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ngeability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3초

존 듀이의 비평 이론 (John Dewey's Theory of Criticism)

  • 김진엽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2권
    • /
    • pp.222-238
    • /
    • 2000
  • The attempts to explain the criterion of art criticism can be divided into three directions. The first is that there is a universal criterion of criticism. The second is that criticism is a subjective impression of each critic. Therefore, there is no universal criterion beyond a subjective impression. The third is that denies both claims. It tries to and the objective criterion which is neither universal nor subjective. In this paper, I will see how John Dewey criticizes the first two theories and holds the third theory. Dewey's denial of the first theory can be seen in his view of the judical criticism. The judical criticism claims that art criticism can be made on the universal criterion, as judical decision can be made on the general rule supposed to be applicable to all cases. But Dewey claims that the judical criticism cannot explain what makes the artist the 'masters'. Defining art as an experience, Dewey claims that art is a process of doing and undergoing, and that art is essentially an interactive activity between men and his environment As environment changes, the experience of the environment also changes. So art should accept the possibility of new experience. But, since the judical criticism advocates of the universal criterion which cannot allow the changeability, Dewey denies it. On the other hand, Dewey's denial of the second theory can be seen in his view of the impressionist criticism. The impressionist criticism claims that criticism is to clarify the impression which is consisted of feeling and imagery the art object evokes. To this claim, Dewey replies that to clarify an impression is to analyze it, and analysis can proceed only by going beyond the impression to the judgement. As we have seen so far, Dewey has denied the judical criticism that there is a universal criterion supposed to be applicable to all criticism. He has also denied the impressionist criticism that there are only subjective responses to the art object, and hence that there is no criterion of criticism at all. For Dewey, these two criticism are based on the same false assumption of the criterion, although their conclus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oth the judical and impressionist criticism failed to reali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ning of the criterion as applied in measurement and as used in criticism. Criticizing of these two views of criticism, Dewey claims that there is an objective criterion which is neither universal nor subjective. Art criticism is objective in tv#o senses, i. e., in the first sense that it can be judged by the properties of the art object and in the second sense that it can be verified by the communities of the critics.

  • PDF

컴포넌트 정적/동적 커스터마이제이션 기법 (The Static and Dynamic Customization Technique of Component)

  • 김철진;김수동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9권9호
    • /
    • pp.605-618
    • /
    • 2002
  • 컴포넌트 기반 어플리케이션 개발(CBD: Component Based Development)은 Time-To-Market을 위한 필수적인 기법이며 컴포넌트를 이용해 다양한 도메인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재사용성이 높은 컴포넌트가 제공되어야만 한다. 컴포넌트의 재사용성을 높이려면 다양한 도메인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개발해야 한다. 그러나 개발하려는 컴포넌트에 해당하는 다양한 도메인의 모든 요구사항을 분석해 컴포넌트 내에 포함한다는 것은 많은 부하를 주며, 또한 여러 도메인의 공통 기능을 가진 일반적인 컴포넌트만 제공하는 것은 개발자가 개발해야 하는 다른 영역이 존재하므로 Time-To-Market을 이루기가 쉽지 않다. 이와 같이, 컴포넌트 개발(CD : Component Development) 시점에 다양한 도메인의 요구사항 분석을 통해 일반적인 컴포넌트를 개발하는 것이 재사용성이 높다고는 볼 수 없으며 이러한 컴포넌트는 공통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는 컴포넌트 일뿐이며 공통 영역 외의 영역은 또 다른 개발의 부담을 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통 컴포넌트를 포함하여 특정 영역의 컴포넌트를 재사용하기 위한 컴포넌트 커스터마이제이션 기법을 제안한다. 컴포넌트의 데이터 속성(Attribute), 기능(Behavior), 그리고 메시지 흐름(Message Flow)에 대한 변경 가능성을 제공하여 컴포넌트의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커스터마이제이션 기법은 개발된 컴포넌트들을 통합하거나 컴포넌트 내에 새로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컴포넌트 내의 메시지 흐름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컴포넌트 내에 존재하는 클래스를 다른 클래스로 교환하거나 통합된 컴포넌트를 다른 기능의 컴포넌트로 교환할 수 있는 기법을 제공하여 다양한 도메인의 요구 사항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커스터마이제이션 기법은 공통 기능의 컴포넌트 뿐만 아니라 특정 영역의 컴포넌트에 대한 재사용성도 확보할 수 있다.

가족 내 세대갈등과 통합 (Intergenerational Conflict and Integration in family)

  • 남순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0권2호
    • /
    • pp.1-15
    • /
    • 2004
  • 최근 급변하는 사회현상들로 인한 다양한 가족유형들은 가족에 대한 개념 자체를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필연적으로 가족내 세대간 가치차이를 야기하며, 가족갈등이나 사회문제로 파생되는 것이 사실이다. 본고에서는 다양화, 다각화로 변모하고 있는 사회현상으로 인한 가족내 변화에 따른 가족내 세대간의 문제를 다루어봄으로써 세대갈등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먼저, 현대사회의 가족구조적인 변화가 가족내 어떤 기능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는지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변화들을 촉구하고 있었다. 첫째, 가족구성원들간의 상호작용하는 방식의 변화이고, 둘째, 가족의 심리적 자원으로서 애정, 보살핌과 같은 관계적 자원에 대한 지속적인 연속성의 요구이며, 셋째, 형식적 관계에서 벗어나 실질적 관계로의 전환, 및 마지막으로, 보다 명료한 의사소통망의 활용이었다. 또한 가족생애주기의 변화에 따른 부모-자녀관계의 상호작용을 재조명해봄으로써 세대갈등에 대한 해결책을 탐색해본 결과, 첫째, 현대사회의 다양한 가족유형의 가변성을 수용하고, 변화하는 가족의 기능적인 측면을 강조하여야 하며, 둘째, 각 세대가 지니고 있는 상호교환적인 가치를 수용하여 세대간 관계적 기능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셋째, 효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했다. 즉 가족기능의 세대간 전수는 가계와 가문형성의 근원이 될 수 있지만, 세대간의 상호작용없이 불가능하다.

  • PDF

포스트모던 시대에 적합한 지역 개념의 모색: 동일성(identity) 개념을 중심으로 (A Search of Regional Concept in the Post-Modern Era: In Case of Identity)

  • 임병조;류제헌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82-600
    • /
    • 2007
  • 지역 개념은 지리학의 역사와 함께 매우 다양하게 발달하여 왔다. 모든 지역 개념은 당면한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며 시대적 상황은 끊임없이 변화를 거듭해 왔기 때문이다. 자본주의의 발달과 지구화로 대변되는 오늘날도 상황에 적합한 새로운 지역 개념을 요구하고 있다. 역동적이며 경계가 불분명하고 사회적 관계, 제도적 체계, 이데올로기, 상징 등과 같이 다양한 특성들이 주관성에 기초하여 인식되고 있는 것이 오늘날의 지역이다. 따라서 지역의 형성에 관여하는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 표출되고 있는 상이한 견해들을 통합하여 주민들로부터 자발적 동의를 얻어내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지역은 객관적, 고정적 실체이기보다는 이와 관련된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 '구성'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지역의 구성은 지역과 관련된 주체들이 다양한 지역의 특성을 자신의 것으로 통합하는 과정, 즉 지역 동일성을 형성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지역 동일성은 포스트모던 시대 지역의 주요 속성, 즉 다양성, 주관성, 역동성, 가변성을 탐구하고 설명하기에 적절한 개념이다. 지역 동일성의 구축은 영역적 경계, 상징, 제도 등을 만들어 내는 과정, 즉 제도화(institutionalization) 과정을 필요로 한다. 지역 동일성은 외부세계와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재구성되는 관념이며 주민을 비롯하여 행정기관, 학술단체, 언론, 교육제도 등과 같은 다양한 제도적 요소들이 관여하고 있다. 이러한 제도적 요소들의 참여를 전제 조건으로 하는 제도화 개념은 지역 동일성의 구성 과정을 분석하는 하나의 유효한 수단으로 의미가 있다.하게 나타나면서 아울러 인문적인 풍수 경관요소도 다수가 나타나는 경우로, 이들 지방도시의 공통적인 속성은 지역의 중심지에 설치된 지방행정도 시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가뿐만 아니라 질적인 변화, 즉 태도의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있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지반운동의 공간적인 차별성은 GPS 자료를 통한 지각의 이동방향에 의해서도 간접적으로 증명될 수 있었다. 이러한 해석은 기존에 알려져 왔던 한반도의 지진발생 메카니즘과는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한반도의 지형발달과 지진예측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pm}41000\;Bq/g,\;670\;Bq/g{\pm}460\;Bq/g$이었으며 22개 저방사능폐수지에서는 각각 $4.2\;Bq/g{\pm}4.3\;Bq/g,\;6.0\;Bq/g{\pm}5.3\;Bq/g$이 검출되었다. 고방사능 폐수지의 평균 $^{14}C/^3H$비는 28로 저방사능 폐수지의 0.70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14}C$$^3H$의 농도는 서로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보완대책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이 성적을 통하여 비로소 확인할 수 있었다.가정교과교육학 문항내용의 포괄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정과교육과정 문항내용은 제7차 교육과정 문서상에 표면적으로 제시된 내용에 한정되어 있어 구체적인 개선방안으로 교육과정의 철학적 이론적 배경, 다양한 교육과정 원리를 활용하는 문항내용 등과 같이 좀 더 이론적이고 원론적인 내용으로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과학적 모델과 모델링에 대한 중등 과학 교사의 인식 탐색 (An Investigation into the Secondary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Scientific Models and Modeling)

  • 조은진;김찬종;최승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859-877
    • /
    • 2017
  • 과학 교육의 궁극적 목표인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을 배양하는데 있어 이하 모델과 모델링이 차지하는 핵심적 역할을 고려할 때, 중등 과학 교사의 모델과 모델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은 모델 기반 교수 학습을 실제 과학 수업에 적용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모델 기반 교수 학습이란 학생들이 자신의 모델을 생성(generating), 평가(evaluating), 수정(modifying)하는 모델링을 통해 과학적 내용 지식을 학습하고 나아가, 과학의 본성에 대한 바람직한 이해를 구축하도록 모델과 모델링 과정에 대하여 학습하는 것을 의미하며, 그러한 모델링 수업의 안내자로서 과학 교사는 모델과 모델링에 대하여 튼튼한 이해를 소유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현재 학교 현장에서 과학 교과를 가르치는 50명의 중등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10개의 개방형 문항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범주의 모델과 모델링에 대한 여러 측면의 인식, 첫째, 모델과 모델링에 대한 여러 측면의 이해, 즉 정의, 예시, 목적, 다양성, 변화성, 설계와 구성, 평가 기준, 둘째, 교수도구로서의 모델과 모델링 활용의 중요성과 교수 의사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대부분의 과학 교사들은 모델이 갖는 교수도구로서의 기능적 측면에 집중하여, '실제의 단순화된 표상'이라는 모델 개념을 소유하지만, 과학 내용 전달 측면의 효용에만 집중하기 때문에, 과학에 있어서 모델과 모델링의 역할을 파악하지 못 하고 있다. 둘째, 대부분의 과학 교사들은 하나의 자연 현상을 표상하기 위해 다양한 모델이 구성될 수 있다는 사실과, 그러한 모델의 변화 가능성에 대하여 비교적 잘 인식하고 있으나, 모델의 설계와 구성이나 평가 기준 측면의 이해는 수정을 필요로 하는 제한적 수준에 머물러 있다. 셋째, 많은 교사들이 모델과 모델링에 대하여 가르치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하지만, 여러 교육 과정 상의 현실적 어려움과, 교사의 지식 부족을 토로하여 모델과 모델링의 실제 현장 적용에 대해 부정적 시각을 견지하는 교사들이 상당하였다. 넷째, 물리, 화학, 지구과학 전공 교사들에 비하여, 생물 전공 교사들은 전공 또는 과목 의존적 이해의 양상, 즉 생물교과에 자주 등장하는 기능적, 실물 모델에 국한된 모델 개념을 소유하였고, 그러한 관점은 교수도구로서 모델과 모델링을 활용하는 것에 대한 부정적 견해로 나타나, 모델에 대한 지식과 신념 사이의 상호관련성이 일견 탐지되었다. 본 연구에서 중등 과학 교사들이 모델과 모델링에 대하여 무엇을 알고, 어떻게 가르치는가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탐색하여 분석한 결과는 과학 교사의 모델과 모델링에 대한 이해의 제고를 위한 적극적인 개입에 대하여 큰 시사점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