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cks

검색결과 1,025건 처리시간 0.027초

사료중 어유가 급성기 반응중인 육계 병아리에서 에너지 대사와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 박인경;김재환;임진택;이성일;고태송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3년도 제20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73-74
    • /
    • 2003
  • 육계 병아리에서 어유 함유사료 급여에 의한 급성기 반응중의 생산성 감소 완화와 단백질 대사, 에너지 대사 및 항산화효소 활성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병아리에 1일령부터 어유 사료를 급여하면 급성기 반응중에 에너지 밸런스를 높이나 성장률, 요산 배설량과 질소 밸런스가 낮아지지 않았으며, 대두유 함유 사료를 급여한 것에 비하여 간장과 적혈구 세포액의 SOD 활성을 높였다. 이러한 결과는 어유 함유사료 급여로 급성기 반응중의 증체량 감소가 완화되는 효과는 항산화효소계의 조정과 에너지 급원의 소화관내 흡수 증가에 기인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 PDF

부화 전후 영양, 부화 후 유지시간, 그리고 In Ovo Feeding (Perinatal Nutrition, Post-Hatch Holding Time and In Ovo Feeding)

  • 문양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10
    • /
    • 2019
  • 닭의 성장과정에서 어린 병아리의 발달에 가장 결정적인 시간으로 인식되는 시점은 부화 전 수일부터 부화 후 수일간이다. 부화 전후의 충분한 영양소 공급은 배아의 최종 발달과 병아리의 초기성장에 결정적 기여를 한다고 볼 수 있다. In ovo feeding에 의한 탄수화물 또는 아미노산의 공급은 부화 전 후의 소화장기 발달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Prebiotics과 synbiotics 등에 대한 in ovo 주입은 건강한 미생물 균총 형성 등을 제공하여 영양적, 면역적 측면에서 좋은 결과들을 볼 수 있지만, 연구 결과의 수적 제한과 in ovo 주입의 양과 주입 부위 및 주입시기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탄수화물을 이용한 in ovo feeding은 부화시 체중 증가를 보이지만 육계의 부화 후 능력에는 크게 영향을 보이지 않으며, 탄수화물 주입에 따른 부화율 감소는 기술적 요인(최적 농도, 주입 장소, 부피 등)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In ovo feeding에 의한 아미노산 공급은 병아리의 세포성 면역과 체액성 면역을 높여 초기 면역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In ovo feeding은 부화 전후의 최적의 영양소 공급과 면역력 증진 및 절식에 따른 병아리의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는 실용적인 기술이 될 수 있다.

영상기반 축사 내 육계 검출 및 밀집도 평가 연구 (Study on image-based flock density evaluation of broiler chicks)

  • 이대현;김애경;최창현;김용주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73-37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육계 복지관리를 위해 영상 기반의 육계 군집 모니터링을 수행하였으며, 촬영된 영상 내육계 영역을 검출하고 좌표변환을 이용한 지면 투영과 밀집도를 평가하였다. 평사 구조의 육계사에서 광역 범위의 육계 군집을 촬영하였으며 육계 영역은 카메라로부터 수집된 RGB 영상을 HSV 모델로 변환한 후 임계치 처리 및 군집화를 통해 검출하였다. 영상처리를 통해 검출된 육계 영역은 카메라-월드 좌표계 변환을 이용하여 지면에 투영한 후 실제 면적을 계산하였으며, 계산된 면적을 이용하여 밀집도를 평가하였다. 영역 검출 결과 상대오차 및 IoU가 평균 5%, 0.81로 각각 계산되었으며, 좌표변환을 통한 실제 면적은 약 7%의 오차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실제 면적 내 육계영역의 비율을 이용하여 밀집도를 계산하였으며 평균 80% 수준으로 나타났다. 영역 검출의 경우 작거나 멀리 존재하는 면적에 대해서는 검출 성능이 다소 떨어졌으며, 실제 면적 평가는 축사 내 구조물 등에 따른 오차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기술을 축사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데이터 기반의 알고리즘의 검출 성능 향상 및 마커 등을 이용한 기준정보 추가 설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재래닭에 있어 조우성과 만우성 깃털의 발생 양상 및 형태적 특성 고찰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eather Developing Pattern and Morphology in Early- and Late-Feathering Korean Native Chickens)

  • 방민희;조은정;조창연;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55-165
    • /
    • 2018
  • 닭의 깃털은 날개깃과 꼬리깃의 발달과 형태에 따라 조우성과 만우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현재, 병아리 성 감별법 중 조우성과 만우성을 이용하여 부화 시 깃털 발생양상의 차이에 따른 깃털감별법이 산업적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재래닭에 있어 자가성감별 계통 조성을 위하여 조우성 병아리와 만우성 병아리의 분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 것으로 한국재래닭 856수를 대상으로 발생 시부터 55일령까지 병아리의 날개깃과 꼬리깃의 발달 양상과 형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K-특이 유전자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로서 조우성과 만우성 닭의 표현형과 유전자형 간의 일치도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조우성 병아리는 긴 주익우와 부익우를 가지며, 주익우와 부익우 간 확실한 길이의 차이를 보였다. 반면, 만우성 병아리는 조우성 병아리보다 짧은 주익우와 부익우를 보였으며, 주익우와 부익우 간 길이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우성 병아리는 날개깃 모양에 따라 LF-Less, LF-Scant, LF-Equal 및 LF-Reverse와 같은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조우성 병아리의 주익우는 만우성 병아리에 비해 15일령까지 1.5배 정도 더 길다가 50일령에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꼬리깃의 경우, 조우성 병아리는 5일령 때 명확하게 보이지만, 동일시기에 만우성 병아리는 짧고 불명확하였다. 발생 시 주익우 길이 9 mm를 기준하여 조우성과 만우성 개체로 구분하였을 때 조우성은 96.2%, 만우성은 85.4%의 분류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재래닭에 있어 조우성 병아리와 만우성 병아리의 깃털 형태 및 발달 양상의 차이가 뚜렷하기 때문에 발생 시점에서 조우성과 만우성을 쉽게 구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닭의 에너지 대사(代謝)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Energy Metabolism of Growing Chicken)

  • 권순기;오홍록
    • 농업과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540-545
    • /
    • 1982
  • 한국(韓國)에서 사육(飼育)되고 있는 닭의 육용종(肉用種) Hubbard bro.와 Cobb 및 난용종(卵用種) Hy line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육종(育種)된 한협(韓協)325호(號)의 병아리를 공시동물(供試動物)로 하고 개방식중량측정형(開放式重量測定型) 호흡시험장치(呼吸試驗裝置)를 사용(使用)하여 에너지대사량(代謝量)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병아리를 9 주령(週齡)까지 cage에서 사육(飼育)한 1수당(首當) 평균(平均) 체중(體重)은 Hubbard bro.가 2570.7g이고 Hy line은 776.9g였으며 한협(韓協)325호(號)는 748g 이었다. 2. 주별(週別) 1 수당(首當) 사료섭취양모(飼料攝取量)은 3주령(週齡)에서 Hubbard bro. 가 54.6g으로 Hy line의 26.7g에 약(約) 2배(倍)였으며, 8령(週齡)에서는 151.1g과 57.2g 으로 약(約) 3배(倍) 정도(程度)였다. 음수량(飮水量)은 5주령(週齡)에서 Hubbard bro.가 1일(日) 평균(平均) $226m{\ell}$, Hy line 이 $58m{\ell}$, 8주령(週齡)에서는 $282m{\ell}$$70m{\ell}$였다. 3. 분(糞)의 배설량(排泄量)은 4주(週)와 8주령(週齡)에서 완전건조상태(完全乾燥狀態)로 1일(日) 1수당(首當) Hubbard bro.가 18.7g과 41.5g이었고 Hy line은 6.1g과 10.0g이었다. 4. 에너지 섭취량(攝取量)과 배설량(排泄量)은 3, 5, 8주령(週齡)에서 사료섭취(飼料攝取)에너지와 분(糞)의 배설(排泄)에너지를 측정(測定)하여 대사(代謝)에너지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Hubbard bro. 는 75.4~77.1%였고 Hy line은 75.0~83.5%로 난용종(卵用種)의 사료이용율(飼料利用率)이 높았다. 5. 병아리의 호흡상(呼吸商)은 육용종(肉用種)이나 난용종간(卵用種間)에 차이(差異)를 인정(認定)할 수 없었으며 0.78에서 0.97사이였는데 사료섭취량(飼料攝取量)이 적으며 0.78로 떨어졌으며 많아짐에 따라 0.97로 증가(增加)하였다. 6. 대사체중(代謝體重)에 대한 에너지의 발생량(發生量)은 83.1~123.1Kcal로서 24시간(時間)동안 사료(飼料)의 섭취(攝取)를 거의 하지 않은 상태(狀態)에서는 83.4Kcal로 기초대사량(基礎代謝量)에 근사(近似)하였고 동물상내(動物箱內)의 온도(溫度)가 $27{\sim}34^{\circ}C$로 높을 때에는 123.1Kcal로 증가(增加)하는 현상(現像)을 나타냈다.

  • PDF

성장중인 닭에 있어서 맹장절제수술이 질소의 이용률과 요산의 배설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ecectomy on Nitrogen Utilization ]Rate and Uric Acid Excretion in Growing Chicks)

  • Son, J.H.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49-253
    • /
    • 2002
  • 본 연구는 성장중인 닭에 있어서 질소 이용에 미치는 맹장절제 및 요소사료 첨가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시험 사료는 19% 단백질 사료와 여기에 1% 요소를 첨가한 사료를, 시험 닭은 모의수술을 실시한 대조구와 맹장절제 수술을 실시한 처리구를 이용한 2 $\times$ 2의 요인시험법으로 행해졌다. 6일 동안의 본 시험기간 동안 물과 사료는 자유 섭취시켰다. 맹잘절제 수술닭의 사료효율은 요소의 급여에 의해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19% 단백질사료 급여조건에서 맹장절제 수술 닭은 소화관내 사료의 통과시간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지만(P<0.05), 반대로 19% 단백질사료 + 1% 요소 급여조건에서는 유의하게 증가시켰다(P<0.05). 맹장절제 수술은 사료에 관계없이 수분 배설량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P<0.05), 요소의 급여는 맹장절제 수술과 관계없이 수분의 배설량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P<0.05). 양 사료 급여조건에서 맹장절제 수술은 요산 질소의 배설량을 체중 1009당 약 30 mg 정도씩 감소시켜서(P<0.05), 총 질소 배설에 대한 요산 질소의 배설비를 유의하기 감소시켰다(P<0.05). 결론적으로 성장중인 닭에서의 맹장절제 수술은 요산의 배설량을 감소시켜서 질소의 이용률을 개선 시켰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이전에 성계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Effects of Multiple Enzyme (ROVABIO® Max) Containing Carbohydrolases and Phytase on Growth Performance and Intestinal Viscosity in Broiler Chicks Fed Corn-Wheat-Soybean Meal Based Diets

  • Lee, So-Yeon;Kim, Jong-Seol;Kim, Jin-Man;An, Byoung-Ki;Kang, Chang-Wo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9호
    • /
    • pp.1198-1204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multiple enzymes composed of phytase plus carbohydrolases (ROVABIO$^{(R)}$ Max, RM) on growth performance, nutritional availability and intestinal viscosity in broiler chicks. A total of one thousand, one-day-old male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allotted into treatment groups that received one of five experimental diets for 32 days. Each group consisted of 40 birds and all experiments included five replicates. The dietary treatments included PC (a positive control diet), NC1 (65 kcal/kg, 0.15% and 0.10% less ME, available phosphorus and calcium levels, respectively, than the PC diet), NC2 (85 kcal/kg, 0.20% and 0.10% less ME, available phosphorus and calcium levels, respectively, than the PC diet), NC1+RM (NC1 plus ROVABIO$^{(R)}$ Max) and NC2+RM (NC2 plus ROVABIO$^{(R)}$ Max). The average body weights, daily body weight gains and feed conversion rates of the chicks fed a diet containing RM improved significantly or tended to improve. The treatments also had no effect on the carcass characteristics or blood parameters, but the viscosity of the intestinal contents of the chicks fed the diet containing RM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hicks in the NC without RM groups. Additionally, chicks fed the dietary RM showed increased breaking strength and ash content of the tibia when compared to chicks that received the non-RM diets.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the addition of multiple enzymes consisting of phytase plus NSP enzymes improved the growth performance and mineral status of the tibia in broiler chickens fed corn-wheat-soybean meal-based diets with reduced levels of nutrients. Fur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improved animal performance is associated with reduced intestinal viscosity by the dietary enzyme complex.

Effect of Methionine Source and Dietary Crude Protein Level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Nutrient Retention in Chinese Color-feathered Chicks

  • Xi, P.B.;Yi, G.F.;Lin, Y.C.;Zheng, C.T.;Jiang, Z.Y.;Vazquez-Anon, M.;Song, G.L.;Knight, C.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6호
    • /
    • pp.962-970
    • /
    • 2007
  • A total of 1,200 LinNan Chinese color-feathered chicks were used to study the effects of methionine source [DL-2-hydroxy-4-methylthio-butanoic acid (HMTBa) or DL-methionine (DLM)] and dietary crude protein (CP) level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whole-body nitrogen and fat retention. The trial was designed as a $2{\times}2$ factorial arrangement, including two CP levels (adequate and low) and two methionine sources (HMTBa and DL-methionine). Diets were formulated for three phases, starter (0-21 d), grower (21-42 d), and finisher (42-63 d). Chicks fed HMTBa had higher daily gain and improved feed efficiency than DLM during the grower phase (p<0.05). A significant two-way interaction was observed for growth performance during the finisher phase and overall (0-63 d). Growth performance was greater for chicks fed HMTBa than DLM on adequate-CP diets (p<0.05), but this was not observed at low-CP level (p>0.05). Chicks fed low-CP diets grew slower, used feed less efficiently during the grower, finisher phase and overall. On d 42, regardless of dietary CP levels, birds fed HMTBa had higher carcass weights, breast and thigh weights than DLM-fed birds (p<0.04). Birds fed low-CP diet had lighter carcass weights and less breast muscle, thigh muscle, and dressing percentage at the end of starter, grower and finisher phases (p<0.05). Whole body composition analyses found that birds fed HMTBa tended to contain more protein and less fat compared to those chicks fed DLM at the end of the starter phase (p<0.10). Low-CP diets increased CP concentration in the whole body at the end of the finisher phase (p = 0.05). HMTBa supplementation increased whole-body N retention rate during the finisher phase and overall (p<0.01), and low-CP diets reduced N intake and whole-body fat retention during the finisher phase and overall (p<0.05). In summary, HMTBa was better than DLM on an equimolar basis for growth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N retention in Chinese color-feathered chicks. Low-CP diets lowered growth performance as well as carcass traits in color-feathered birds, probably due to imbalanced AA profiles.

Effect of a Mixture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Isomers on T Cell Subpopulation and Responsiveness to Mitogen in Splenocytes of Male Broiler Chicks

  • Takahashi, Kazuaki;Kawamata, Kenji;Akiba, Yuki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6호
    • /
    • pp.954-961
    • /
    • 2007
  •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effects of a mixture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isomers on T cell subpopulations and responsiveness to mitogen of splenocytes in male broiler chicks. In experiment 1, birds (8-d old) were fed basal, CLA-(CLA) and safflower oil-supplemented (SA) diets which were formulated by supplementary 10 g CLA or safflower oil/kg to the basal diet for 14 d. Broiler starter diet, which mainly consisted of corn and soybean meal, was served as the basal diet. Proliferative response and interleukin (IL)-2-like activity stimulated by concanavalin (Con) A at a concentration of $10{\mu}g/ml$ of splenocytes in chicks fed the CLA diet were greater than in chicks fed the SA diet, but not at $20{\mu}g$ Con A/ml. Percentage of CD3-positive T cells in splenocytes did not differ between chicks fed the SA diet and CLA. Ratio of CD4-positive T cells to CD8- positive T cell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dietary fat source. In experiment 2, broiler chicks (1-d old) were fed the same diets as in experiment 1 for 14 d. Results of splenocyte proliferation to Con A were similar to those in experiment 1, but phytohemaggulutinin (PHA)- or pokeweed mitogen (PWM)- induced splenocyte proliferation did not differ between the CLA and SA fed groups. Supplementation with SA or CLA to the basal diet tended to have a depressive effect on the proliferation, with the greater effect being that of SA. In experiment 3, effect of an addition of CLA to splenocyte culture medium on splenocyte proliferation was determined. An addition of CLA to the culture medium resulted in reduction of the splenocyte proliferation to Con A, but an addition of linoleic acid. When PWM and PHA were used as mitogen, the inhibitory effect of CLA and linoleic acid on the proliferation did not differ.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effect of dietary CLA on splenocyte proliferation was similar to that of SA, although the effect of dietary CLA on sub-populations was slightly different from that of dietary SA.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larify whether use of CLA would be beneficial for maintaining or enhancing T cell immunity in chicks.

육용계에 있어서 성장단계에 따른 부위별 가식육의 증가양상 추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stimation of Growth Pattern of Meat in the Edible Parts of Broilers in Growing Stages)

  • 김재홍;한성욱;오봉국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63-101
    • /
    • 1982
  • 육용계에서 가식육량을 효과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구명코자 White Cornish종과 S. C. W. Leghorn종. 그리고 이 두 품종의 상반교잡종을 각각 120수씩 계 480수를 공시하여 체중. 부위별 가식육 및 체형의 변화, 이들 형질에 발현된 잡종강세와 반성유전효과 및 화학적 조성분함량을 조사하고. 성장단계별 가식육량을 추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W. Cornish종의 8주시 체중 및 사료요구율과 폐사율을 보면 각각 1,818.8$\pm$47.7g와 2.24 및 3.30%였고 S. C. W. Leghorn종에선 각각 667.8$\pm$28.9g와 3.28 및 2.50%였으며 잡종들의 능력은 이 두 품종의 중간정도로 정상발육을 하였다. 2. 체중에 있어서 계종간 차이는 2주령부터 유의성이 인정되었고. 성장곡선의 회귀방정식에서 성장속도를 표시하는 회귀계수률 보면 W. Cornish종( $b_{cc}$ =1,578)은 S. C. W. Leghorn종 ( $b_{LL}$ =1,378)에 비해 유의적으로 크고 교잡종들은 이 두 품종의 중간값( $b_{LC}$ =1,476, $b_{CL}$ =1,470)을 보인다. 가식육량의 경우도 계종간 증가양상이 체중의 경우와 비슷하였으나 육량증가의 회귀방정식에서 회귀계수의 크기가( $b_{LL}$ =1,563, $b_{LC}$ =1,651, b.$_{CL}$ =1,636, $b_{CC}$ =1,766) 체중에서 보다 컷는데 그 원인이 성장속도 차이때문인지를 구명하기 위해 주령(log x)과 체중에 대한 가식육량비율(log y) 간의 선형관계를 추정한 결과 각 계종의 회귀계수( $b_{LL=0.184}$, $b_{LC}$ =0.175, $b_{CL=0.165}$$b_{CC}$ =0.188)는 모두유의성이 인정되어 가식육의 증가속도는 체중의 증가속도보다 현저히 빠른 것으로 판명되었다. 3. 체중구성요소중 주령경과에 따라 그 중량비율이 증가되는 것은 우모, 복강지방, 흉부 및 퇴경부이고, 감소되는 것은 두부, 경부, 가식내장 및 부가식내장이며 방혈량, 각부, 익부 및 배부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