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nges in the government roles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2초

신문기사에 나타난 자녀교육 인식 변천 -1920년대~1990년대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The historical change of children's education recognition by Chosun & Donga newspaper articles from 1920s to 1990s)

  • 한용진;최정희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175-240
    • /
    • 2011
  • 이 논문은 자녀교육에 관한 신문기사의 시기별 강조되는 내용을 통해 20세기 한국사회에서자녀교육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여 왔는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근대화과정을거치면서 우리나라는 모든 영역이 급격하게 변화되었는데, 신문에서 보도된 자녀교육에 관한기사의 논조 역시 사회적 분위기와 국가의 교육정책에 따라 변화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정리된 결론은 다음 4가지이다. 첫째 자녀교육에 대한 부모의 역할은 더욱 가중되며, 세대간자녀교육에 대한 인식의 간극이 나타나고 있다. 둘째, 전통시대의 엄부자모(嚴父慈母)의 모습은 사라지고, 자녀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책임이 강조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자녀교육에 함께 참여하는 아버지 역할의 복권을 촉구하고 있다. 셋째, 지식정보화 사회 속에서 다양한 정보의 홍수는 오히려 '자녀교육 극성'의 한 원인으로 작용하기에, 올바른 자녀교육관 확립에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넷째, 자녀교육의 문제는 개인적이고 사적인 영역에서 점차 공적이고 국가적인 영역으로 확대되어 왔으며, 이는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 살고 있는 교포 자녀들에 대한 교육적 지원이 확대되는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건설업 안전·보건관리자 선임기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iteria for Appointment of Safety and Health Manage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 이연수;박용규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110-115
    • /
    • 2014
  • The construction accidents which had been on the downward trend for the past decades have increased for five consecutive years since 2008. In order to let the increasing trend of construction accident slow growing or switching to decline, various efforts are required of all members in construction industry such as government, employers, construction engineers, safety managers, construction workers, etc. Although the criteria for appointment of safety managers in construction site introduced in 1982 have contributed to prevent construction accident as a forefront for the past 30 years, it has not been a remarkable improvement in the safety manager's status and roles which have been required to change according to the changes of circumstances and environments. In associated with a newly introduced the criteria for appointment of health managers in construction site in the year 2015, the problems such as role, status, number of safety and health managers are needed to be considered comprehensively and improved widely. In this study, we propose several improvement plans which will improve the current criteria for appointment of safety and health managers in construction sites.

예방의학의 발전 방향 (Preventive Medicine in Times of a Rapid Epidemiologic Transition in Korea)

  • 박정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9권1호
    • /
    • pp.2-6
    • /
    • 2006
  • Ever since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in 1947, members of the Society had made remarkable contributions to the public health development and national health promotion. They had played key roles in establishing national health system, improving environmental hygiene, controlling infectious and chronic diseases, promoting family planning, improving industrial and environmental health, and developing health service management. However, the Society had less actively responded to the changes in health service needs of the population that were caused by a rapid epidemiologic transition in last a few decades.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chronic diseases including cancer and cardiovascular diseases and risk reduction by the life style modification are major approaches to the contemporary national health problems and they are the core contents of preventive medicine. The author proposed to develop the clinical preventive medicine specialist who will have additional training in clinical medicine for health screening and life style modification to the current preventive medicine training program and thus will be able to provide comprehensive preventive medical services. Another area that the Society may take the initiative is training preventive medicine specialist in the disaster, including bioterrorism, preparedness and management. The Society should be more active in proposing health policy and health service program and also participate collectively in a large scale health research project of the government. These approaches may not only contribute more effectively to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but also improve the identity of the Society.

근대로 향하는 길? 무시 대교(Jembatan Musi)를 통해서 본 도로건설과 지역개발의 상관관계 (The Road to Modernity? Politics of Building Bridges and Regional Development in the Case of the Musi Bridge)

  • 여운경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4권1호
    • /
    • pp.191-221
    • /
    • 2014
  • South Sumatra's capital, Palembang, has long maintained a river-oriented transportation system. With road transportation's increased importance for exploiting natural resources, however, hundreds of roads have been constructed since the Dutch colonial period.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construction of roads and bridges affected people's lives and social networks in Palembang, and what social and political significance it has in the context of a region in the postcolonial Indonesia, with a focus on the huge river called the Musi River, which horizontally crosses the city. After independence, there has been strong aspiration to link these two parts by road, and in 1965 the Musi Bridge (then the Sukarno Bridge) over the river was eventually opened.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apparently initiated socioeconomic transformations and development in the region, including Ulu (the southern river bank)'s rapid urbanization. However, the features of regional development actually were prerequisites for "national" development. The regional development was impossible without financial suppor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or regional aspiration for development was often supported only when it fitted with national envision. The Musi Bridge was a model case that fitted with such national envision. While it was the symbol of regional development, it was also celebrated as an exemplary sign of "national" development, by both Sukarno's government and Suharto's New Order regime. By analyzing the discussions and discourses regarding the Musi project since early 1950s, in addition to its social and economic impact after the construction, this article explores the continuities and changes in the roles and significance of the (construction of the) Musi Bridge with the changing political backstops in both regimes. Together with it, this article also aims to reexamine the interplay between "the national" and "the regional" in the prevalent aspiration for the national and regional "development" throughout the 1950s and 1960s.

우리나라 보건의료 발전을 위한 의료기술평가의 역할 (Roles of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for Better Health and Universal Health Coverage in Korea)

  • 이영성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63-271
    • /
    • 2018
  •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HTA) is defined as multidisciplinary policy analysis to look into the medical, economic, social, and ethical implications of the development, distribution, and use of health technology. Following the recent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there are increasing needs to improve Korea's healthcare environment by, inter alia, assessing health technologies in an organized, timely manner in accordance with the government's strategies to ensure that citizens' medical expenses are kept at a stable level. Dedicated to HTA and research, the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NECA) analyzes and provides grounds on the clinical safety, efficacy, and economic feasibility of health technologies. HTA offers the most suitable grounds for decision making not only by healthcare professionals but also by policy makers and citizens as seen in a case in 2009 where research revealed that glucosamine lacked preventive and treatment effects for osteoarthritis and glucosamine was subsequently excluded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s benefit list to stop the insurance scheme from suffering financial losses and citizens from paying unnecessary medical expenses. For the development of HTA in Korea, the NECA will continue exerting itself to accomplish its mission of providing policy support by health technology reassessment, promoting the establishment and use of big data and HTA platforms for public interest, and developing a new value-based HTA system.

초국적 이주와 한국의 사회공간적 변화 (Transnational Migration and Socio-Spatial Changes in S. Korea)

  • 최병두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3-36
    • /
    • 2012
  • 이 논문은 한국에서 지난 20년 동안 급증했던 초국적 이주자들의 국내 유입과 이에 따른 사회공간적 변화에 관한 주요 세부 주제들을 전반적으로 그러나 가능한 체계적으로 성찰해보기 위한 것이다. 지구화의 불균등성과 교통통신기술의 발달 그리고 국내 경제성장과 저임금 노동력의 부족 등으로 인해 급증하게 된 외국인 이주자들은 수도권과 공단지역을 중심으로 불균등하게 분포해 있다. 이주노동자들은 단기적으로 지역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오히려 부정적인 것으로 추정된다. 내국인들은 다문화의 필요성을 수용하면서도 동시에 단일민족에 대해 자부심을 가지는 이중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중앙정부는 2000년 중반 이후 외국인 이주자들을 위하여 본격적인 다문화정책을 추진하게 되었지만, 여전히 동화주의 또는 차별배제주의를 내재하면서 이들을 주변화시키고 있으며, 지방정부의 역할은 매우 미흡한 편이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다문화사회공간으로 원활하게 전환하기 위하여, 진정한 다문화주의 담론과 정책, 지방정부의 역할 증대, 지구-지방적 시민권의 보장 등을 촉구하는 초국적 이주의 지리학이 필요하다.

  • PDF

외국의 유지관리 제도 비교분석을 통한 국내 건축물 유지관리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f Pla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domestic building maintenance system based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foreign building maintenance systems)

  • 윤효진;정광호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25-33
    • /
    • 2009
  • So far we have investigate and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s of building maintenance in Korea and compared the building maintenance laws and systems between Korea and other countries. Now, based on the results from such comparison and analysis,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ideas for improvement: 1) As we can learn from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ies, in the existing built-up areas becoming obsolete, many building owners remodel their buildings illegally in reaction to current economic and social changes. Therefore, for efficient maintenance of buildings, it is required to improve building maintenance systems by formulating information about inspection items, inspectors, supervisors, inspection costs and intervals of reporting results, depending on how large the buildings are and what they are used for. 2) In addition, to ensure the success of a building maintenance system, it is necessary to keep and manage a history of building maintenance thoroughly and introduce a certification program which gives an appropriate grade to maintenance performance and commits the government to expand their public roles and supporting policies, as widely used in some foreign countries. Further, in keep the building maintenance system secure, there should be a nationwide consensus as well as a favorable evaluation from building owners and manager, and all related people.

  • PDF

환경변화에 따른 지적기관의 역할 변화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Changing Roles of Cadastral Organizations to Comply with Environmental Changes)

  • 오이균;박종철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4권2호
    • /
    • pp.59-72
    • /
    • 2014
  • 지적기관의 핵심변화 요인으로 측위기술의 발달을 포함한 공간정보통신기술(Geo-ICT)의 발달, 정부의 공기업 혁신정책, 지적측량시장 개방압력, 지적측량 업무량 감소 등의 요인으로 제시하였다. 환경변화에 따른 지적기관의 역할변화에 관한 국제사회의 인식은 지적측량 기관에서 공간정보 제공기관으로 변화해야 하며, 궁극적으로 최신의 공간정보를 충분히 활용하여 경제발전과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공간정보기반사회(Spatially Enabled Society)의 실현을 위해 기여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해외 지적기관 사례조사를 통해서는 국가공간정보 인프라(NSDI)의 핵심역할을 담당해야 하며, 기술 개발과 혁신을 통하여 미래 고객의 요구사항까지도 예측하고 대비하여야 한다는 발전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줄기세포연구정책 거버넌스의 특성 - 황우석 사태 이후 R&D 투자 변화를 중심으로- (Stem Cell Governance in Korea After Hwang's affair - Change in Governmental Fiscal Expenditure for R&D Investment -)

  • 김명심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181-214
    • /
    • 2015
  • 이 논문은 황우석 사태 이후 줄기세포연구의 정책변화에 대한 기술을 통해 한국의 과학기술정치와 거버넌스 특성을 분석하였다. 황우석 사태 이후 한국의 줄기세포연구가 위축되었다는 일반적인 통념에도 불구하고, 2015년 현재 한국은 세계 최초 최대의 줄기세포치료제 개발에 성공하였다. 하지만 한국의 줄기세포연구 역량과 기술경쟁력이 개발성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 같은 성과가 도출될 수 있었던 원인에 대한 설명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첫째, 정부의 R&D 투자 변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황우석 사태 전후의 정책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황우석 사태 이후 줄기세포연구에 대한 정부 지원의 축소에 따른 '줄기세포연구의 위기'가 실제 하였는가를 확인하였다. 둘째, 정부의 정책보고서 및 뉴스보도 등의 문헌분석을 통해 줄기세포연구에 대한 정책적 담론의 변화과정을 기술함으로써 줄기세포연구를 둘러싼 과학기술정치와 거버넌스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의 줄기세포연구의 개발성과 는 기술 경쟁력 보다는 한국 정부의 줄기세포연구에 대한 투자 및 규제 정책이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주장한다. 더 나아가 기술관료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줄기세포연구에 대한 정책결정과정은 '황우석 사태'를 통한 정책학습 결과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기보다는 기존의 전문가 중심으로 구성되는 정책과정을 답습함으로써 우리나라가 여전히 과학기술에 대한 민주적 거버넌스가 작동하기 어려운 정책환경에 있음을 주장한다.

탈추격단계에서의 정책과 행정체제 변화 (The Change of Policy and Public Administration System in Post Catch-up Phase)

  • 성지은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6권2호
    • /
    • pp.45-75
    • /
    • 2006
  • 본 연구는 혁신체제 전환의 의미와 동인, 그리고 혁신체제 전환과 관련하여 정부의 역할을 살펴보고, 구체적으로 추격에서 탈추격단계로의 전환에 따른 정책 및 행정체제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선진국의 재빠르게 모방하던 추격단계에서 새롭게 경로를 창출하고 독자적인 발전경로를 만들어 나가야 하는 탈추격단계에 접어들면서 그동안 형성되어 온 정책 기제와 행정체제는 수정 변화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추격의 대상이 명확하게 주어지는 추격단계에서는 정부가 민간보다 우월적인 지위에서 직접 연구를 지원하거나 구체적인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등 적극적인 개입이 이루어져 왔다. 반면 탈추격단계에서는 경로의 탐지 및 해결책 모색을 위해 정부와 민간간 파트너십이 더욱 강조되었으며 장기적 비전 창출과 광범위한 정책조정을 이끌어내는 전환가적 리더십이 요구되어 왔다. 행정체제 또한 주어진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수단적 기제에서 벗어나 환경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변화하는 수요에 민첩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분권적 다원주의 체제, 부처간 유기적 협조와 네트워크 강화, 정부민간의 상호교류와 협력을 강화하는 등 유기적인 구조와 관계를 강조해 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