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rcoal rot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5초

길함미생물에 의한 시설재배 딸기 눈마름병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Strawberry Bud Rot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AG2-1 with Antagonistic Microorganism)

  • 신동범;소림기언;이준탁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2-118
    • /
    • 1994
  • Forth microbial isolates out of 167 isolates from the soil of controlled cultivation areas inhibited mycelial growth of Rhizoctonia solani AG2-1 causing the strawberry bud rot in vitro. Among the isolates, Kr013 and Kr020 showed suppressive effect to R. solani AG2-1 on seedlings of chinese cabbage treated by root immersion, charcoal carrier granule and drenching on 1.0% infested soil in pot. Furthemore, the corresponding effect was also revealed when the charcoal carrier granule of the isolates were treated on the seedling of strawberry that were planted on the planting hole in pot. To examine the effects of biological control in green house, it had been tested the infection rates by using two different treatments. First, the strawberry runner were planted on the nursery soil mixed with 20% charcoal carrier granule of Kr013 and Kr020 isolate respectively, and grown for 20 days before transplanting. Then the young plants form the mother plant were separated and transplanted on the 1.0% infested soil. Another method was that the charcoal carrier of Kr013 and Kr020 isolates applied to planting hole of 1.0% infested soil just before transplanting. Then the young plants were grown for 20 days on the sterilized nursery soil before transplanting. From the results, the effects of biological control was significantly higher on former treatment (e.g. the infection rates were 7.3 and 5.7%, respectively) than on the latter treatment (e.g. the corresponding value were 16.7 and 15.7%, respectively). The antagonistic isolates of Kr013 and Kr020 were respectively identified as Pseudomonas cepacia with the similarity of 55.0% and 60.0% by using the Biolog GN Microplate system.

  • PDF

Modified Cultivation Methods Improve Shelf-life and Quality of Soybean Sprouts, Effects of Treatment with Oak Charcoal and Citrus sunki Seed Extract

  • Oh, Young-Ju;Kim, Soo-Hyu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4호
    • /
    • pp.336-342
    • /
    • 2003
  • The effects of cultivation methods (cultivation of curled-shaped type, M-1; conventional cultivation, M-2; growing after treatment with a growth regulator, M-3; cultivation by the combination of M-1 and treatment with oak charcoal, M-4)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sprouts were studied by the measurement of growth characteristic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changes in shelf-life stability of the new soybean sprouts (NSB) using M-4, which was cultivated with oak charcoal and treated with antimicrobial Citrus sunki seed extract. Among the soybean sprouts grown for six days at the high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90$\pm$5% RH, 25$\pm$1$^{\circ}C$), M-1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quality, such as the harvest yield, the rot rate and the growth characteristics when compared with M-2. M-3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wth characteristics, of hardness, and sensory evaluation scores when compared with the soybean sprouts grown by conventional methods. NSB had a low number of total microorganisms and had a better appearance after five days of storage than did the control group (M-2).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chemical-free and clean soybean sprouts can be grown by combining oak charcoal and antimicrobial Citrus sunki seed extract, thereby meeting the consumer demand for safe, chemical free sprouts.

Effect of Chemical Fertilizer-adaptive Variants, Pseudomonas aeruginosa GRC2 and Azotobacter chroococcum AC1, on Macrophomina phaseolina Causing Charcoal Rot of Brassica juncea

  • Joshi, Kishore Kumar;Kumar, Varun;Dubey, Ramesh Chand;Maheshwari, Dinesh Kumar;Bajpai, Vivek K.;Kang, Sun-Chul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28-235
    • /
    • 2006
  • Pseudomonas aeruginosa $GRC_2$, siderophore-producing strain, inhibited growth of Macrophomina phaseolina in vitro and reduced charcoal rot in seeds of Brassica juncea in field when coated with adaptive strains. P. aeruginosa $GRC_2$ and Azotobacter chroococcum $AC_1$ produced indole-3-acetic acid and solubilized insoluble phosphate. A. chroococcum $AC_1$ fixed nitrogen asymbiotically. Urea and diammonium phosphateadaptive variant strains of P. aeruginosa and A. chroococcum strongly inhibited M. phaseolina in comparison to parental strains. Bacterization of seeds induced seed germination, seedling growth, and enhanced yield of B. juncea by 10.87% as compared to full doses of urea and diammonium phosphate. Both adaptive strains of chemical fertilizers aggressively colonized roots, showing effectiveness to growth and developments of B. juncea.

Macrophomina phaseolina에 의한 콩 균핵마름병(가칭) 발생 (First Report of Charcoal Rot Caused by Macrophomina phaseolina on Glycine max in Korea)

  • 고영미;최지영;이영희;김흥태
    • 식물병연구
    • /
    • 제26권1호
    • /
    • pp.29-37
    • /
    • 2020
  • 2016년 콩을 재배하는 포장에서 마름 증상에 의한 콩의 피해가 심하게 발생하였다. 유묘기 때에는 잘록 증상과 자엽에 갈색 또는 검은 색의 반점이 나타나기 시작하다가, 8월 이후 개화기에는 지상부 잎이 황화되기 시작하면서 부분적으로 갈변되었다. 이 시기에 채집한 콩의 뿌리는 생육이 많이 억제된 상태이며, 표피가 벗겨지면서 균핵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9월 이후부터는 지상부의 마름 증상이 더 뚜렷해졌으며 고사하기 시작하였고, 수침상 병징을 보이던 줄기에도 균핵이 형성되었다. 수확기인 10월 중순 이후에는 줄기의 표피가 벗겨지면서 피층 부위에 소립균핵이 다량으로 형성되었다. 이런 병징으로부터 분리한 병원균은 32-35℃에서 균사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고, 소립균핵의 형성은 20-28℃에서 가장 많았다. 병원균의 균학적인 형태 관찰과 internal transcribed spacer 영역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한 결과, 병원균은 Macrophomina phaseolina로 동정되었다. 또한 이쑤시개를 이용한 인공접종에서도 포장에서와 같은 병징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재분리에서도 동일한 병원균이 분리·동정되었다. 그 결과 이 병을 콩 균핵마름병(가칭)으로 보고하는 바이다.

콩균핵마름병균에 대한 병원성 검정법 확립 (Establishment of Pathogenicity Test Method for Macrophomina phaseolina Causing Soybean Charcoal Rot)

  • 안소현;김흥태
    • 식물병연구
    • /
    • 제29권1호
    • /
    • pp.1-10
    • /
    • 2023
  • 콩 균핵마름병을 일으키는 Macrophomina phaseolina의 병원성 평가를 위하여 실험실과 온실 검정법을 확립하였다. 실험실 검정에서는 소립균핵과 균사를 접종원으로 사용하였다. 소립균핵을 접종원으로 사용한 실험실 검정에서 M. phaseolina NSW17-108과 HSM17-034의 발병도는 25℃보다 35℃에서 더 높았다. NSW17-108과 HSM17-034 중에서 참깨에서 분리된 HSM17-034의 발병도가 콩에서 분리된 NSW17-108보다 높았다. M. phaseolina의 균사를 접종원으로 사용한 경우, NSW17-108과 HSM17-034는 35℃에서의 발병도가 접종 5일 만에 80%를 상회하였다. HSM17-034는 25℃에서의 발병도가 접종 5일 후에 80%를 상회하였다. 온실의 병원성 검정에는 소립균핵이 형성된 이쑤시개 또는 potato dextrose agar 배지에서 수확한 소립균핵 자체를 접종원으로 사용하였다. 모든 온실 검정에서 M. phaseolina NSW17-10과 HSM17-034는 접종 방법에 따라 병원균을 접종하고 35-65일 후에 40-60%의 발병도를 보였다. 두 균주 중에서 HSM17-034의 병원성이 NSW17-108보다 강했으며, 이 결과는 실험실 검정 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립한 실험실 및 온실 검정법은 각 방법에 따라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연구의 목적에 부합할 수 있는 시험법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녹비작물 및 Charcoal 처리가 생강 생육 및 토양 특성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Green Manure Crop and Charcoal Applications on Ginger Growth and Soil Properties)

  • 양홍석;김동진;안병구;이진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03-519
    • /
    • 2014
  • 녹비작물로서 녹비보리와 헤어리베치를 환원하고, 토양개량제로서 charcoal을 시용하여 생강연작 재배지에서 생강을 재배한 결과, 토양 pH가 시험 전 6.9~8.1에서 수확 후 6.8~7.6로 감소하였으며,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 EC)는 한 시험 전 $0.45{\sim}1.25dSm^{-1}$에서 수확 후 $0.30{\sim}0.61dSm^{-1}$로 감소하였다. 토양유기물(soil organic matter, SOM) 함량과 토양 중 총질소(total-nitrogen, T-N) 함량은 증가하였다. 유효인산 함량과 치환성 K, Ca, Mg 함량은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토양 pH를 중성화시키고, EC 경감, SOM과 T-N 함량의 증가는 토양 화학성 변화에 있어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생강양분의 함량적 차이를 정상근과 이병근의 함량 차이, 토양의 점토함량 별 양분 함량 차이로 조사한 결과, 유의성이 있는 결과를 얻었으며, 처리구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망간(manganese, Mn)의 경우, 이병근의 지하부에서 3~4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망간(Mn)은 식물 뿌리에 대한 독성 작용으로 뿌리를 갈변시키고 균열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된바, 뿌리썩음병의 발생으로 Mn이 작용하여 이병근의 Mn 함량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뿌리썩음병과 Mn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생강 수확 후 생강 생육 상태와 생산량을 조사한 결과, 녹비보리, 헤어리베치, 녹비보리+charcoal, 헤어리베치+charcoal을 처리한 시험구(Plot 2, Plot 3, Plot 4, Plot 5)에서 생강의 생육상태가 양호하고 생산량이 높아 병발생률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특히, Plot 4(헤어리베치+charcoal)-LCC에서는 100%의 생산량을 보였다. 녹비작물과 charcoal의 처리가 생강생육과 생산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점토함량이 낮은 처리구가 점토함량이 높은 처리구보다 생육 상태와 생산량에서 우세하였는데, 모래와 점토 함량 차이에 따른 배수와 토양의 수분보유력이 생강생육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산(韓國産) 주요작물(主要作物)의 종자전염성(種子傳染性) 진균(眞菌)에 관(關)한 조사(調査) (Survey on Seed-borne Fungi in Some Important Crops of Korea)

  • 유승헌;박종성
    • 농업과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275-283
    • /
    • 1982
  • 우리나라 주요작물(主要作物)의 종자전염균(種子傳染菌)에 대(對)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하여 벼, 콩, 보리, 참깨와 시판중(市販中)인 12종(種)의 주요채소류(主要菜蔬類)에서 모두 144개(個)의 종자시료(種子試料)를 수집(收集)하여 종자건전검사(種子健全檢査)를 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벼, 콩, 보리, 종자(種子)에서는 각각(各各) 18종(種), 15(種), 7(種)의 진균(眞菌)이 검출(檢出)되었다. 벼의 변색종자(變色種子)에서는 Epicoccum purpurascens, Pyricularia oryzae, Trichoconiella padwickii가 많이 검출(檢出)되었고, 콩종자(種子)에서는 탄저병균(炭疽病菌)인 Macrophomina phaseolina가 우리나라의 콩에서는 처음으로 검출(檢出)되었다. (2) 참깨종자(種子)에서는 12종(種)의 진균(眞菌)이 검출(檢出)되었으며 그 중(中) Alternaria속(屬)과 Corynespora cassiicola가 많이 검출(檢出)되었다. (3) 12종(種)의 시판(市販) 채소종자(菜蔬種子)에서는 모두 21종(種)의 진균(眞菌)이 검출(檢出)되었는데 특(特)히 Alternaria속(屬), Colletotrichum속(屬)과 Fusarium속(屬)이 많이 검출(檢出)되었다. 공시(供試)한 시판(市販) 채소종자(菜蔬種子)의 시료중(試料中)에는 각종(各種) 병원균(病原菌)에 심(甚)하게 오염(汚染)되어 낮은 발아율(發芽率)과 유묘감염(幼苗感染)을 일으키는 것이 있었다.

  • PDF

참깨 종자에서 검출된 Macrophomina phaseolina와 그의 병원성에 관하여 (Macrophomina phaseolina Detected in Seeds of Sesamum indicum and It's Pathogenicity)

  • 유승헌;박종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35-140
    • /
    • 1980
  • 참깨종자의 종자전염균을 조사아던중, 우리나라에서는 미기록인 Macrophomina phaseolina가 12개 sample중 7개 sample에서 검출되었다. 본 균의 종자 종자상에서의 생육상 및 병자각과 병포자의 형태를 기술하였다. 본 균의 병자각형성에는 광선이 필순조건이었으나 PDA나 OA배지상에서는 병자각이 형성되지 않았고 물한천잎배지상에서 병자각이 많이 형성되었다. 본 균은 참깨종자의 심한 발아저해와 입고가 원인이 되었고 감자괴경에 탄부병징을 나타내었다. 목 균은 월동후의 참깨식물의 잔재와 포장의 이병유균에서도 검출되었다.

  • PDF

Introduction to Distribution and Ecology of Sterile Conks of Inonotus obliquus

  • Lee, Min-Woong;Hur, Hyeon;Chang, Kwang-Choon;Lee, Tae-Soo;Ka, Kang-Hyeon;Jankovsky, L.
    • Mycobiology
    • /
    • 제36권4호
    • /
    • pp.199-202
    • /
    • 2008
  • Inonotus obliquus is a fungus that causes white heart rot on several broad-leaved species. This fungus forms typical charcoal-black, sterile conks (chaga) or cinder conks on infected stems of the birche (Betula spp). The dark brown pulp of the sterile conk is formed by a pure mycelial mass of fungus. Chaga are a folk remedy in Russia, reflecting the circumboreal distribution of I. obliquus in boreal forest ecosystems on Betula spp. and in meridional mountain forests on beech (Fagus spp.) in Russia, Scandinavia, Central Europe, and Eastern Europe. Distribution at lower latitudes in Western and Southern Europe, Northern America, Asia, Japan, and Korea is rare. Infected trees grow for many years without several symptoms of decline. The infection can penetrate through stem injuries with exterior sterile conks developing later. In the Czech Republic, cinder conk is found on birches inhabiting peat bogs and in mountain areas with a colder and more humid climate, although it is widespread in other broad leaved species over the Czech Republic. The most common hosts are B. pendula, B. pubescens, B. carpatica, and F. sylvatica. Less frequent hosts include Acer campestre, Acer pseudoplatanus, Alnus glutinosa, Alnus incana, Fraxinus excelsior, Quercus cerris, Q. petraea, Q. robur, Q. delachampii, and Ulmus sp.

Diversity of Macrophomina phaseolina Based on Morphological and Genotypic Characteristics in Iran

  • Mahdizadeh, Valiollah;Safaie, Naser;Goltapeh, Ebrahim Mohammadi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7권2호
    • /
    • pp.128-137
    • /
    • 2011
  • Fifty two Macrophomina phaseolina isolates were recovered from 24 host plant species through the 14 Iranian provinces. All isolates were confirmed to species using species-specific primers. The colony characteristics of each isolate were recorded, including chlorate phenotype, relative growth rate at $30^{\circ}C$ and $37^{\circ}C$, average size of microsclerotia, and time to microsclerotia formation. The feathery colony phenotype was the most common (63.7%) on the chlorate selective medium and represented the chlorate sensitive phenotype of the Iranian Macrophomina phaseolina population. Meantime, inter simple sequence repeats (ISSR) Markers were used to assess the genetic diversity of the fungus. Unweighted pair-group method using arithmetic means (UPGMA) clustering of data showed that isolates did not clearly differentiate to the specific group according to the host or geographical origins, however, usually the isolates from the same host or the same geographic origin tend to group nearly. Our results did not show a correlation between the genetic diversity based on the ISSR and phenotypic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e M. phaseolina populations in the other countries, the Iranian isolates were highly diverse based on the phenotypic and the genotypic characteristics investigated and needs more studies using neutral molecular tools to get a deeper insight into this complex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