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nging climate

검색결과 356건 처리시간 0.022초

Climate Change and Soil-Water Balance

  • Aydin, Mehmet;Yano, Tomohisa;Haraguchi, Tomokazu;Evrendilek, Fatih;Jung, Yeong-Sang
    • 한국농림기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7-10
    • /
    • 2011
  • The semi-arid and arid regions comprise almost 40 percent of the world's land surface. The low and erratic precipitation pattern is the single most significant contributor for limiting crop production in such regions where rainfall is the source for surface, soil and ground water. In a changing climate, the semi-arid and arid regions would increasingly face the challenge of water scarcity. According to the relevant literature; under the assumption of a doubling of the current atmospheric CO2 concentration, irrigation demand was estimated to increase for wheat and to decrease for second crop maize in a Mediterranean environment of Turkey in the 2070s. Crop evapotranspiration would decrease due to stomata closure.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and potential soil evaporation were projected to increase by 8.0 and 7.3%, respectively, whereas actual soil evaporation was predicted to decrease by 16.5%. Drainage losses below 90 cm soil depth were found to decrease mainly due to lesser rainfall amount in the future.

  • PDF

국내 마그네슘 생산공정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및 감축방안 연구 (A Study on the Greenhouse Gas Emission and Reduction Measures of Domestic Magnesium Production Process)

  • 김경남;임진아;유경선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19-230
    • /
    • 2014
  • In this study, greenhouse gas emission of magnesium industry was estimated and the reduction potential of the greenhouse gas emission was evaluated with reduction technologies. Default value of IPCC guideline was used to calculate the greenhouse gas emission and $SF_6$ alternatives were considered in reduction potential. Import of magnesium ingot was 22,806 ton in 2013, which will be expected to increase to 81,700 ton with 20% rate in 2020. Magnesium ingot was consumed to produce magnesium alloy in diecasting process. Recently, commercial production of crown magnesium and magensium plate began. Based on ingot consumption, $CO_2$ emission of domestic magnesium industry was estimated to 504,000 ton, which is about 0.79% of domestic industrial emissions. Reduction potential of diecasting process was estimated to 489,320 ton by changing SF6 to alternative gases such as HFC-134a, Novec-612. Emission factor of Tier 3 level should be developed to enhance the accuracy of greeenhouse gas emission of magnesium industry.

Carbon Stock Variation in Different Forest Types of Western Himalaya, Uttarakhand

  • Shahid, Mohommad;Joshi, Shambhu Prasad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2호
    • /
    • pp.145-152
    • /
    • 2018
  • Quantification of Carbon stock has become in the contest of changing climate and mitigation potential of forests. Two different forest types, Dry Shiwalik Sal Forest and Moist Shiwalik Sal Forest in Barkot and Lachchiwala of Doon Valley, Western Himalaya are selected for the study. Volume equations, destructive sampling and laboratory analysis are done to estimate the carbon stock in different carbon pools like trees, shrubs, herbs and soils. Considerable variations are observed in terms of carbon stocks in different forest types. In Dry Shiwalik Sal Forest, carbon stock density varied between 129.81 and $136.00MgCha^{-1}$ while in Moist Shiwalik Sal Forest, carbon stock density ranged from 222.29 to $271.67MgCha^{-1}$. Tree species like Shorea robusta, Syzigium cumini, Miliusa velutina, Acacia catechu, and Mallotus philippensis had significant role in carbon sequestration. Shorea robusta had contributed highest in carbon stock due to highest density. Total of 2,338,280.165 Mg carbon stock was estimated in all the forest types.

배양수산물의 연구현황 및 발전방향 (Research trends and development direction in cell-based seafood)

  • 정진경;박영민;김상구;이상윤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5권1호
    • /
    • pp.95-104
    • /
    • 2022
  • Climate change due to global warming is affecting the global environment. The fishery industry is highly dependent on the natural environment, so the fishery industry is increasingly volatile due to the rapidly changing climate change. At the same time, consumers' anxiety due to marine pollution such as microplastics, radioactivity, and heavy metals are increasing. Accordingly, cell-based seafood are being proposed as an alternative for the sustainable use of seafood resources. Cell-based seafood manufactured through a process of differentiation and proliferation using cells isolated from actual seafood and cell, scaffold, media, and bioreactor technologies are orga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is review summarizes the latest research status of cell-based seafood. Based on this, suggests a development direction for cell-based seafood to properly settle in the future market.

GIS를 이용한 기후변화 연동 지하수 함양량 산정 모델 개발 및 검증 (Coupled Model Development between Groundwater Recharge Quantity and Climate Change Using GIS)

  • 이명진;이정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6-5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정보를 활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 함양량 산정 모델 개발 및 검증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 함양량 변화를 산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고,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연구지역의 시기별 미래 지하수 함양량을 추정하였다. 연구지역은 낙동강 본류를 포함하는 낙동강 유역을 선정하였다. 최종 연구결과는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시기별 강우량, 함양률, 함양량을 추정하였다. 함양량 및 함양률은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량의 변화와 함께 변화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를 활용하여 기존에 기후변화와 지하수 함양량의 불명확한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미래 기후변화 예측 결과를 반영한 연구지역 내 지하수 함양률 변화를 시-공간적으로 산정하였다. 또한 유역내 기저유출량과 비교 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앞으로 연계모델의 고도화 방안 및 현장조사가 추가 된다면 보다 정량적으로 기후변화와 지하수 함양량의 상관관계를 파악 할 수 있으며, 향후 본 연구는 수자원으로 이용이 증가되는 지하수의 전반적인 관리 및 효율적인 운영 체제 구축을 위한 한 축을 차지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기후변화 및 인간 활동이 금강 유역의 중권역 유출량 변동에 미치는 영향의 정량적 평가 (Quantitative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human activities on the watershed runoff variation of the Geum River basin)

  • 오미주;김동욱;이주헌;김태웅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6호
    • /
    • pp.381-392
    • /
    • 2023
  • 기후변화와 인간 활동으로 강수량, 유출량 및 증발산량 등이 변화되고 있다. 유역 유출량은 수문 순환의 매우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기후변화와 인간 활동으로 변화되고 있는 유역 유출량에 대한 분석은 수자원 관리에 있어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 유역 중권역의 과거 관측자료 및 미래 대표농도경로(RCP) 시나리오에 따른 유출량, 강수량, 기온 및 증발산량 자료에 대해 Mann-Kendall 검정을 이용하여 수문기상학적 변수의 추세를 분석하였고, 기후변화와 인간 활동이 금강 유역의 유출량에 미치는 영향을 기후 탄력성 접근법과 Budyko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과거의 유출량과 미래 유출량을 분석한 결과, 중권역마다 유출량 변화에 기후변화와 인간 활동이 미치는 상대적인 기여도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예를 들어, 기후변화의 기여도가 가장 큰 중권역은 용담댐(#3001) 유역이었으며, 인간 활동의 기여도가 가장 큰 중권역은 대청댐(#3008) 유역이었다. 미래 기후변화는 RCP 4.5와 8.5 시나리오 모두에서 강수량과 온도의 증가가 나타났다. 이러한 기후 요인의 변화는 금강 유역의 유출량 변화에 44.8%에서 65.5%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출량은 기후변화에 의한 영향뿐만 아니라 인간 활동에도 크게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이는 지속적인 수자원 관리 계획을 세우는데 중요한 정보가 될 것이다.

미분탄 연소의 점화 특성에 관한 연구 (Ignition behaviour of pulverized coal particle during coal combustion)

  • 이동방;김량균;송주헌;전충환
    • 한국연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연소학회 2012년도 제44회 KOSCO SYMPOSIUM 초록집
    • /
    • pp.213-215
    • /
    • 2012
  • As one of the primary fuel sources, oxy-fuel combustion of coal is actively being investigated because of the climate changing problem such like the emission of green house gases. In this paper research about the pulverized coal technology, which is widely used in both power-generating and iron-making processes was studied to invesgate the ignition behaviour of pulverized coal particles during coal combustion as changing the ambient oxygen concentration of the particle. The ignition phenomenon of the coal particles fed into a laminar flow reactor was imaged with a Integrated charged-coupled device (ICCD) camera. The ignition points were determined throught the analysis of the images, and then the ignition delay times were able to be calculated.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a lower oxygen concentration increases the ignition delay time.

  • PDF

U. S. COSMETICS, 1993 -Cosmetics in the Clinton Era-

  • Lin, T.-Joseph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1993년도 21세기를 향한 화장품의 개발방향
    • /
    • pp.1-1
    • /
    • 1993
  • The cosmetic industry is dynamic, ever changing. New product are constantly evolved, old and obsolete products are replaced as the industry adopts to an ever changing market. Cosmetics are products 1the society. They often reflect the changing needs, values, and the lifestyles of the people and serve as an indicator of the political climate and economic state of a nation. Thus, it is likely the recent change in 11head of the U.S. government will strongly impact the cosmetic industry. The United States is the world`s largest market for cosmetics and toiletries, Many U.S. cosmetic and toiletry manufacturers, such as P & G, Colgate, Avon, Revlon and Estee Lauder, market their Products worldwide. Consequently, what happens in the U.S. often, sooner or later, affect markets and industries in other parts of the world. Frequently, changes that occur first in the U.S. with subsequently take place in other nations within a few years. The success and failure of the new economic policies of the Clinton Administration and the expected tightening of government regulations on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consumer protection will undoubtedly affect the industry. Possible changes in foreign policy will not only affect U.S. companies but also cosmetic manufacturers in other nations. This lecture will focus on possible changes in the cosmetic industry in America and how they will impact on Korea and foreign companies doing business in United States. It will also review important changes in federal and state regulations. New marketing trends, new raw materials and successful new products will be discussed.

  • PDF

기생충의 보조숙주로서의 한국산 연체동물 감염 실태: 기후변화에서 병원체 전파의 영향에 대한 고찰 (Korean molluscs as auxiliary hosts for parasites: A study of implications for pathogen transmission in a changing climate)

  • 박갑만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3-19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산 연체동물의 감염 병원체의 실태와 한반도 기후변화에 따른 질병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연구 보고된 문헌을 고찰하였다. 야생동물은 인체에 기생하는 인수공통전염병 기생충에 대한 중간숙주, 보유숙주 및 연체숙주로 제공되고 있다. 흡충류는 연체동물의 흔한 기생충이며 거의 모든 흡충류는 그들의 생활사에서 1차숙주로서 패류에 감염되며, 대부분은 또 다른 숙주를 포함하는 복잡한 생활사를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 기생충의 생태학에 대한 보조숙주로서의 중요성은 논의된 바 없다. 최근에 기후변화의 관점에서 많은 기생성 질병이 역학적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한국산 연체동물을 대상으로 연구 보고된 문헌을 중심으로 기생성 병원체를 가진 종들을 조사 한 결과 전체 21종의 패류가 매개 기생체를 가지며, 이들 패류 21종이 가지고 있는 병원체는 모두 39종류로 확인되었다. 이 중 담수패류가 15종 그리고 해산패류에서 6종으로 나타났다. 담수패류 중 다슬기과의 다슬기 (Semisulcospira livertina) 에서 페흡충, 요코가와흡충, 가시입이형흡충 등 가장 많은 11종류의 기생성 병원체를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쇠우렁이 (Parafossarulus manchouricus) 에서는 간흡충, 동양배반흡충, 메기장흡충, 오리오목흡충, 일본극구흡충 등 11종류, 다슬기류 (Semisulcospira sp.) 에서는 폐흡충, 요코가와흡충, 가시입이형흡충 등 10종류, 염주알다슬기(Koreanomelania globus) 에서는 메기소식흡충 등 7종류, 바지락 (Tapes philippinarum) 에서는 Cercariae tapidis 등 3 종류 그리고 나머지 패류에서 1-2 종류의 기생성 병원체를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앞으로 홍수나 가뭄과 같은 극심한 기후변화가 일어난다면 담수패류는 기생성 매개자로서의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