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stnut insect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3초

Difference of Developmental Time, Survival Rate and Sex Ratio of Dichocrocis punctiferalis (Lepidoptera: Pyralidae) on Three Hosts

  • Choi, Kwang Sik;Han, Kyung Sik;Park, Il Kwan;Hong, Jeong Im;Kim, Chul Soo;Chung, Yeong Jin;Shin, Sang Chul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2호
    • /
    • pp.174-176
    • /
    • 2006
  •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supplying hosts with natural food(chestnut, peach, Quince). The developmental difference of peach pyralid moth, Dichocrocis punctiferalis was examined in the laboratory under three different natural food regime. The periods of egg, larva and pupa were $6.01{\pm}0.07$, $12.23{\pm}0.03$ and $13.32{\pm}0.01$ days on the chestnut fruit, $6.21{\pm}0.01$, $18.69{\pm}0.02$ and $13.38{\pm}0.03$ days on the peach fruit and $7.02{\pm}0.04$, $22.62{\pm}0.04$ and $13.44{\pm}0.14$ days on the quince fruit, respectively. The growth of D. punctiferalis larva was better chestnut fruit than other tested fruits. The rates(%) of hatching, pupation and emergence were 94.0, 57.0 and 63.3 on the chestnut fruit, 89.2, 77.8 and 85.7 on the peach fruit and 79.6, 52.6 and 70.7 on the quince fruit, respectively. The survival rate(%) of D. punctiferalis from hatching to emergence were 31.0 on the chestnut fruit, 4.8 on the peach fruit and 14.3 on the quince fruit, respectively. The sex ratio (female: male) of all pupae obtained on the tested natural food fruits were 52.7 : 47.3. The sex ratio of D. punctiferalis reared on three difference food fruits were no significantly. It can be used a as the basic research for the study of D. punctiferalis.

밤나무에 대한 온도, 광 및 질소시비 조건과 기존 피해 잎이 주둥무늬차색풍뎅이(Adoretus tenuimaculatus) 성충의 유인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ght, Temperature and Nitrogen Fertilization and Damaged Leaf on the Feeding of Chestnut Brown Chafer, Adoretus tenuimaculatus (Coleoptera: Scarabaeidae))

  • 이동운;추호렬;이상명;이영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59-170
    • /
    • 1999
  • Preference of chestnut brown chafer (CBC), Adoretus tenuimaculatus was examined from chestnut leaves which were treated with different light condition, temperature and nitrogen fertilization. More CBC was attracted to leaves which grown at $30^{\circ}C$ than grown at $20^{\circ}C$,$ 25^{\circ}C$ and in the field. When attracted number of CBC was compared among full sunlight-grown, cloth shaded-grown and dark-grown plants, 4.0 in full sunlight grown and 5.0 in dark-grown plants. Amount of nitrogen fertilizer did not influence CBC feeding. The attractiveness of undamaged leaves with non-feeding beetles, leaves with feeding damaged, and leaves with artificial damaged was compared in replicated laboratory trials by placing the treatments in the petri-dish and counted the number of beetles that landed on the plants after 6 hr treatment. The highest number of beetles was attracted to chestnut leaf with feeding damaged ($7.7\pm$0.6) than undamaged leaf with non-feeding beetles ($5.3\pm$0.6) and artificial damaged ($4.3\pm$0.6). Managnese content in the leaves of chestnut grown in shade cloth-grown condition was higher than that in the leaves of chestnut that had been exposed to full sunlight condition and dark condition, and feeding damaged leaf.

  • PDF

친환경적 밤 종실해충 방제 연구 (Study on Chestnut Insect Pests by Environmentally Friendly Controls in Korea)

  • 이총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95-100
    • /
    • 2009
  • 밤 종실의 생산량과 재배 농가의 소득증대를 위한 친환경적 방제 기술을 보급하고자 밤의 주 생산지인 경상남도 밤나무 집단 재배지에서 몇 가지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복숭아명나방(Dichocrocis punctiferalis)의 피해율은 조생종(단택, 삼조생)의 경우, 웜스톱 처리구에서 피해율이 7.76%로 가장 낮았고, 웜스톱+목초액, 포충등 처리구 순으로 증가였다. 중생종(유마, 축파)의 피해율은 웜스톰 처리구에서 13.39%로 가장 낮았으며, 만생종(박미, 은기)은 피해율간 유의차가 있었다(p<0.05). 처리별 방제가는 조생종, 만생종 밤의 웜스톱 처리구에서 각각 40.49%, 41.89%로 가장 높았다. 밤바구미(Curculio sikkimensis)의 피해율은 조생종과 중생종 밤에서 낮았으며, 숙기별 처리간의 유의차가 없었다(p>0.05). 만생종 밤에서의 피해율은 웜스톱과 이미다클로프리드 처리구가 15.38%로 가장 피해율이 낮았으며, 항공방제, 웜스톱, 포충등 처리구 순이었다. 밤바구미(Curculio sikkimensis)에 대한 처리별 방제가는 조생종과 중생종에서는 낮았고, 만생종의 웜스톱과 이미다클로프리드, 항공방제 처리구에서 방제가는 각각 34.59%, 28.94%였다.

밤나무품종에 따른 밤나무혹벌의 산란 선호성 (Oviposition Preferences of the Oriental Chestnut Gall Wasp, Dryocosmus kuriphilus, on Various Chestnut Varieties)

  • 김철수;박일권;김종국;박영석;신상철;정영진;최광식;전문장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57-159
    • /
    • 2005
  • 밤나무혹벌 산란동아수의 품종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석추 및 다압에서 가장 적었고 전체적으로 신초의 하부로 갈수록 산란동아수가 많았으며 특히, 옥광, 축파, 유마 에서 이러한 현상이 뚜렷하였다. 대부분의 품종에서 동아당 평균 1.0개 이상 다중 산란되었으며 신초하부의 경우 산란수가 재래종, 축파, 옥광, 평기에서는 3.0개 이상이었으며 석추와 다압은 1.0개 미만이었다. 산란동아별 난수는 모든 품종에서 상부의 동아에 산란된 난수가 가장 적었고, 하부의 동아에 많은 경향을 보였다. 신초하부의 경우 축파는 산란된 알이 평균 15개 이상으로 가장 많았던 반면, 다압은 한개 이하로 가장 적었다. 품종별 산란비율은 모든 품종에서 밤나무혹벌이 산란한 동아를 발견 할 수 있었으며, 재래종이 $83.8\%$로 가장 높았고, 축파와 유마에서는 각각 78.5와 $75.9\%$ 이상의 산란율을 나타내었다.

친환경적 방법에 의한 밤 종실해충의 관리 (Management of Chestnut Insect Pests by Friendly Environmental Controls in Korea)

  • 이총규;김종갑;구관효;강승미;윤석락;서동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1호
    • /
    • pp.30-34
    • /
    • 2008
  • 본 연구는 밤 종실을 생산량과 소득증대를 위한 방제 기술을 보급하고자 밤의 주 생산지인 경상남도 밤나무 집단 재배지에서 몇 가지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처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복숭아명나방(Dichocrocis punctiferalis)의 피해율은 조생종인 단택과 삼조생 밤이 웜스톱 처리구에서 피해율이 8.17%로 가장 낮았고, 포충기, 네마캐치, 나프탈렌 처리구 순이었다. 중생종인 유마와 축파 밤은 웜스톰 처리구에서 9.83%로 가장 낮았으며 피해율간 유의차가 있었다(p<0.05). 만생종인 박미와 은기 밤은 피해율간 유의차가 없었다(p>0.05). 처리별 방제가는 조생종, 중생종 밤의 웜스톱 처리구에서 각각 90.68%, 80.58%로 가장 높았다. 밤바구미(Curculio sikkimensis)의 피해율은 조생종과 중생종 밤에서는 피해율이 낮았으며, 처리별 피해율간의 유의차가 없었다(p>0.05). 만생종 밤에서 피해율은 네마캐치 처리구가 13.07%로 가장 피해율이 낮았으며, 웜스톱, 포충기, 나프탈렌 처리구 순이었다. 밤바구미(Curculio sikkimensis)에 대한 처리별 방제가는 조생종과 중생종에서는 처리간 유의차가 없었고, 만생종의 네마캐치와 웜스톱 처리구에서 방제가는 각각 80.58%, 77.90%였다.

Insect Funa of Chestnut Bushes at Paju Area in Korea: -Mainly on Dryocosmus kuriphilus Yasumatsu-

  • Pak, Nomyon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8
    • /
    • 1970
  • 경기도 파주지역의 밤나무숲은 밤나무혹벌(Dryocosmus kuriphilus Yasumatsu)이 1965년 이래로 번성하여 막심한 피해를 받고 있으며 벌목되는 나무의 수가 증가 되어가는 실정이다. 저자는 밤나무혹벌의 생물학적 자연구제의 대책을 연구코저 파주군의 법원리, 마장리, 분수리의 3개처와 양주군의 보광사, 벽제리, 2개처에 대하여 밤나무숲의 곤충상을 조사하였다. 전 지역에 대하여 5목 35종의 곤충을 채집하였으며 법원리에서는 해충의 번성이 심하였으나 분수리에서는 작년가지에 많은 밤나무혹벌의 혹이 금년가지에서는 볼수 없어 하나의 회복증상을 발견하고 그 이유로서 법원리는 숲이 고립되어 있으나 분수리는 상수리나무숲으로 잘 둘러싸여 있다는 사실을 지적, 삼림조성에 있어서의 혼합림조성 방식을 제창하였다.

  • PDF

밤나무 혹벌의 생태와 피해조사 (Ecological studies on the Chestnut gall wasp, Dryocosmus kuriphilus $Y^{ASUMATSU}$ and Observations on the Chestnut trees by its insect)

  • 조도현;이상옥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권
    • /
    • pp.47-54
    • /
    • 1963
  • 본 조사는 밤나무혹벌의 생태, 특히 생활사, 발생소장 및 피해에 대하여 1961-1963년에 걸쳐 경기도, 강원도 및 충청북도에서 조사한 것이다. 1. 본 충은 년 1회 발생하며 단성생식을 한다. 2. 성충의 출현은 6월 하순부터 7월 하순이며 최성기는 7월중하순이며 일중 오전중에 많이 탈출한다. 3. 성충은 출현후 곧 아에 산란하는데 1아당 4.89개를 산란하며 1개체의 포란수는 평균 198.5개이었다. 4. 란기는 30일간이며 란은 8월말까지 부화하였다. 5. 유충기간은 8월중순부터 익년 6월 중순 까지며 용기는 6월 초순부터 7월 중순까지였다. 6. 본 충은 아에 산란 기생하며 5월 하순부터 충영을 형성하여 생장을 정지시키고 율의 결실을 없게 할 뿐만 아니라 율목을 고사시킨다. 8. 본 충은 1958년 충청북도 제천에서 처음 발생된 이래 현재에는 강원도, 경기도, 충청북도의 북반부 및 경상북도북부 일부에 분포하여 가해하고 있다.

  • PDF

Comparative Trapping Efficiency of Five Different Blends of the Two Sex Pheromone Components in Dichocrocis punctiferalis (Lepidoptera: Pyralidae) at Chestnut Orchards in Korea

  • Choi, Kwang Sik;Choi, Won Il;Lee, Chong Kyu;Kim, Young Jae;Jeon, Mun Jang;Shin, Sang Chul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5호
    • /
    • pp.555-558
    • /
    • 2008
  • Trapping efficiency of various sex pheromone blends of the peach pyralid moth, Dichocrocis punctiferalis was compared by field study to develop monitoring system with its sex pheromone at chestnut orchards in Korea. Five candidates of the sex pheromone blends used for the field trapping of D. punctiferalis males were 70:30, 75:25, 80:20, 85:15 and 90:10 mixture of (E)-10-hexadecenyl aldehyde (E10-16:Al) and (Z)-10-hexadecenyl aldehyde (Z10-16:Al). All lures were treated with 1 or 2 mg of each blends. During 2 years of field survey, the 75:25 blend was usually the most effective in attracting males among 5 blends tested. For the 2nd generation, the best capturing activity for D. punctiferalis male was observed by lure with 75:25 blend. Both 90:10 and 75:25 blends showed highest efficiency for the 3rd generation. In most cases. lures treated with 1 mg of blend caught more male moths than these treated with 2 mg of blend.

Characteristics of Hypovirulent Strains of Chestnut Blight Fungus, Cryphonectria parasitica, Isolated in Korea

  • Lee, Sang-Hyun;Moon, Byung-Ju;Lee, Jong-Kyu
    • Mycobiology
    • /
    • 제34권2호
    • /
    • pp.61-66
    • /
    • 2006
  • Chestnut blight disease caused by Cryphonectria parasitica is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chestnut tree plantations in Korea. We surveyed 65 sites located at 9 provinces in South Korea, and isolated 248 virulent and 3 hypovirulent strains of chestnut blight fungus. Hypovirulent strains had dsRNA virus in the cytoplasm, which is one of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hypovirulent strains. In addition, they showed more characteristics of hypovirulent strains, i.e., suppressed conidiation, reduced pigmentation in colony color, and reduced phenol oxidase activity as well as reduced pathogenicity. Hypovirulent strains, KCPH-22, KCPH-135 and KCPH-136, had a genomic dsRNA band with the molecular weight of 12.7 kb, which is the L-dsRNA of CHV1. They also had a 2.7 kb defective dsRNA band. Single conidia isolated from hypovirulent strains were cultured and various phenotypes and absence of dsRNA bands were obtained from single conidial cultures, which means that hypovirulence transmission is unstable in asexual reproduction and variations in viral heredity by asexual reproduction. Biocontrol trial using hypovirulent strains was also carried out in the chestnut tree plantations, and canker expansion in the treated trees was stopped and healed by callus formation at the margin of the canker. These results show the potentials in successful biocontrol of chestnut blight if the vegetatively compatible hypovirulent strains could be directly used around the canker formed by compatible virulent stra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