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m Cell Governance in Korea After Hwang's affair - Change in Governmental Fiscal Expenditure for R&D Investment -

한국 줄기세포연구정책 거버넌스의 특성 - 황우석 사태 이후 R&D 투자 변화를 중심으로-

  • 김명심 (경희대학교 사회학과 과학기술사회연구센터 SSK)
  • Received : 2015.05.06
  • Accepted : 2015.06.20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tics of technoscience and governance in South Korea, taking advantage of the policy changes on the stem cell research after Hwang's affair. In spite of generally accepted conventional wisdom that stem cell research had been suffering 'crisis' after the Hwang's affair, South Korea succeeded in developing the first and the largest stem cell product in the world.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stem cell research capabilities and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Korea have been assessed a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development performance, there is a need to extrapolate how such result could be achieved. To answer these questions, we analyzed changes in the R&D expenditure before and after the scandal and verified the 'crisis of stem cell research' following the reduction of financial support from government. From the analysis of literature on the policy reports and news, we described the process of discourse changes in policy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tics of technoscience and governance of stem cell research. This study emphasized that the government R&D and regulation policy play the key roles in the development of stem cell research rather than in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in South Korea. Furthermore, this study argued that democratic governance still does not work under the policy conditions that technocratic decision-making of stem cell research fails to learn from the Hwang's affairs.

이 논문은 황우석 사태 이후 줄기세포연구의 정책변화에 대한 기술을 통해 한국의 과학기술정치와 거버넌스 특성을 분석하였다. 황우석 사태 이후 한국의 줄기세포연구가 위축되었다는 일반적인 통념에도 불구하고, 2015년 현재 한국은 세계 최초 최대의 줄기세포치료제 개발에 성공하였다. 하지만 한국의 줄기세포연구 역량과 기술경쟁력이 개발성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 같은 성과가 도출될 수 있었던 원인에 대한 설명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첫째, 정부의 R&D 투자 변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황우석 사태 전후의 정책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황우석 사태 이후 줄기세포연구에 대한 정부 지원의 축소에 따른 '줄기세포연구의 위기'가 실제 하였는가를 확인하였다. 둘째, 정부의 정책보고서 및 뉴스보도 등의 문헌분석을 통해 줄기세포연구에 대한 정책적 담론의 변화과정을 기술함으로써 줄기세포연구를 둘러싼 과학기술정치와 거버넌스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의 줄기세포연구의 개발성과 는 기술 경쟁력 보다는 한국 정부의 줄기세포연구에 대한 투자 및 규제 정책이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주장한다. 더 나아가 기술관료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줄기세포연구에 대한 정책결정과정은 '황우석 사태'를 통한 정책학습 결과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기보다는 기존의 전문가 중심으로 구성되는 정책과정을 답습함으로써 우리나라가 여전히 과학기술에 대한 민주적 거버넌스가 작동하기 어려운 정책환경에 있음을 주장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미래창조과학부) (2006-2014), 줄기세포연구시행 계획(각년호).
  2. 교육과학기술부(미래창조과학부) (2006-2014),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각년호).
  3. 교육과학기술부 (2010), 줄기세포 R&D 투자 재점화 - 줄기세포 유망 연구팀 6개 선정, 60억원 지원 -
  4.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운영위원회 (2009), 줄기세포 연구 활성화 방안(안)
  5. 권기창.배귀희 (2006), "과학기술정책의 거버넌스 변화",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0권 3호, pp.27-53.
  6. 강명구.김학재.이성민. (2006). 애국적 열망과 숭고한 과학.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431-453.
  7. 김동광 (2005). "무대 위의 과학". 과학기술학연구, 5(2), 23-47.
  8. 김병수 (2011), 한국 생명공학감시운동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과학기술학 협동과정 과학관리 전공 박사학위 논문.
  9. 김병수 (2014), 한국생명공학 논쟁, 알렙.
  10. 김은성 (2009),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위험 거버넌스 구축 방안 연구: 신기술 및 신종재난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11. 김은성 (2010), 짙은 정책학: 탈실증주의 정책학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정책학회보, 제19권 4호, pp.155-176.
  12. 김종영 (2006), [특집-과학기술학 (STS) 자들이'황우석 사건'을 본격 분석하다] 복합사회현상으로서의 과학과 과학기술복합동맹으로서의 황우석, 역사비평, pp.82-114.
  13. 김종영 (2007), 황빠현상 이해하기: 음모의 문화, 책임전가의 정치, 한국사회학 제41권 6호, pp.75-111.
  14. 김종영 (2011), 대항지식의 구성 : 미 쇠고기 수입반대 촛불운동에서의 전문가들의 혼성적 연대와 대항논리의 형성,한국사회학 제 45권 1호, pp. 110-153.
  15. 김환석 (2006), 황우석 사태의 원인과 사회적 의미, 경제와사회, 제71호, pp.237-255.
  16. 박진희.김명진.조아라 (2011), 한국의 과학기술 시민참여, 평가와 과제, 시민의 과학, 사이언스북스. pp.123-160.
  17. 박희제.김은성.김종영 (2014), 한국의 과학기술정치와 거버넌스, 과학기술학연구, 제14권 2호, pp.1-47.
  18. 배그린.강민아 (2013), 영국, 미국, 한국의 줄기세포연구에 관한 정책변동 비교 분석: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모형의 적용, 보건행정학회지, 제23권 4호, pp.314-325.
  19.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2007), Bio-Vision 2016.
  20.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2010-2013), 생명공학 주요 통계자료 모음 (각년호).
  21. 서이종 (2005), 배아복제의" 공중의 이해" 와 인터넷 공론, 과학기술학연구, 제5권 1호, pp.125-148.
  22. 성지은 (2006), 과학기술정책결정구조의 변화 : 참여정부의 과학기술 행정체제개편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제44권 1호, pp.243-264.
  23. 송위진 (2012), 과학기술혁신정책의 시민참여형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정책방안, 지속가능한 과학기술혁신 거버넌스 발전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pp.217-234.
  24. 손향구 (2009), "국내 줄기세포 정책연결망 분석 : 1997-2005", 고려대학교 대학원 : 과학기술학 협동과정 과학관리 전공 박사학위논문
  25. 식품의약품안전청(2010), 줄기세포치료제 개발 현황, 전망 그리고 쟁점, (2010.11.18.)
  26. 식품의약품안전청(2011), 줄기세포치료제 심사평가 가이드라인(안).
  27. 식품의약품안전청(2012),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2012-3호, (2012,02.16)
  28. 식품의약품안전처(2014), 식약처,'차세대 줄기세포기반제제 평가 연구 사업단' 운영 - 올해부터 4년간 차세대 줄기세포치료제 연구-, (2014.02.27.)
  29. 식품의약품안전처(2014), 줄기세포치료제 평가 가이드라인.
  30.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2014), 공고 제2014-134호줄기세포치료제 심사 평가 가이드라인.(2014.12.02.)
  31. 윤석환.강근복 (2003), 대형연구개발사업 평가제도의 체계적 도입 방안, 한국정책학회보, 제12권 4호, pp.15-76.
  32. 이명석 (2002), 거버넌스의 개념화: 사회적 조정으로서 거버넌스, 한국행정학보, 제36권 제4호, pp.321-338.
  33. 이영희 (2007). 황우석 사태는 얼마나 한국적인가?, 과학기술학연구, 제7권 2호, pp.23-46.
  34. 이영희 (2010), 핵폐기물 관리체제의 국제비교- 기술관료적 패러다임 대 과학기술사회론적 패러다임, 경제와 사회 제 85호, pp.67-92.
  35. 정병걸 (2007), 관료적 조직 경쟁과 기획의 과잉-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14권 1호, pp.65-86.
  36. 정병걸.성지은 (2005), 과학기술과 상징 정치- 참여정부의 과학기술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9권 1호, pp.27-4.
  37. 조성겸.조은희.윤정로 (2009), 생명과학 이슈에 대한 한국 여론의 특성, 사회과학연구, 제20권 1호, pp.169-187.
  38.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6), 줄기세포 기술경쟁력 현황 및 대안전략.
  39. 디지털타임즈 (2009), '국내 줄기세포 연구 불 지피나 ',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09031202011357731002, (2009.03.12.)
  40. 매일경제 (2009), '줄기세포, 美는 대통령이 나서는데...,' http://news.mk.co.kr/column/view.php?year=2009&no=173407, (2009.03.19.)
  41. 매일경제 (2017), 줄기세포연구 다시 불 붙인다...10년간 4300억원 투자,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07&no=544876, (2007.10.09.)
  42. 서울경제 (2009), '자칫하단 '줄기세포 식민지' 전락 우려', http://economy.hankooki.com/lpage/entv/200906/e2009062617545494230.htm, (2009. 06.26)
  43. 서울경제 (2011), MB "줄기세포 지원 신속.과감하게" , (2011.09.16.), http://economy.hankooki.com/lpage/politics/201109/e2011091617571096380.htm.
  44. 세계일보 (2009), '줄기세포 연구 지원 적극 나서야', http://www.segye.com/content/html/2009/03/13/20090313003550.html, (2009.03.13.)
  45. 중앙일보 (2009), '오바마 지원에 미국 급성장 ... 외국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현주소 -일본.유럽도 한국보다 앞서,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3590411&ctg=(2009.04.30.)
  46. 파이낸셜뉴스 (2007), 침체 줄기세포 연구 재도약 나선다, http://www.fnnews.com/news/200710091418056861?t=y, (2007.10.09.),
  47. 한겨레 (2009), '줄기세포 경쟁력 10위권 밖...투자 절실', http://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366551.html (2009.07.19.)
  48. Collingride, D., Reeve, C. (1986), Science Speaks to power : the role of the expertise in policy making. London: Frances Printer.
  49. Dryzek, J. S. (1990), Discursive Democracy: Politics, Policy and Political Sc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0. Fiorino, D. (1990), Citizen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al Risk: A Survey of Institutional Mechanisms, Science Technology Human Values, Vol 15 No. 2, pp. 226-243. https://doi.org/10.1177/016224399001500204
  51. Fischer, F. (2000), Citizen, Experts, and the Environment.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52. Funtowicz, S., Ravetz, J.(1992). Three Types of Risk Assessment and the Emergence of Post Normal Science in S. Krimsky and D. Golding eds. Social Theories of Risk. Praeger.
  53. Herbert G, Triendl. R. (2006). South Korean policy failure and the Hwang debacle. Nature Biotechnology. Vol. 24, pp.141-143. https://doi.org/10.1038/nbt0206-141
  54. Irwin, A. (1997), Valley of Fear. Ulverscroft Large Print Books Ltd.
  55. Irwin, A. (2008), "STS Perspectives on Scientific Governance." in E. J. Hacket, O. Amsterdamska, M. W. Lynch, J. Wajcman and W. E. Bijker. eds. The Hand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pp. 583-607, Cambridge, MA: MIT Press.
  56. Jessop, B.(2000), Governance Failure in G. Stoker(ed.), The New Politics of British Local Governance, pp.11-32. St, Martin Press.
  57. Kim, S. H. (2013), The Politics of Human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in South Korea: Contesting National Sociotechnical Imaginaries, Science as Culture, Vol. 23 No.3, pp.293-319. https://doi.org/10.1080/09505431.2013.860095
  58. Konrad, K. (2010), Governance of and by expectations. Tentative Governance in Emerging Science and Technology. Actor Constellations, Institutional Arrangements and Strategies. Enschede: University of Twente, pp.67-77.
  59. Rajan, K. (2006), Biocapital : The Constitution of Postgenomic Life.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60. Rose, N.,(2007), The Politics of Life Itself. Biomedicine Power and Subjectivity in the Twenty-First Centur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61. Wohn, D. Y. (2012), "Korea okays stem cell therapies despite limited peer-reviewed data", Nature Medicine, Vol 18 No.3, pp.329-329.
  62. Yoon, J. R., Cho, S. K., & Jung, K. W. (2010), The challenges of governing biotechnology in Korea, East Asia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Vol 4 No. 2, pp.335-348. https://doi.org/10.1215/s12280-010-91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