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lating agents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44초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a-68-deferoxamine to test the feasibility as a bifunctional chelating agent or a renal imaging radiopharmaceutical

  • Kim, Young Ju;Lee, Yun-Sang;Jeong, Jae Min
    • 대한방사성의약품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1-37
    • /
    • 2015
  • Chelating agents 1,4,7-triazacyclononanetriacetic acid (NOTA), 1,4,7,10-tetraazacyclododecane-1,4,7,10-tetraacetic acid (DOTA) and 30-amino-3,14,25-trihydroxy-3,9,14,20,25-penta-azatriacontane-2,10,13,21,24-pentaone (desferrioxamine, DFO) were labeled with $^{68}Ga$ and tested in vitro properties to check the feasibility of using DFO as a bifunctional chelating agent or renal imaging agent. The chelating agents of concentration $2{\mu}M$ were labeled with $^{68}Ga$ in 0.1 M HCl at pH 1.7-10.3 at room temperature and $80^{\circ}C$ and the optimal pH for labeling each chelating agent was found. And then, the chelating agents were labeled with $^{68}Ga$ in various concentration of chelating agents at optimal pH. The labeled chelating agents were subject to stability test in human serum and to binding studies to human red blood cell (RBC) and plasma protein. The optimal pH's of NOTA, DOTA and DFO for $^{68}Ga$-labeling were 4.4, 3.6 and 5.6, respectively. DFO ($10{\mu}M$) showed high labeling efficiency (>97%) at pH 5.6. All the labeled chelating agents showed high stability in human serum. $^{68}Ga$-DFO showed low RBC binding but significant amount was bound to plasma protein.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68}Ga$-DFO can be used as a bifunctional chelating agent but not as a renal imaging agent.

생분해되는 다양한 킬레이트들이 납에 노출된 식물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Biodegradable Chelating Agents on Growth of Plants under Lead stress)

  • 이상만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1-65
    • /
    • 2010
  • Phytoextraction is a method of phytoremediation using plants to remediate metal-contaminated soils. Recently, various chelating agents were used in this method to increase the bioavailability of metals in soils. Even though phytoextraction is an economic and environment-friendly method, this cannot be applied in highly metal-contaminated areas because plants will not normally grow in such conditions. This research focuses on identifying chelating agents which are biodegradable and applicable to highly metal-contaminated areas. Lead (Pb) as a target metal and cysteine (Cys), histidine (His), citrate, malate, oxalate, succinate, and ethylenediamine (EDA) as biodegradable chelating agents were selected. 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EDTA) was used as a comparative standard. Plants were grown on agar media containing various chelating agents with Pb to analyze the effect on root growth. Cys strongly increased the inhibitory effect of Pb on root growth of plants, while, His did not affect on it significantly. The inhibitory effect of oxalate is weak, and malate, citrate, and succinate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s. Both EDTA and EDA diminished the inhibitory effect of Pb on root growth. The effect of EDA is correlated with decreased Pb uptake into the plants. In conclusion, as biodegradable chelating agents, EDA is a good candidate for highly Pb-contaminated area.

식용대두유에 대한 Chelating agent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some Chelating Agents on Soybean Oil)

  • 조미자;함태식;권태봉;오성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1호
    • /
    • pp.30-36
    • /
    • 1989
  • 식용대두유의 산화방지를 위하여 항산화제로서 Chelating agents의 항산화효과를 mild한 조건(67ml $O_{2}/min$, $50^{\circ}C$)하에서 A.O.M.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기기분석법 (UV,IR,MMR)에 의한 측정의 가능여부를 시험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Chelating agents의 항산화 효과는 diphenic acid(109.3%), naphthoquinone(111.2%), pyremellitic acid(168.6%), Quinolinic acid(183.6%), naphthalic acid(921.2%) 순으로 증가하였으며, Control에 비하여 각각 9.3, 11.2, 68.6, 83.6, 821.2% 증가하였다. 2. Chelating agents는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으며, 철과 등을 첨가했을 경우에 현저하였다. 또 이들의 항산화 효과는 화합물의 관능기와 분자구조에 따라 다르며 diphenic acid, naphthoquinone 등에서 낮았다. 3. 본 실험과 같이 mild한 조건하에서 NMR 분석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할 수 있었으나 UV와 IR은 적당치 않았다.

  • PDF

아연 스트레스를 받는 식물의 성장을 위한 생분해되는 킬레이트로서 에틸렌디아민 (Ethylenediamine as a Promising and Biodegradable Chelating Agent in Growth of Plant Under Zinc Stress)

  • 이상만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5-119
    • /
    • 2010
  • Zinc (Zn) is an essential element required for growth and development of plants. However, Zn can be toxic to plants when it presents excessive amount. Phytoextraction is an economic and environment-friendly technique using plants to clean-up metal-contaminated soils. However, the technique cannot be applied in highly metal-contaminated areas because plants will not normally grow in such conditions. Therefore, this research focuses on identifying chelating agents which are biodegradable and applicable to highly metalcontaminated areas. Zn as a target metal and cysteine (Cys), histidine (His), malate, citrate oxalate, succinate, and ethylenediamine (EDA) as biodegradable chelating agents were selected. Plants were grown on agar media containing various chelating agents with Zn to analyze the effect on plant growth. Malate and His slightly increased the inhibitory effect of Zn on root growth of plants, whereas Cys, citrate, oxalate, and succinate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s. However, EDA strongly diminished the inhibitory effect of Zn on root growth. The effect of EDA is correlated with decreased Zn uptake into the plants. In conclusion, as biodegradable chelating agents, EDA is a good candidate for growth of plants in highly Zn-contaminated areas.

폴리다이아세틸렌 베시클을 이용한 킬레이트제의 색전이 검출 (Colorimetric Detection of Chelating Agents Using Polydiacetylene Vesicles)

  • 박무경;김경우;안동준;오민규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3호
    • /
    • pp.348-35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폴리다이아세틸렌(polydiacetylene, PDA) 베시클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킬레이트제(chelating agent)를 쉽게 검출할 수 있는 센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다른 센서들과 비교하여 PDA기반 센서는 많은 장점이 있다. 첫째로, 형광물질의 부착이 필요 없는 무표지 검출(label-free detection)이 가능하여 실험 절차가 간단하고 빠르다. 둘째로, PDA는 청색에서 외부 자극에 의해 적색으로 변화하는 색전이를 일으키므로 육안으로 쉽게 검출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특정 파장에서의 colorimetric response를 측정하여 각각의 킬레이트제의 농도에 따른 정량검출도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5가지 종류의 킬레이트제, 즉 EDTA, EGTA, NTA, DCTA, DTPA를 PDA 베시클과 반응시켰으며, 이중에서 EDTA, DCTA는 특히 강한 반응으로 PDA의 색전이를 유도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PDA 베시클을 사용하여 어떠한 기계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색전이를 이용하여 킬레이트를 성공적으로 검출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Immobilization of Heavy metal mechanism in Contaminated Coastal Sediment using Biostimulant Ball (BSB) with Modified Zeolite

  • Subha, Bakthavachallam;Woo, Jung-Hui;Song, Young-Chae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30-131
    • /
    • 2016
  • Although many metals contaminated sediment from coastal area contain both anionic and cationic heavy metals, the current remediation technologies are not effective for stabilize heavy metals of both anionic and cationic elements from contaminated coastal region. the present work investigated the efficiency and mechanism of immobilization of Fe, Zn, Cr, Cu, Pb and Cd metal solutions in modified zeolite based biostimulant ball. Biostimulant ball containing acetate, nitrate and sulphate which are enhance the activity of marine microorganisms and it can act as electron donors and electron acceptors. Modified zeolite and chelating agent is greatly enhance the metal stabilization due to increased immobility of the analysed metals. The XRD, FT-IR and SEM of modified zeolite which cheating agents containing heavy metal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heavy metals could be effectively immobilized in modified zeolite and chelating agents in BSB added sediment. The immobilization of heavy metals in modified zeolite and chelating agents along with BSB could be due to stabilize of heavy metal cations. Immobilization of heavy metals using BSB with modified zeolite and chelating agent has lower cost effect and enhance the sediment quality.

  • PDF

생분해 되는 다양한 킬레이트가 구리에 노출된 식물의 뿌리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Biodegradable Chelating Agents on Root Growth of Plants under Copper Stress)

  • 이상만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7-21
    • /
    • 2010
  • Phytoextraction은 식물을 이용하여 환경 정화하는 phytoremediation의 일부분으로서 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것이다. 토양에 존재하는 금속의 추출을 용이 하기 위해서 현재 다양한 킬레이트가 사용되고 있다. Phytoextraction이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지만 고농도로 오염된 지역에서는 적용이 어려운데 이는 식물이 이러한 지역에서 살아남기 어렵기 때문이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대상의 금속으로서 구리를 선택하였고, 킬레이트는 아미노산인 시스테인과 히스티딘, 작은 크기의 유기산으로서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oxalic acid, 그리고 ethylenediamine (EDA)를 선택하였으며, EDTA는 비교대상으로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다양한 농도의 구리를 포함하는 배지에 식물을 키우면서 여러 킬레이트가 식물의 뿌리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시스테인, 히스티딘, 그리고 citric acid은 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구리의 영향을 완화시켜 주었지만 EDA는 오히려 더 강화시켜 주었다. 또한 킬레이트의 식물성장에 대한 영향은 구리의 식물 내 흡수를 억제 또는 촉진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구리의 식물성장억제를 완화시켜주는 시스테인, 히스티딘, 그리고 citric acid는 고농도의 구리로 오염된 지역에 식물의 성장이 가능하도록 사용될 수 있으며 EDA는 기존의 phytoextraction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알루미늄 식물학적정화에 사용 가능하고 생분해 되는 킬레이트로 후보로서의 ethylenediamine (Ethylenediamine as a Promising and Biodegradable Chelating Agent in Aluminum Phytoremediation)

  • 이상만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1041-1046
    • /
    • 2010
  • Phytoextraction은 식물을 이용하여 환경 정화하는 한 기술로서 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것이다. 토양에 존재하는 금속의 추출을 용이 하기 위해서 현재 다양한 킬레이트가 사용되고 있다. Phytoextraction이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지만 고농도로 오염된 지역에서는 적용이 어려운데 이는 식물이 이러한 지역에서 살아남기 어렵기 때문이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대상의 금속으로서 알루미늄을 선택하였고, 킬레이트는 아미노산인 시스테인과 히스티딘, 작은 크기의 유기산으로서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oxalic acid, 그리고 ethylenediamine (EDA)를 선택하였으며, EDTA는 비교 대상으로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다양한 농도의 알루미늄를 포함하는 배지에 식물을 키우면서 여러 킬레이트가 식물의 뿌리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알루미늄에 의한 식물의 성장 억제는 히스티딘에 의해서 약간 완화되었으며 시스테인, citrate, malate, oxalate, 그리고 succinate는 별 다른 영향이 없었다. EDTA와 EDA는 알루미늄에 의한 식물성장 억제를 강력하게 억제하였으며 이는 알루미늄의 식물 내 흡수를 억제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알루미늄의 식물성장억제를 강력하게 완화시켜주는 EDA는 고농도의 알루미늄으로 오염된 지역에 식물의 성장이 가능하도록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생분해되는 다양한 킬레이트들이 수은에 노출된 식물의 뿌리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Biodegradable Chelating Agents on Root Growth of Plants under Mercury Stress)

  • 이상만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2권3호
    • /
    • pp.155-158
    • /
    • 2014
  • Phytoextraction은 식물을 이용하여 환경 정화하는 기술로서 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것이다. 토양에 존재하는 금속의 추출을 용이 하기 위해서 현재 다양한 킬레이트가 사용되고 있다. Phytoextraction이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지만 고농도로 오염된 지역에서는 적용이 어려운데 이는 식물이 이러한 지역에서 살아남기 어렵기 때문이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대상의 금속으로서 수은을 선택하였고, 킬레이트는 아미노산인 시스테인과 히스티딘, 작은 크기의 유기산으로서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oxalic acid, 그리고 ethylenediamine (EDA)를 선택하였으며, EDTA는 비교 대상으로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다양한 농도의 수은을 포함하는 배지에 식물을 키우면서 여러 킬레이트가 식물의 뿌리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수은에 의한 식물의 성장 억제는 시스테인과 EDA에 의해서 완화되었으며 히스티딘과 citrate는 별 다른 영향이 없었다. Malate, succinate, 그리고 oxalate는 수은에 의한 식물 성장 억제를 더 촉진시켰다. 따라서 수은의 식물성장억제를 완화시켜주는 시스테인과 EDA는 고농도의 수은으로 오염된 지역에서 식물의 성장이 가능하도록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