC), 고콜레스테롤 식이군(HC), 고콜레스테롤 식이 김치국물 투여군(HC-KC), 고콜레스테롤 식이 CA 함유 김치국물 투여군(HC-CA2025), 고콜레스테롤 식이 CA2025 1/2농축액 투여군(HC-2CA2025)의 5개군으로 구분하여 5주간 사육하였다. 그 결과, HC-CA2025군과 HC-2CA2025군의 평균체중은 HC군에 비하여 각각 6.9%, 및 8.4%가 감소되었다. 혈청 총 cholesterol의 함량은 HC-CA2025 및 HC-2CA2025군이 각각 88.33 및 85.00 mg/dL로 HC군보다 17.45 및 20.56%가 감소되었다. HC-CA2025 및 HC-2CA2025군의 HDL-cholesterol 함량은 HC군에 비하여는 각각 7% 및 23%가 증가된 반면 LDL-cholesterol 함량은 각각 13% 및 26%가 감소되었고 동맥경화지수도 정상군에는 미치지는 못하나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AST 및 ALT활성은 HC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HC-KC, HC-CA2025, 및 HC-2CA205 군에서는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CA2025는 물김치의 보존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혈중지질 개선과 동맥경화지수를 떨어트리는 효과가 있어 산업적 활용성이 기대된다.

Chitosan-Ascorbate 함유 홍국이 고지방 식이 흰쥐의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eni-Koji with Chitosan-Ascorbate on Serum Lipid Profile of Rats Fed a High Fat Diet)

  • 신진기;이상일;권중호;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5권5
    • /
    • pp.524-530
    • /
    • 2005
  • Dietary effect of soyfiber beni-koji (SBK) with chitosan-ascorbate (CA) on the level of serum lipids in rats fed a high fat diet was investigated The experimental groups which were divided into high fat diet control group(HC-group), $2\%\;SBK+0.1\%$ CA mixture diet group(CA1-group), $2\%\;SBK+0.15\%$ CA mixture diet group(CA2-group), and $2\%\;SBK+0.2\%$ CA mixture diet group (CA2-group) were fed for 4 weeks. Weight gains in CA2- and CA3-group were $5.3\%\;and\;9.5\%$ lower than that of HC-group, respectively,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eed intakes, feed efficiency ratio and organs weight Level of serum triglyceride in $C_3-group\;was\;21\%$ lower than that of HC-group. Level of serum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in CA2- and CA3-group were $22.1\~22.7\%\;and\;58.6\~64.3\%$ lower than those of HC-group, respectively. Atherogenic index decreased with the higher level of CA. Level of lipid peroxide in CA3-group was $24\%$ lower than that of HC-group,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SH(Glutathione-S-transferase) content O type activities of XOD(xanthine oxidase) in the treated groups were lower, especially the activity in CA3-group was $51.6\%$ lower than that of HC-group. Also, O/T ratio of XOD was lower, showing $21.7\~23.5\%$ in treated groups and $34.0\%$ in HC-group(p<0.05). GST activities were 332.52 units in HC-group and $350.28\~355.63$ units in the treated group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m.

  • PDF

Chitosan-Ascorbate 및 Calcium Lactate가 오징어 식해의 숙성과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itosan-Ascorbate and Calcium Lactate on the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quid Sikhae)

  • 이예경;박범호;노홍균;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5권5
    • /
    • pp.598-605
    • /
    • 2005
  • Effects of chitosan-ascorbate(CA) and calcium lactate(CL) on fermentation and quality of squid sikhae were investigated CA and LA were added at $0.5\%$ (designated CA1 and CL1) and $1.0\%$(CA2 and CL2) concentrations, respectively and fermented for 12 days at $10^{\circ}C$. pH of CA-added sikhae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while acidity of the former was lower than that of the latter. During 12 days of fermentation, CA-added sikhae showed higher protease activity than control by $2.3\~2.6$ times and CL-added sikhae by $2.8\~3.6$ times. At 12 days of fermentation, CA-added sikhae revealed higher protease activity than control by $1.2\~1.4$ times and CL-added sikhae by $1.5\~1.9$ times. CA-added sikhae also showed higher amino-nitrogen content than control by $1.4\~1.7$ times and CL-added sikhae by $1.9\~3.5$ times. In comparison of CA1 with CA2, CA2 showed all higher pH, protease and amylase activity, and amino-nitrogen content than CA1. In analysis of electrophoresis, molecular weights of major proteins in ~w squid were $116.9\~119.0$, 96.5 and 59.3kDa. However, after fermentation for 12 days, a protein band of 119.0kDa disappeared but a new protein band with below 14 kDa appeared in sikhae, especially CA-added sikhae. In sensory evaluation, the intensity of sour taste was the highest for control and the lowest for CA2. Softness of squid was the highest for control and the lowest for CA2. Overall acceptability was the best for CA2.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use of $1\%$ CA in sikhae preparation as addition of CA(CA2) increased the protease and amylase activity, nitrogen content of amino form, sensory acceptability as well as shelf-life of sikhae.

  • PDF

막걸리의 저장성에 미치는 분자량별 및 형태별 키토산의 영향 (Effects of the Molecular Weight and Type of Chitosans on Shelf-life of Makkulli)

  • 신아가;정유경;이예경;강명수;노홍균;김순동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권4호
    • /
    • pp.282-291
    • /
    • 2006
  • 물에 용해한 수용성 ${\alpha}$-chitosan (1, 8, 22, 43, 67, 616 kDa)과 ${\alpha}$-chitosan (282, 440, 746, 1,110, 2,025 kDa) 및 ${\beta}$-chitosan (577 kDa)의 chitosan-ascorbate(CA)를 막걸리에 chitosan량으로 0.002% 농도로 첨가하여 $25^{\circ}C$에 저장하면서 pH, 산도, 효모수, 세균수, 당도 및 알코올농도 변화를 조사하여 보존성을 평가하였다. 막걸리에 CA를 0.001, 0.002 및 0.003% 농도로 첨가한 결과 0.003% 이상에서는 떫은맛이 강하여 본 실험에서는 0.002% 농도로 첨가하였다. 그 결과, chitosan 무처리 막걸리는 저장 6일째에 pH 및 산도가 각각 3.9~4.3 및 0.4~0.7%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후 발효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었다. 6일째 이후는 산의 생성과 alcohol 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초산발효가 병행되었고 막걸리 용기표면에 외관적으로 볼 수 있는 미생물이 번식하였다. 대부분의 수용성 및 산가용성 ${\alpha}$-chitosan은 대조구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22 kDa의 ${\alpha}$-chitosan과 440 kDa의 ${\alpha}$-chitosan-ascorbate는 저장 18일째까지 pH는 각각 3.80~4.20 및 3.60~4.31의 범위였으며 산도는 0.4~0.6% 및 0.4~0.7% 범위로 타 처리구에 비하여 변화의 폭이 낮았다. 또한 효모수와 세균수가 상대적으로 낮을 뿐만 아니라 알코올농도의 감소율도 낮았으며 용기표면에 번식하는 미생물이 발생되지 않았고 관능검사결과 가식기간이 약 일주간 연장되었다.

  • PDF

Chitosan-ascorbate 처리 과메기에 있어서 오염미생물에 대한 저해효과 (Antibacterial effects of Chitosanon-ascorbate Treated Kwamaegi Prepared on Microorganism Contamination)

  • 김영숙;오승희;김순동
    • KSBB Journal
    • /
    • 제24권2호
    • /
    • pp.156-162
    • /
    • 2009
  • 과메기를 표준화하는 일환으로 감압건조기 (vacuum drying)를 사용하여 CA (chitosan-ascorbate)로 표면을 coating한 것과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일반 과메기와 미생물오염도를 비교분석 하였다. Total aerobacter에서 SCA (CA 처리한 꽁치 과메기)는 1.41, SGRW (ginseng steamed red, wine으로 처리한 꽁치 과메기)에서 1.63, SNT (CA 비처리한 시중판매 과메기) 에서는 1.9 log cycle 오염된 것을 비교하면 SCA가 0.22-0.49 log cycle 항균효과를 보인다. HCA (CA 처리한 청어과메기)에서는 2.27, HDW (심층수로 처리한 청어과메기) 2.32, HNT (비처리한 청어과메기) 2.72로서 오염도를 비교하면 HCA는 0.05-0.45 log cycle을 억제시켰다. GCA (CA 처리한 전어과메기)에서는 0.95, GDW (심층수로 처리한 전어과메기)와 GNT (비처리한 전어과메기)가 1.4의 수치를 나타내어서, GCA는 비처리한 GNT와 비교할 때 0.45 log cycle을 저해시켰다. Coliform과 E. coli에서는 오염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다. S. aureus는 SCA 에서 0.47, SGRW 1.15, SNT 1.27로 조사되어 미생물 오염도를 비교하면 SCA는 0.68-0.8 log cycle의 오염미생물을 억제시킨다. HCA는 1.15, HDW 1.11, HNT 1.36과 비교하면 HCA는 오염미생물 0.21 log cycle을 저해시켰다. GCA는 0.47, GDW와 GNT가 1.08과 1.34로 검출되었다. 즉 GCA에서는 오염된 미생물 0.26-0.61 log cycle 오염미생물을 억제시킨다. 수분함량 측정의 결과는 GDW 29%, HCA 31%, HNT 32%로 조사되어서 적당한 수분함량을 보유하고 있으나, SGW, GCA, HDW, SCA는 7-15%가 부족하며, SNT 와 GNT는 과메기 표준수분함량 (30%) 보다 10%가 더 많아서 미생물의 오염과 과산화물 증가 및 산패를 더 빨리 초래 한다. CA를 첨가하였을 때 과산화물은 SCA 41, HCA 45, GCA 49 meq로 조사되었으며, 항균성을 첨가하지 않은 시중과메기 (SNT, HNT, GNT)와 비교할 때 과산화물이 12 meq 더 낮게 조사되었다. SEM 관찰에서는 SCA, HCA가 조직표면이 선명하고 과산화물이 낮게 검출되었으며, 반면 항균성을 처리하지 않은 SGRW, HDW는 과산화물이 많으며 조직표면이 불투명하였다. 관능평가에서는 SCA, SGW 등의 순으로 꽁치 과메기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청어, 전어 과메기 순으로 조사되었다.

참가자미의 저장 중 오염미생물 Staphylococcus aureus와 Escherichia coli의 생육에 미치는 Chitosanascorbate의 영향 (Inhibitory Effects of Chitosanascorbate on Growth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Contaminated in Flounder during Storage)

  • 김영숙;오승희;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28-133
    • /
    • 2009
  • 참가자미의 저장 중 오염미생물(total aerobacter, Staphylococcus aureus, E. coli)의 생육에 미치는 0.1% chitosan-ascorbate (CA) 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참가자미는 아가미를 제거한것(OG)과 제거하지 않은 것(WG), 건조도를 0%(0 D), 20% 건조(20 D), 40% 건조(40 D)로 구분하였으며 처리 후 진공 포장하여 $5^{\circ}C$에서 10일간 저장하였다. 저장중 총호기성 균수(log CFU/g)는 OG가 WG에 비하여 0.29-0.44 log cycle이 낮았다. S. aureus(log CFU/g)는 CA처리구가 무처리에 비하여 0.13-0.14 log cycle이 억제되었으며, E. coli에서도 0.3-0.43 log cycle이 낮았다. 0 D, 20 D 및 40 D를 비교한 결과, total aerobacter, S. aureus 및 E. coli 모두 20D에서 가장 낮았으며 total aerobacter의 경우는 생것에 비하여 0.13-0.53 log cycle이 억제되었다. 건조도 20 D의 CA처리는 무처리에 비하여 0.13-0.53이 억제되었다. 40 D에서도 CA 처리는 무처리에 비하여 0.3-0.88 log cycle이 감소되었다. 참가자미로부터 분리한 S. aureus의 배양액에 CA를 첨가한 결과 세포가 붕괴되어 사멸해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배양초기와 중기(3-6 hr)에 CA의 첨가는 생육을 68-90% 억제하였으나 배양후기(24 hr)에는 46%가 억제되었다. E. coli에서는 배양초기와 중기(3-6 hr)에는 75-96%가 억제되었으며, 배양후기에는 54%가 억제되었다. 본 연구에서 CA는 E. coli와 S. aureus 모두를 저해하지만 E. coli의 생육이 더 크게 저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