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ren self-esteem

검색결과 592건 처리시간 0.026초

청소년의 스마트폰의존 변화유형분석과 방임이 자기결정성을 매개로 스마트폰의존에 미치는 영향 (The Latent Class Analysis for adolescent's dependence on smartphone : Mediation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in the Influence of neglect to adolescent's dependence on smartphone)

  • 이경은;염동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383-394
    • /
    • 2018
  • 현대 청소년은 스마트폰의 기능과 다양한 앱의 내용을 이해하는 수용력,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비판력, 창조적으로 다양한 정보를 이용해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나가야 한다. 하지만 많은 청소년이 스마트폰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종단분석을 사용하여 청소년 스마트폰 의존의 양태에 따라 분류된 하위집단의 잠재프로파일별로 스마트폰의존에 방임과 자기결정성이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 초4패널을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청소년 스마트폰의존의 변화양태에 따라 분류된 잠재프로파일별로 스마트폰의존에 부모의 방임과 자기결정성이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성장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의존 변화양상에 따른 잠재계층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스마트폰의존 정도가 감소되는 유형과 스마트폰의존 정도가 증가되는 유형의 2가지로 분류되었다. 둘째, 스마트폰의존 감소집단은 부학력이 높고, 초기 자아존중감이 높으며, 초기 또래애착이 낮았다. 셋째, 방임의 변화양상은 스마트폰의존 감소집단이 방임이 더 증가하였다. 넷째, 스마트폰의존 감소집단에서는 방임과 스마트폰의존 사이에서 자기결정성이 완전매개효과로 분석되었지만, 스마트폰의존 증가집단에서는 자기결정성이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혼이민여성의 가족생활 적응전략 (Adaptation Strategy of Family Life of Migration Woman by Marriage)

  • 성향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316-32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여성이 가족생활적응을 위하여 아내, 며느리, 어머니로서 어떠한 적응 전략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는지를 밝힘으로서 이들의 실천적 적응 전략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8명의 결혼이민여성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으로 가족 내 관계의 차원 즉 부부관계, 시부모관계, 자녀관계를 중심으로 가족생활적응전략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부부관계 적응전략에서 '착한 남편 바라보고 살기', '남편은 나의 편이어야 함', 시부모관계 적응전략에서 '시집식구 배제하기', '돌봄의 수용', 자녀관계 적응전략에서 '자녀를 결혼생활의 목표로 삼음', '지역사회와 통합', '부모로서의 권위 갖추기', '한국 사람처럼 가르치기', 심리적 적응전략에서는 '정체성의 유지와 변화수용', '자존감 지키기', '마음비우기'의 11개 주제와, 26개의 주제묶음, 76개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결혼이민 여성의 가족관계에 따른 적응전략의 본질을 밝히고 가족생활 적응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공보건조직에서의 방문간호사업모형개발 : 보건진료소 방문간호사업 (Development of a Home Health Care Model in the Public Health System -Visiting Health Service by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 한경자;박성애;하양숙;윤순녕;송미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72-484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ome health care model in the public health system an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model. Seven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in Yon- Cheon county. Kyunggi province, carried out home health care service for this research. The subjects of the home health care were a total of 111 community residents with chronic health problems and risk-prone infants and children; 29 persons with hypertension, 18 persons with diabetes, 12 persons with neurologic problems, 12 elderly, and 40 infants and children. During the period of study, from December, 1993 to March, 1995, a demonstrative home health care model was developed in the Yon-Cheon County community health centers with the cooperation of the Yon-Cheon Medical Center and Yon-Cheon Public Health Center for the first six months. A home care practice manual and recording system for home visits were also co-developed by the researchers and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Four workshops and monthly conferences were held for this purpose. Actual home care practice took place for two months, and on-going evaluation and replanning accompanied this process.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of home care service were as follows. 1) For persons with hypertension, diabetes, neurologic problems,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knowledge of disease and car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een in health behavior or symptoms after home care service. 2)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een in level of self esteem or depression after reminiscence therapy among 12 elderly subjects.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toward child rearing and parental sup-port,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 needs for parental role after home care service among parents of infants and children. 4)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subjects after the home care service. 5) Subjects responded that they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home care service given by the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Although, the actual implementation period was very short, and not all of the evaluation outcome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the home health care model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was, in general, positively evaluated. Through this re-search, the possibility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working as active home care personnel in the public health care system is supported. Further research with an expanded area and subjects for a longer period is recommended. Cost effectiveness research is also needed.

  • PDF

소아청소년 정신과 영역에서의 새로운 약물치료:새로운 장기작용형 중추신경자극제 (NEW DRUG THERAPY I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NEW LONG-ACTING PSYCHOSTIMULANTS)

  • 최성구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4권1호
    • /
    • pp.3-11
    • /
    • 2003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는 소아 청소년기의 가장 흔한 정신 장애이다. 이 장애의 기본 증상 및 이차 증상으로 인하여 본 장애를 가진 아동들은 학교 생활의 어려움, 학업성취도의 저하, 가족이나 친구관계 등 대인관계의 문제를 보이며, 장애가 적절하게 치료되지 않으면, 우울증과 같은 이차적인 정신장애로 발전하기도 하며, 물질남용, 행동장애, 반사회적 인격장애 등과 같은 장애와도 연관되어 있다. 현재까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치료로 가장 선호되는 것은 메칠페니데이트나 암페타민 등의 중추신경자 극제이다. 이들 약제의 작용기전은 여전히 불분명한 부분도 있으나, 대체적으로 뇌에서 도파민 등의 카테콜아민 농도를 증가시켜서 시냅스 효율을 높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효과 측면에서도 정신약물학 분야에서 본 중추신경자극제에 의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의 치료는 정신질환의 어떤 치료법보다도 효과적이다. 지금까지 중추신경자극제의 최대 단점은 짧은 작용시간으로 인하여 하루에도 여러 차례 복용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본 약제를 복용하는 아동들은 동료로 부터 문제아로 낙인이 찍힐 가능성이 높으며, 낮은 약물 순응도, 사회적 편견 등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았다. 이로 인하여 중추신경자극제의 장기 제형 개발은 꾸준히 시도되었고, 최근에는 본 장애의 병태생리에 대한 새로운 연구결과를 반영한 보다 진보된 형태의 장기 작용형 중추신경자극제가 등장하였다. 본 고찰에서는 이들 제형들의 특징을 소개하였다. 이들 새로운 제형의 중추신경자극제들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를 가진 아동 뿐만 아니라 장애아의 부모나 학교 교사에도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소아암환자들을 위한 노래 만들기(Songwriting)의 음악치료적 적용 (Songwriting as Therapy with Pediatric Patients Undergoing Cancer Treatment)

  • 황지혜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5권2호
    • /
    • pp.67-92
    • /
    • 2008
  • 이 연구는 노래 만들기가 소아암을 치료받고 있는 과정중의 어린 환자들에게 어떻게 음악치료적인 목적으로 적용되어왔는지를 보여주는 연구이다. 본 연구자는 소아혈액종양학과에서 음악치료 인턴을 하면서 노래 만들기를 통하여 쉽게 표현하지 못했던 자신들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노래 만들기를 통해 환자들과 음악치료사가 깊은 믿음을 바탕으로 건강한 치료적 관계가 형성되었으며, 그 관계는 환자가 병원환경에 좀 더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본 연구의 사례연구에서는 환자 N이 소아 뇌종양을 치료를 받고 있는 자신의 삶에 대한 감정과 생각들을 노래 만들기를 통해 표현하였으며, 더 나아가 환자 N은 자신의 창조성과 내면의 힘(inner strength)을 자신이 만들어낸 음악을 통해 의식함으로써 자존감을 증진시키게 되었다.

  • PDF

Outcomes into Adulthood of Survivors Born Either Extremely Low Birthweight or Extremely Preterm

  • Doyle, Lex W
    • Neonatal Medicine
    • /
    • 제25권1호
    • /
    • pp.7-15
    • /
    • 2018
  • We need to understand the outcomes into adulthood for survivors born either extremely low birthweight (ELBW; <1,000 g) or extremely preterm (EP; <28 weeks' gestational age), particularly their blood pressure and cardiovascular metabolic status,respiratory function, growth, psychological and mental health performance, and functional outcomes. Blood pressure is higher in late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in ELBW/EP survivors compared with controls. In some studies, expreterm survivors have higher insulin and blood lipid concentrations than controls, which may also increase their risk for later cardiovascular disease. ELBW/EP survivors have more expiratory airflow obstruction than do controls. Those who had bronchopulmonary dysplasia (BPD) in the newborn period have even worse lung function than those who did not have BPD. As a group, they are unlikely to achieve their full lung growth potential, which means that more of them are likely to develop chronic obstructive airway disease in later life. Although they are smaller than term born controls, their weight gradually rises and ultimately reaches a mean z-score close to zero in late adolescence, and they ultimately attain a height z-score close to their mid-parental height z-score. On average, ex-preterm survivors have intelligence quotient (IQ) scores and performance on tests of academic achievement approximately 2/3 SD lower than do controls, and they also perform less well on tests of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 They have similar high rates of anxiety and depression symptoms in late adolescence as do controls. They are, however, over-represented in population registries for rarer disorders such as schizophrenia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In cohort studies, ex-preterm survivors mostly report good quality of life and participation in daily activities, and they report good levels of self-esteem. In population studies, they require higher levels of economic assistance, such as disability pensions, they do not achieve education levels as high as controls, fewer are married, and their rates of reproduction are lower, at least in early adulthood. Survivors born ELBW/EP will present more and more to health carers in adulthood, as they survive in larger numbers.

Horticultural Activity Interventions and Outcomes: A Review

  • Park, Sin-Ae;Lee, A-Young;Lee, Geung-Joo;Kim, Dae-Sik;Kim, Wan Soon;Shoemaker, Candice A.;Son, Ki-Cheol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4호
    • /
    • pp.513-527
    • /
    • 2016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review the current research about the outcomes of horticultural activity interventions in order to determine research trends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horticultural activity interventions. We reviewed the literature using search engines such as the Web of Science, Proquest Dissertation and Theses, Academic Search Premier,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nd Korean National Assembly Digital Library to locate journal articles that include relevant search terms (e.g., gardening activity, gardening program, allotment garden, urban agriculture, horticultural therapy, and horticultural activity). We initially identified 14,414 journal articles that were published before April 2014 and selected 509 of the papers for review. We found that studies investigating treating children and adults 8 to 64 years old were the most common, and horticultural activities such as gardening outdoors, planting indoors, making crafts with live plants, arranging flowers, making crafts with artificial or pressed flowers, and other activities were usually combined. Short/medium term (11 to 20 sessions)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s were the most frequent, and most interventions were of medium duration (> 60 min to 120 min). Most of the studies focused on the psychological or emotional effects of horticultural intervention, such as its effects on emotional intelligence, self-esteem, stress, and depress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analyze the research methodology, specific outcomes, and strengths or weaknesses of studies investigating horticultural activity interventions.

농촌 복지의 문제와 발전방안 (Contemporary Problems and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Rural Welfare)

  • 최영창;김성수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8권2호
    • /
    • pp.263-271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the current problems of rural welfare and to suggest desirable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welfare in rural Korea. Specific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rural welfare and to search for the desirable directions for rural welfare development in Korea.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Some of the current problems of rural welfare were; (1) difficulty in getting a job for stable income, (2) seriousness of medical care and aging of rural population, (3) decrease in number of rural school children and unfavorabl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4) insufficiency in facility, manpower and program for recreation and cultural activities in rural area. 2. Problems of rural welfare were not independent in rural Korea, but the most of the problems were interrelated to each other. Integrated and comprehensive approach would be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s of rural welfare. 3. Clean environment, stable and rewarding life, pride and self esteem of rural occupation should be the goals of better integrated rural welfare development, and healthfulness and quality of life should be ensured in rural society. 4. Urban oriented national policy based on urban centered political power was one of the causes of under development in rural welfare by creating rapid decrease in rural population and aging. Various problems in economic, educational, cultural and medical aspects of rural society should be solved. Further research on rural welfare should be conducted to increase and to strengthen rural welfare development in Korea.

  • PDF

다문화정책 시사점 도출을 위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of Multicultural Families Adolescents's School Resilience for The Multicultural Policy Implications)

  • 임선모;신정숙;손재홍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175-183
    • /
    • 2012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이 학교적응유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어떤 보호요인이 위험요인을 조절하여 학교적응유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위험요인은 학교적응유연성에 부(-)적인 영향을, 보호요인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높은 자존감은 부정적 양육태도를, 긍정적 태도는 부정적 양육태도와 부부갈등을, 교사지지는 부정적 양육태도를 조절하여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학교적응유연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으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조절관계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을 높이기 위한 위험요인 감소 방안을 제시하였다.

외배엽 이형성증 어린이의 구강 회복: 증례보고 (ALTERNATIVE ORAL REHABILITATION OF A CHILD WITH ECTODERMAL DYSPLASIA: A CASE REPORT)

  • 이은경;김지연;김신;정태성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3-27
    • /
    • 2017
  • 본 증례에서와 같이 외배엽 이형성증 환자에서는 획일화된 치료 방법은 없다. 술자 입장에서는 기능적 또는 형태적으로 완벽한 장치가 아니라 할지라도, 외배엽 이형성증의 무치악 환아에게는 심미적 요구가 만족됨으로써 자존감을 드높일 수 있는 치료가 될 수 있다. 특히 외배엽 이형성증 환아는 어린 나이에 의치 장착을 시작하기 때문에 환자의 나이와 구강상태, 심미적인 요구 수준, 저작 방법 등 여러가지를 고려한 개별적 맞춤화 과정을 통해 치료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환자의 성장에 맞춰 장치를 교환해주며 타 과와의 활발한 교류로 최선의 치료를 해주는 것이 추천되며, 술자와 환자 및 환자 보호자간의 충분한 대화를 통해 치료 방법을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