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ling effect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9초

Changes in Protein Synthesis Induced by Chilling in Tomato Chloroplasts

  • Kim, Won-Il;Jung, Goo-Bok;Kim, Min-Kyeong;Park, Kwang-Lai;Yun, Sun-Gang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310-316
    • /
    • 2001
  • To find out the effect of low temperature on the regulation of tomato chloroplast genes, the optimization of the system in chloroplast protein synthesis and the identification of the changes in chloroplast protein synthesis induced by chilling were studied. Incorporation reaction occurred rapidly at the first 30 minutes and was constantly maintained after 60 minutes. A broad optimal temperature on protein synthesis was found around 20 to $30^{\circ}C$. No difference was shown in the chloroplast protein synthesis under high light intensity (1600 ${\mu}E/m^2/s$) as well as under low light intensity (400 ${\mu}E/m^2/s$) even darkness. $K^+$, $Mg^{++}$ and ATP at an optimal concentration act as an activator, while DTT, chloramphenicol, cycloheximide, $Ca^{++}$ and inorganic phosphate act as an inhibitor in the chloroplast protein synthesis. Synthesis of 15, 55 and 60 kd chloroplast encoded stromal proteins and 18, 24, 33 and 55 kd chloroplast encoded thylakoid membrane proteins were reduced by chilling, while 17 kd chloroplast encoded stromal protein and 16 kd chloroplast encoded thylakoid membrane protein was induced by chilling. It was expected that the 55 kd stromal protein would be the large subunit of rubisco and the 33 kd thylakoid membrane protein would be the D1 protein which was drastically reduced by chilling.

  • PDF

백색 완두유묘의 IAA분해효소계에 미치는 저온의 영향 (Effects of low temperature on the IAA degradation system in etiolated pea(Pisum sativum L. var. Sparkle) seedlings)

  • 박노동;신용광;김광식;박창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2호
    • /
    • pp.125-128
    • /
    • 1990
  • 저온에서 완두유묘 줄기의 유리 IAA 수준과 그 전구체인 트립토판 수준이 저하하므로, IAA수준의 조절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하여 IAA분해효소계에 미치는 저온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25^{\circ}C$에서 키운 백색 관두유표를 $5^{\circ}C$의 저온으로 옮기면 IAA oxidase와 peroxidase의 수준은 증가하였으며 catalase의 수준은 저하되었고 과산화수소는 축적되어, 전체적으로 IAA분해계가 저온에서 강화되었다. 저온에 놓였던 유묘를 상온으로 옮기면 IAA 분해계는 다시 대조구 수준으로 회복하였다.

  • PDF

Seed Germination and Dormancy Breaking of Thalictrum rochebrunianum var. grandisepalum (H. Lev.) Nakai

  • Cho, Ju Sung;Kwon, Hyuk Joon;Lee, Cheol Hee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39-346
    • /
    • 201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n effective seed propagation method for Thalictrum rochebrunianum var. grandisepalum (H. Lev.) Nakai by analyzing seed dormancy types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Seeds were collected between September to October at Gangwon province, and well-selected seeds were used while being dry-stored at 4±1℃. The seed size ranged 4.52 × 1.58 ㎜ and the weight of thousand seeds were 1,603.5 ± 0.02 ㎎. The moisture content was 7.2%. Seeds were achene type, and morphology characters showed an elliptical shape and rough texture, and light brown in color. Moist-chilling treatment was conducted for dormancy breaking because the seeds had an undeveloped embryo of liner type. The embryo had developed during a moist-chilling period, constantly, and fully developed in 10 weeks. Consequently, it seemed to be non-deep complex or intermediate complex type of morphophysiological dormancy, and embryo dormancy was broken by wet-chilling for 10 weeks. After 10 weeks of wet-chilling treatment, seed germination began. Germination percentage was higher in dark condition raher than light condition and recorded the maximum at 25℃ in the dark (16.3%). A pre-soaking treatment with a combined plant growth hormones promoted germination and shortened T50. Specifically, seed germination of 84.5% was achieved by pre-soaking of seeds with a combined solution of 500 ㎎/L GA3 and 10 ㎎/L kinetin for 24 h after a wet-chilling treatment for 10 weeks. Thus the effect of plant growth hormones coupled with chilling temperature on seed breaking dormancy provide asubsequent growth of seedlings for successful plantation.

Exogenous Bio-Based 2,3-Butanediols Enhanced Abiotic Stress Tolerance of Tomato and Turfgrass under Drought or Chilling Stress

  • Park, Ae Ran;Kim, Jongmun;Kim, Bora;Ha, Areum;Son, Ji-Yeon;Song, Chan Woo;Song, Hyohak;Kim, Jin-Cheo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5호
    • /
    • pp.582-593
    • /
    • 2022
  • Among abiotic stresses in plants, drought and chilling stresses reduce the supply of moisture to plant tissues, inhibit photosynthesis, and severely reduce plant growth and yield. Thus, the application of water stress-tolerant agents can be a useful strategy to maintain plant growth under abiotic stresses. This study assessed the effect of exogenous bio-based 2,3-butanediol (BDO) application on drought and chilling response in tomato and turfgrass, and expression levels of several plant signaling pathway-related gene transcripts. Bio-based 2,3-BDOs were formulated to levo-2,3-BDO 0.9% soluble concentrate (levo 0.9% SL) and meso-2,3-BDO 9% SL (meso 9% SL). Under drought and chilling stress conditions, the application of levo 0.9% SL in creeping bentgrass and meso 9% SL in tomato plants significantly reduced the deleterious effects of abiotic stresses. Interestingly, pretreatment with levo-2,3-BDO in creeping bentgrass and meso-2,3-BDO in tomato plants enhanced JA and SA signaling pathway-related gene transcript expression levels in different ways. In addition, all tomato plants treated with acibenzolar-S-methyl (as a positive control) withered completely under chilling stress, whereas 2,3-BDO-treated tomato plants exhibited excellent cold tolerance. According to our findings, bio-based 2,3-BDO isomers as sustainable water stress-tolerant agents, levo- and meso-2,3-BDOs, could enhance tolerance to drought and/or chilling stresses in various plants through somewhat different molecular activities without any side effects.

냉장 기간이 긴 진공포장 우육의 숙성 효과 (Aging Effect of Vacuum- Packaged Beef Loins with a Long Chilling Period)

  • 문윤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7-133
    • /
    • 2005
  • 진공 포장한 우육을 $0\pm1^{\circ}C$에서 8주간 냉장하면서 숙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우육의 경도, 저작성 및 전단력은 냉장 5주까지 저하되어 연화 효과가 있었으나 6주 후에는 그 효과가 없었다. 근원섬유단백질의 추출성, Mg-ATPase활성 및 근원섬유 소편화도는 6주까지 높아졌으나 그 후 8주까지 변화하지 않았다. 우육의 색도는 냉장 8주까지 양호하였다. 우육의 기호도는 5주까지 향상되었으나 6주 이후에는 오히려 저하되었다. 진공포장하여 냉장한 우육의 숙성 효과는 5주까지 기대할 수 있었다.

Effect of Rapid Chilling on Beef Quality and Cytoskeletal Protein Degradation in M. longissimus of Chinese Yellow Crossbred Bulls

  • Mao, Yanwei;Zhang, Yimin;Liang, Rongrong;Ren, Lulu;Zhu, He;Li, Ke;Zhu, Lixian;Luo, Xi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8호
    • /
    • pp.1197-1204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apid chilling (RC) on beef quality and the degradation of cytoskeletal proteins. Twenty Chinese Yellow crossbred bulls were selected and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RC and conventional chilling (CC) were applied to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rcasses respectively after slaughtering. To determine whether electrical stimulation (ES) treatment can alleviate the potential hazard of RC on meat quality, ES was applied to one group. The effects of RC and ES were determined by meat color, shear force and cytoskeletal protein degradation postmortem (PM). The results showed that RC decreased beef tenderness at 1 d and 3 d postmortem, but had no detrimental effect on meat color. Western blotting showed that RC decreased the degradation rate of desmin and troponin-T, but the effects weakened gradually as postmortem aging extended. Degradation rates of both desmin and troponin-T were accelerated by ES. The combination of RC and ES could improve beef color, accelerate degradation rate of cytoskeletal protein and improve beef tenderness.

파종 전 저온, $GA_3$ 및 광 처리가 시호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 Pretreatment with Chilling, $GA_3$ and Light on Bupleurum falcatum Germination)

  • 강진호;김동일;류옥경;김은실;김영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84-391
    • /
    • 1997
  • 산형과 약용작물인 시호의 재배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의 하나는 발아 불량에 의한 입묘 실패라할 수 있다. 따라서 파종 전 종자에 손쉽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입묘율을 증진할 수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재래시호와 최근에 육성된 장수시호를 공시하여 치상 전의 $GA_3$ 처리 [0(물), 0.01, 0.1mM (농도) : 2, 4, 8일 (기간)] 또는 저온처리기간 (0, 4, 8주)에 가하여지는 광질처리 (적색광, 백색광, 암)가 발아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요인별 평균 발아율은 공시품종, GA$_3$ 침지기간 또는 광질처리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던 반면, 물과 $GA_3$ 처리 또는 $GA_3$ 처리농도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2. 물로 침지하면서 광질처리를 가할 경우 평균발아율은 장수시호보다 재래시호에서 높았고, 2~4일간 침지하거나 침지과정 중 적색광을 처리할 경우 발아가 향상ㆍ촉진되는 경향을 보였다. 3. 공시품종별 발아율에서 재래시호는 광질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2일간 물로 침지하면서 광질처리를 가할 경우 발아율이 가장 높았던 반면, 장수시호는 4일간 침지하면서 적색광을 가할 경우 가장 높았다. 4. 치상 전 저온처리를 가하지 않는 상태에서 광질처리를 할 경우 발아율이 가장 높았으며 발아과정에서는 암상태보다는 백색광에서 발아율이 향상되었다. 5. 저온처리를 가하지 않은 경우 평균 발아율은 광질처리간 차이가 없고, 장수시호보다는 재래시호에서 높다고 할지라도 장수시호는 2일간 물에 침지시킨 후 발아과정에서 빛이 있어야 발아율이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 PDF

외생 살리실산과 일산화질소 처리가 고추묘의 저온 내성 및 병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ogenous Application of Salicylic Acid or Nitric Oxide on Chilling Tolerance and Disease Resistant in Pepper Seedlings)

  • 박송이;김흥태;오명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29-336
    • /
    • 2014
  • 저온은 식물 생장을 저해하는 주된 요인이며 병원균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식물체에서 스트레스 내성을 증대시키는 것은 불리한 환경 조건에서 살아남기 위한 중요한 전략이다. 본 실험의 목적은 고추 묘에서 저온 내성과 식물병 발생에 대한 외생 살리실산(SA)과 일산화질소(NO) 처리의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정식 후 23일 동안 고추 묘(Capsicum annuum L. '기대만발')는 온도 $20/25^{\circ}C$(낮/밤), 광주기 15시간, 광도 $145{\pm}5{\mu}mol{\cdot}m^{-2}{\cdot}s^{-1}$의 정상적인 생육환경에서 자랐다. 1주일에 2번 계면활성제 0.1%를 포함한 SA와 NO 3mL을 고추 묘에 각각 분사해주었다. 처리 후 고추 묘는 암 상태에서 6시간 동안 $4^{\circ}C$ 저온에 노출시킨 후 정상적인 생육환경에서 2일 동안 회복시켜주었다. 저온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 내성을 평가하기 위해 저온 처리 후 생육특성, 엽록소 형광 값, 세포막 투과성을 측정하였다. 총 페놀릭 농도와 항산화도는 실험하는 동안 측정하였다. 또한, 고추의 점무늬병과 풋마름병 발생 정도도 조사하였다. 저온 처리 전 후를 비교하여 대조구 고추묘에서는 저온에 의해 상대적으로 많은 수분을 손실하여 건물율이 높지만 SA와 NO 처리 된 고추 묘는 비슷한 건물율을 유지하였다. 저온 처리 후 대조구에 비해 SA와 NO 처리구의 전해질 유출 값은 더 낮았다. 저온 처리 동안 SA와 NO 처리구의 엽록소 형광값은 약 0.8 수준으로 유지하였지만 대조구는 빠르게 감소하였다. 화학적 처리 동안 SA 처리구의 총 페놀릭 농도와 항산화도는 NO 처리구보다 높았다. 또한 저온 처리 후 대조구와 NO 처리구의 총 페놀릭 농도는 증가하였다. 고추에서 풋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은 SA가 보다 효과적이었다. 본 실험의 결과는 SA와 NO의 외생처리는 고추 묘의 저온 내성을 증대시켰고 병 발생 정도를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준다.

CuZnSOD와 APX를 엽록체에 발현시킨 담배식물체의 Highlight와 Chilling 스트레스에 대한 광합성 효율 (Photosynthetic Efficiency in Transgenic Tobacco Plants Expressing both CuZnSOD and APX in Chloroplasts against Oxidative Stress Caused by Highlight and Chilling)

  • 김윤희;권석윤;방재욱;곽상수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399-403
    • /
    • 2003
  • 환경스트레스에 대한 항산화효소의 보호효과를 이해하고 효과적인 스트레스내성 식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CuZnSOD와 APX를 엽록체에 발현시킨 형질전환식물체 (CA식물체)에 강한 빛 (highlight, 1,100$\mu$mol m$^{-2}$ sec$^{-1}$)과 4$^{\circ}C$ chilling을 처리하였다. CA식물체 잎절편에서의 보호효과를 CuZnSOD을 도입한 SOD식물체, APX을 도입된 APX식물체 및 비형질전환식물체 (NT식물체)의 것과 비교하였다. CA식물체의 광계2에서의 광합성 효율 (Fv/Fm)은 highlight와 4$^{\circ}C$ chilling복합처리 1시간째에서 NT식물체에 비해 약 15%의 보호효과를 나타내었고, 광계1에서의 P700 redox state는 처리 후 3시간째에 약 23%의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SOD식물체와 APX식물체의 복합처리에 대한 보호효과는 CA식물체와 NT식물체의 중간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엽록체에서 CuZnSOD와 APX의 동시발현이 highlight와 chilling에 의한 산화스트레스를 극복하는 데 매우 중요하게 관여함을 직접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냉온처리 전후의 광환경 조건이 오이 묘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ght Condition before and after Chilling Treatment on the Surviv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Cucumber (Cucumis sativus L.) Seedlings)

  • Yooun Il Nam;Young Hoe Woo;Hyung Jun Kim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65-171
    • /
    • 2001
  • 겨울철 시설내에서 정전 등으로 인하여 수시간 동안 작물체가 생육한계 온도로 경과시 오이묘에 나타나는 피해와 피해발생의 생리적 요인 및 피해 경감대책을 구명하기 위하여 저온처리 전후의 광환경 조건이 오이 묘의 생존율 및 생육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냉온처리(2$^{\circ}C$, 48시간)에 따른 오이묘의 생존율은 암기말인 07:00시 처리에서 30.6%이었고, 암기 개시기인 18:00시 처리에서는 92.2%로 높았다. 세포의 전해질 누출은 07:00시 처리에서(72시간) 57.1%, 18:00시 처리에서는 25.9%로 낮았다. 누출액중 무기이온 함량은 $K^{+}$ 이온이 가장 많았고, $Na^{+}$, $Mg^{+2}$ , $Ca^{+2}$ 순으로 적었다. 냉온처리전 야간에 광을 조사하면 생존율이 광 무처리에 비해 56% 더 높아졌으며, 광조사는 2시간 처리로 충분한 효과가 있었다. 광 조사에 의하여 생존율이 높아지는 것은 광합성에 의한 당함량의 증가 때문인 것으로 해석 되었다. 냉온처리(3$^{\circ}C$, 48시간) 기간중 광을 조사하면, 생존율이 43.3%로 낮아진 반면, 암조건에두면 92%로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