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2초

대학생들의 반복독서 경험에 관한 연구 (Repeated Reading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 이승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61-180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사람들이 반복적으로 읽은 책들이 무엇이고 남녀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 책들이 가장 기억에 남는 책들과 얼마나 일치하는지, 그리고 반복독서와 기타의 독서습관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등을 밝히는 것이다.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들의 반복독서 경험에 관하여 조사하고 해당 데이터를 통계 처리하여 분석한 결과 밝혀진 중요한 사실들은 다음과 같다. 1) 대부분의 학생들이 2회 이상의 반복독서 경험을 가지고 있다. 2) 도서를 반복하여 읽는 경우에 반복 횟수는 2회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3회가 많았으며 반복독서 횟수별 비율이 남녀간에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3) 가장 기억에 남는 도서를 반복하여 다독한 학생들의 비율은 전체에서 절반 가량이다. 4) 2회 이상 다독한 독자들이 가장 많이 읽은 도서는 <삼국지>와 <어린왕자>이고 이어서 <다빈치코드>, <연금술사>, <가시고기> 및 <나의 라임오렌지나무>, <해리포터> 등의 순이다. 5) 다독자수 및 반복독서 횟수를 감안하여 선호도를 평가한 결과 가장 선호하는 도서는 <삼국지>였고 이어서 <어린왕자>, <다빈치코드>, <나의 라임오렌지 나무>, <함께한 화요일>, <해리포터>, <그리스 로마 신화>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6) 남학생들이 반복적으로 독서하는 남성취향도서는 대부분 투사들의 이야기를 다룬 내용들인데 반하여 여학생들이 반복적으로 독서하는 여성취향도서는 대개 잔잔한 감동과 교훈을 주는 책들이다. 7) 남학생들의 반복독서 대상도서는 반복독서량의 절반 이상이 <삼국지>에 집중되어 있는데 반하여 여학생들의 반복독서 대상은 상대적으로 많은 도서에 분산되어 있다.

중국 성인여성용 유방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제 II보) - 상해지역 20대 전반 여성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breast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female adults. (Ver. 2) - Focused on the female college students in Shanghai -)

  • 차수정;손희순
    • 패션비즈니스
    • /
    • 제14권1호
    • /
    • pp.57-75
    • /
    • 2010
  • This study is done in Shanghai area by sample survey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lower 20s. Through direct contact survey,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information on figure to understand feature of breasts and measurements of body to provide base information to improve product of brassiere for adult female in China.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WIN 13.0 Program and SAS 9.0. 1. From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n 40 items of measures to derive the components of the shape of the breast, 6 factors were derived such as the factors to show the obesity of the bust, to show the ratio of the upper and lower area of the lower bust, droop and volume, to show the internal shape and broadness of the bust, to show the location and vertical size of the bust, to show the protrusion of the bust and the eternal shape of the bust. 2. From a result of classification on the shape of the breast of the Chinese women in their early 20s, 4 types were selected. Type 1 is the protrusion type that a woman has a broad drooped breast due to the development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chest as well as the highest height, a high degree of obesity in the bust part, big volume and much protrusion. Type 2 is the hemisphere type that the degree of obesity in the breast is second to Type 1 and a breast is located at a region higher than Type 1 as the degree of obesity in the breast is secondly highest, the lower part of the bust is bigger than the Type 1 and the degree of being broad and drooped is second to Type 1. Type 3 is the cone type with a breast of being drooped and broad a little bit and a certain degree of a volume. Type 4 is the flat type with the smallest value in the item that shows the obesity of the bust area and with the smallest value in the R$\ddot{o}$hrer index to have the small and slender body type for the bust area, which is somewhat flat due to a low slope at the internal side of the bust.

인터넷 쇼핑몰의 서비스 및 제품의 품질평가 요인이 한국 인터넷 패션 쇼핑몰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여대생을 중심으로 - (Effects of the service and the product quality evaluation factors of internet shopping mall on the satisfaction for Korean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s - Focusing on Chinese university women -)

  • 유지헌;공심
    • 복식문화연구
    • /
    • 제22권5호
    • /
    • pp.655-669
    • /
    • 2014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rvice and the product evaluation factors of Korean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s and to suggest marketing implications for Korean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s wanting to expand into the Chinese market.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college female students in Qingdao, China, who have shopped at Korean internet shopping malls, and 310 survey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ial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found the Korean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s through the internet, and the most purchased item was outer clothing. Second, the system stability and web site structure excellence factor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ervice satisfaction for the shopping mall 'S', while the system satisfaction, service efficiency, interactivity and web site structure excellence factors had positive influences on service satisfaction for the shopping mall 'P', and the system satisfaction, service efficiency, interactivity factors had positive influences on service satisfaction for the shopping mall 'N'. Third,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product satisfaction for the shopping mall 'S', 'P', and 'N' with fashion product evaluation factors showed that, design factors and quality excellence factors of the three shopping malls had positive influences on product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provide useful information in forming an efficient operating system and improving marketing strategies for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s planning to enter or having already entered the Chinese market.

중국 연변 지역 조선족 대학생의 의류 제품 평가 기준 (Evaluation Criteria for Garment of Korean-Chinese College Students in Yanbian, China)

  • 김순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11-123
    • /
    • 2003
  • This study is designed to understand evaluation criteria for garment depending on demographic factors among college students in Yanbian, China. Questionnaire was used for measurement tools to study the subject of the thesis. The main study was conducted against 450 college students from May 17 to June 5, 2001. The data for the study were analyzed using SAS PC program for frequency distribution, percentage, t-test, and one way ANOVA. The evaluation criteria for garment are affected by 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monthly expense for clothing. The result was showed as follows: The evaluation criteria for garment based on gender showed almost no meaningful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Means on factors considered highly in selecting clothes was studied. The result shows that 'fit to the body, 'quality', 'color' and 'pattern' are considered most highly and 'harmony with other clothes', 'after service', design' 'easy to manage' and 'price' are considered relatively highly, but 'brand' and 'trendy fashion' were not considered highly. A meaningful difference was showed only in one area-trendy fashion-among three different income level groups. Those with an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between 500 and 2,000yuan showed a highest tendency compared to those with above 2,000yuan and those with 500yuan. In terms of evaluation criteria for garment based on monthly expense for clothing, 'brand' is the only area which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Respondents with monthly clothing expense of above 100yuan showed a higher means than those with below 100yuan.

  • PDF

한국여성의 얼굴이미지 유형별 인식영향요소와 매력선호도에 대한 한중일 남녀 비교 (A Cross-Cultural Study of Facial Awareness, Influential Factors, and Attractiveness Preferences Among Korean, Japanese, and Chinese Men and Women Evaluating Korean Women by Facial Type)

  • 백경진;김영인
    • 복식
    • /
    • 제65권3호
    • /
    • pp.1-1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ross-cultural features among Korea, China, and Japan by comparing differences in facial awareness, attractiveness preferences, and consideration of facial parts in a group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men and women as they evaluated the faces of Korean women in their 20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male and female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Frequency analysis, ANOVA, Duncan test, factorial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MANOVA were carried out using SPS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aces of Korean women in their 20s were evaluated by Korean, Chinese, and Japanese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s 'Youthfulness', 'Classiness', 'Friendliness' and 'Activeness'. Differences in facial image awareness were observed depending on nationality and gender. Korean participants were found to place importance on overall morphological factors; The Japanese focused on the eyes; and the Chinese on the skin color. Women of all nationalities showed, on average, a higher awareness of facial parts than men.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cial attractiveness preferences were found based on nationality or gender,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how the participants evaluated faces for attractiveness, showing that reasons for preferences may vary even if the preferences are the same.

서울지역 남녀 대학생의 한식 선호도 조사 (I) - 주식과 후식을 중심으로 - (Survey on Korean Food Preference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 Focused on the Staple Food and Snack -)

  • 홍희옥;이정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7호
    • /
    • pp.699-706
    • /
    • 2006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 음식 중 주식과 후식 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남학생 21.8세, 여학생 20.2세였고, BMI 는 남학생 $22.6kg/m^2$, 여학생 $19.8kg/m^2$으로 남녀 모두 정상범위에 속하였다. 2) 조사대상자의 가족구성 형태, 어머니의 학력과 직업은 남녀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주거형태 및 아버지의 직업과 교육수준은 남녀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가정 내 총 수입은 남녀 모두 150만원${\sim}$300만원, 300만원${\sim}$450만원이 7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남녀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주식류의 선호도를 보면 밥류의 경우 남녀 모두 쌀 만의 선호도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콩밥의 선호도 점수가 가장 낮았다. 또한 쌀밥, 콩밥, 조밥, 보리밥, 오곡밥의 선호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4) 죽류의 경우 남녀 모두 닭죽의 선호도가 높았고 깨죽은 가장 낮은 선호도 점수를 보였다. 그 외 흰죽, 전복죽, 잣죽, 팔죽, 호박죽 야채죽 및 깨죽의 선호도 점수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5) 면류의 경우 남녀 모두 냉면을 가장 좋아하였고 남학생의 경우 쫄면, 여학생의 경우 우동과 졸면의 선호도 점수가 가장 낮았다. 라면, 비빔국수, 우동, 자장면, 찜뽕은 남학생이 더 선호하였다 (p < 0.05). 6) 일품요리의 경우 남녀 모두 비빔밥, 김치볶음밥에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자장밥, 카레밥, 오므라이스 및 떡만 두국의 선호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5). 7) 후식류의 선호도를 보면 떡류의 경우 남다 모두 꿀떡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고, 두텁떡의 선호도가 가장 낮았다. 남녀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떡류는 인절미와 송편으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p v0.05). 과일류의 경우 남학생은 딸기와 배, 여학생은 딸기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고, 감과 메론은 남녀 모두 가장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사과, 배, 바나나, 감, 참외의 선호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5). 이상의 결과 남녀 간에 좋아하는 음식에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더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특히 밥류의 경우 잡곡밥보다는 쌀밥의 선호도가 높았고 우리의 전통적인 밥류 보다는 일품요리, 면류의 선호도가 좀 더 높았다. 후식류로 떡류보다는 과일류의 선호도가 높았고, 과일류 중 수입과일보다는 국내산 과일에 대한 선호도가 다소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건강에 대한 관심이 형성되는 시기이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전반적으로 주식 및 후식의 선호도에 남녀 간에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단체급식을 위한 식단 작성 시 이러한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대학생 및 성인을 대상으로 한 영양 교육을 실시할 때 이러한 차이를 고려한 신생활 교정프로그램을 작성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Physiological Approach on the Physical Fitness and Postural Balance Effects of a Whole-Body Vertical Vibration Intervention in Young Women

  • Ho, Chao-Chung;Sung, Hyun-Ho;Chen, Ming-Shu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36-44
    • /
    • 2020
  • With the advent of westernized diet and a lack of exercise, young female college students are paying more attention to their bodyweight and health. Whole-body vibration has been demonstrated to be a suitable training method for improving knee extension maximal strength in young female athletes, as well as the gait performance in elderly women.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vertical vibration intervention on the physical fitness and postural balance in young females. Fifty-four young women were recruited; all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intervention group and control group. The intervention group underwent vertical vibration with a platform for 12 weeks. The results showed that body mass index and body fat percentage had decreased (P<0.05). In addition, their muscle endurance as indicated by a sit-up test and their flexibility as indicated by a sit-and-reach test were both increased. With regard to postural balance, their 30-second sit-to-stand and timed up and go test results were improved. At the same time, their mean single-leg stance with eyes closed time increased (P<0.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meanwhile, for the control group. Overal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hole body vibration (WBV) intervention had some beneficial effects on physical fitness and postural balance in young women.

이공계 대학 유학생을 위한 수학교육 프로그램 설계 및 적용 (A Study on the Design of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Foreign Students Majoring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at University in Korea)

  • 김수철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47-157
    • /
    • 2019
  • 이 연구는 국내 이공계 대학에 진학한 유학생들의 전공기초 역량을 신장시키고 중도탈락을 예방하기 위한 수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유학생을 위한 수학교육 프로그램의 핵심인 보충 교재를 개발하여 5차시 분량의 수업에 실제로 적용하였다. 적용 대상은 중국인 유학생 5명으로, 남학생 4명과 여학생 1명이며, 유학생들은 공과대학과 자연과학대학에 소속되어 있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5차시 분량의 수업 동영상을 모두 촬영하여 그 내용을 전사하였으며, 전사된 내용은 NVivo 12를 활용하여 질적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수학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 유학생들은 무리함수와 지수함수의 그래프를 전혀 그리지 못하였고 극한의 개념도 전혀 이해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모든 유학생들이 무리함수와 지수함수의 그래프 개형을 그릴 수 있었으며, 극한값도 정확하게 계산하였다. 이공계 유학생을 위한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그들의 수준에 맞는 교재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교재 개발 시에는 대학 수학에 학습하는데 핵심이 되는 내용을 선정·조직하고 유학생들의 한국어 수준을 고려하여 수학적 개념이나 예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국에서 통용되는 수학 용어를 자국어나 영어로 함께 제시하려는 노력도 필요할 것이다.

중국인과 일본인에 대한 가변형 치과 인상용 트레이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tness of Adjustable Dental Impression Trays on the Chinese and Japanese)

  • 강한중;이진한;최종인;이인섭;동진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75-184
    • /
    • 2008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가변형 트레이 개발의 일환으로 그 시제품을 제작하고 비가역성 수성 콜로이드 인상재를 사용하여 중국인과 일본인에서 인상채득 시 트레이의 구강 내 적합성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가변형 트레이는 한국 성인 악궁의 크기 분석결과를 기본으로 하여 설계하였으며, 먼저 CAD-CAM 작업을 통하여 견본 모형을 제작한 후, 이를 똑같이 복제한 실리콘 간이금형을 만들었다. 그리고 이 금형에 polyurethane을 주입하여 다수의 시제품을 완성하였다. 시제품을 이용하여 중국인으로는 상해 제2의과대학교 구강의학원 학생 60명 (남자 30명, 여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일본인으로는 일본 구마모토 고등학교 졸업생 60명 (남자 30명, 여자 30명)을 대상으로 인상채득을 실시하고, 측정부위별로 인상체의 두께와 길이를 측정한 후 통계처리를 하여 그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1. 중국인과 일본인 모두 스탑과 경사면에 의해 트레이의 폭이 적절히 조절되어 대체적으로 3-6mm의 균일한 인상체의 두께를 얻을 수 있었다. 2. 중국인의 상악 트레이에서는 전치 순측 변연부에서 두께가 6.2mm, 견치 순측 변연부에서 두께가 5.9mm, 구개부 중앙은 10.5 mm, 구개부 후방은 9.7mm 높이로 비교적 인상체의 두께가 크게 측정되었다. 3. 중국인의 하악 트레이에서는 제1, 2소구치 접촉점 설측 변연부에서 인상체의 길이가 8.9mm, 전치 설측 변연부에서 7.2mm로 길게 나타났으며, 견치 순측 6.8mm, 소구치 순측 7.0mm로 인상체의 두께가 크게 측정되었다. 4. 일본인의 상악 트레이에서는 전치 순측 변연부에서 두께가 7.4mm, 견치 순측 변연부에서 7.7mm, 구개부 중앙은 9.1mm 높이로 인상체의 두께가 비교적 크게 측정되었다. 5. 일본인의 하악 트레이에서는 견치 순측 7.4mm, 제1, 2소구치 접촉점 순측 변연부 8.4mm로 인상체의 두께가 크게 측정되었다. 결론: 본 가변형 치과 인상용 트레이는 한국인 모형 계측치를 바탕으로 설계되어 한국인에서 적합성이 우수하며, 본 실험의 결과 중국인과 일본인에서도 적합성이 좋아 본 트레이를 범용하여 쉽고 정확한 인상채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수도권 일부 학령기의 영양지수를 이용한 식행동 및 채소 선호도 조사 (Food Behavior Using the Nutrition Quotient and Vegetable Pre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 김영아;김형숙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7권2호
    • /
    • pp.67-76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investigate the food behavior and vegetable pre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s of, South Korea. Five hundred and eighty students (277 male and 303 female) studying in grades 5~6 participated in the survey. We assessed food behavior by evauating the Nutrition Quotient (NQ). Through a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20 food behavior checklist items. These items were grouped under five factors: balance, diversity, moderation, practice and environment.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The average NQ score weighted using the five factors was 61.32 points. Among the five factors, moderation showed the lowest score, whereas environment showed the highest score. The average score of the vegetable preference was 3.36 points out of a total of 5 points. The vegetable preference was found to be highest for bean sprouts and followed by tomatoes, lettuce, spinach, Chinese cabbage, sesame leaf, pumpkin, carrot, radish, chives, lotus roots, onions, broccoli, sweet peppers, and eggplant. The results of vegetable preferences by NQ grade were 4.13±0.63 points for the high grade, 3.68±0.75 points for the medium-high grade, 3.41±0.82 points for the medium-low grade, and 2.94±0.78 points for the low grad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Q and vegetable preferences (r=0.477, P<0.001). If vegetables with high preference are frequently provided in school meals, it might contribute to improving overall food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