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care center teacher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4초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COVID-19 구강건강관리의 영향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oral healthcare among children and teachers in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s)

  • Myoung-Hee Kim;Eun-Joo Hong;Yu-Jin Kwon;Young-Sun Hwang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485-494
    • /
    • 2022
  • 연구목적: COVID-19로 인해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의 교육 방식이 변화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이전과 COVID-19 시기의 유아 구강건강관리 실태와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들의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만 3-5세 아동을 담당하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189명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통계분석은 빈도분석과 카이제곱 검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COVID-19 이전보다 COVID-19 이후 아동의 점심식사 후 칫솔 사용 횟수, 구강보건교육 및 정기 구강검진 횟수, 보육교사의 구강보건교육 경험률이 감소했다. 또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육자들은 보건소 구강보건담당자가 가장 바람직한 구강보건교육자라고 응답하였다. 결론: COVID-19 팬데믹 이후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영유아의 구강건강관리가 취약해졌다. 구강위생과 구강건강교육을 통해 이를 회복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구강건강교육자로서 치과위생사의 역할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어린이집 재원시간에 따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어린이집 질적수준의 중재효과 (The Effect of Hours in Child Care Centers on Children's Daily Stres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Child Care Quality)

  • 김정화;이재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57-37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어린이집 재원시간과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어린이집 질적 수준의 일상적 스트레스 중재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 10개소와 그곳에 재원중인 만 3세부터 만 5세까지 유아 380명을 대상으로 질적 수준 평가 및 일상적 스트레스 검사를 하였고, 결과 분석을 위해 일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 조절적회귀분석,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하루 재원시간이 7시간 이하인 유아보다 하루 9시간 이상인 유아의 경우가 더 높았다.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에 따라서는 공간 및 설비, 일상적 양육, 언어추론, 상호작용, 활동, 프로그램 구성, 부모 및 교직원의 7가지 변인 중,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 수준이 낮을수록, 부모와 교직원의 협조 및 전문성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높았다.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 중 하루 9시간 이상 장시간 재원하는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를 중재하는 변인은 언어추론, 상호작용, 부모와 교직원 변인이었는데, 구체적으로 언어추론 활동이 활발하고 교사와 유아간의 상호작용이 긍정적이며 부모와 교직원의 협조 및 전문성 수준이 높았을 때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감소하는 중재효과가 있었다.

중년기 여성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에서 자아방어기제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Coping Stress between Middle-aged Women's Stress and Defense Mechanism)

  • 김선희;김진선;고선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524-53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여성들이 겪는 스트레스와 그에 대한 대처방식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적극적인 대처방식의 촉진을 위한 개입 변인들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S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중년기여성 만 35세~59세 400명 이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여성의 스트레스, 자아방어기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는 첫 번째, 역할스트레스는 적응적 방어기제를 제외한 미성숙 방어기제, 자기억제적 방어기제, 갈등회피적 방어기제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문제중심 대처는 역할스트레스 및 일상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 번째, 미성숙 방어기제의 경우에는 문제중심대처와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낸 반면, 정서중심대처 및 소망추구적 사고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방어기제 유형 중 중년기여성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는 적응적 방어기제가 문제중심적 대처방식, 정서중심적 대처방식, 소망추구적 사고 대처에서는 조절효과가 있음이 확인 되었으나, 사회지지적 대처방식에는 조절효과가 없음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연구의 결과는 중년기여성의 스트레스 완화에 자아방어기제의 조절효과를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