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revisiae

검색결과 1,655건 처리시간 0.027초

야생효모의 분리, 동정과 이를 이용한 오미자 발효주의 이화학 및 관능 특성의 비교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Wild Yeasts from Schizandra (Schizandra chinensis) for Wine Production and Its Characterization for Physicochemical and Sensory Evaluations)

  • 이시형;박혜경;김명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1860-1866
    • /
    • 2010
  • 오미자로부터 야생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S. cerevisiae) SH8094와 S. cerevisiae SH2855를 분리, 동정하였으며, 이 효모를 이용하여 오미자 발효주를 제조하였다. 야생효모 S. cerevisiae SH8094와 S. cerevisiae SH2855를 이용한 오미자 발효주와 시판효모 Lalvin 1118을 이용한 오미자 발효주의 이화학 특징과 관능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야생효모 S. cerevisiae SH8094로 제조한 오미자 발효주가 pH 2.8, 산도 1.1%, 당도 14.5oBrix, 알코올 함량 9%를 나타냈으며, 목넘김, 종합적 기호도에 있어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또한 오미자로부터 분리된 야생효모 S. cerevisiae SH8094와 S. cerevisiae SH2855를 이용하여 만든 오미자 발효주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오미자 발효주의 관능 특성을 비교한 결과, 생오미자에서 분리된 야생효모 S. cerevisiae SH8094로 제조한 오미자 발효주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오미자주보다 향, 색, 종합적 기호도에 있어서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로써 오미자로부터 분리한 효모 S. cerevisiae SH8094를 이용한 우수한 오미자 발효주 제조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과 계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accharomyces cerevisiae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Broilers)

  • A. W. Zhang;Lee, B. D.;H. R. Oh;Lee, S. K.;G. H. An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7
    • /
    • 2004
  •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과 몇 가지 육질요인들의 개선효과가 있는지 알기 위하여 사양 실험을 실시하였다. 갓 부화한 160수의 수컷 병아리 (Ross strain)를 두 처리로 나눈 후, 각각 0%와 3.0%의 S. cerevisiae를 함유한 사료를 5주간 급여하였다. S. cerevisiae 급여구는 무급여구에 비하여 체중이 무거운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S. cerevisiae 첨가는 신선한 다리근육 (drumstick meat)의 전단력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나(P<0.05), 삶은 다리근육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흉근과 다리근육 및 피부조직의 산화 안정성은 S. cerevisiae 첨가에 의하여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P<0.05). 결론적으로 사료에 3% 수준의 S. cerevisiae 첨가는 계육의 연도와 산화 안정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Seibel 백포도즙 발효중 화학성분의 변화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during Seibel White Grape Must Fermentation by Different Yeast Strains)

  • 고경희;장우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87-493
    • /
    • 1998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확한 양조용 Seibel 백포도품종을 이용, S. cerevisiae, S. cerevisiae+Schizosaccharomyces pombe의 혼합 균주, Sch. pombe를 포도즙에 접종하여 $12^{\circ}C$에서 발효시켰을 때 화학성분 변화와 효모의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S. cerevisiae, S. cerevisiae+Sch. pombe, Sch. pombe를 포도즙에 접종하여 사과산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사과산의 감소는 발효 4일부터 시작되어, 발효 말기에는 Sch. pombe가 56% 이상의 사과산을 감소시켰다. 젖산의 함량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S. cerevisiae, S. cerevisiae+Sch. pombe, Sch. pombe의 알코올의 생성량은 각각 11.5%, 11.2%, 10.0%로서 Sch. pombe가 S. cerevisiae보다 발효 속도가 약간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색, 뒷맛, 향,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각 균주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맛에 있어서 Sch. pombe가 S. cerevisiae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P<0.05).

  • PDF

Monascus anka를 이용한 적포도주 제조 (Development of Red Wine Using Monascus anka)

  • 배인영;이광연;신민수;이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744-748
    • /
    • 2004
  • 포도주 양조 시 사용되는 Saccharomyces cerevisiae(S. cerevisiae)를 대체할 수 있는 발효제를 탐색하기 위해서 Monascus anka로부터 얻은 균체를 이용하여 적포도주를 제조하고 이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Monascus anka 균체의 alcohol dehydrogenase 생성능은 S. cerevisiae를 100%로 보았을 때 56.89%를 나타내었으나, 발효 경향은 초기에는 S. cerevisiae보다 낮았으나 발효 4일 이후부터는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알코올 함량도 12%정도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Monascus anka 균체를 이용하여 제조한 적포도주는 S. cerevisiae 적포도주에 비해 pH는 낮았으나 산도와 환원당 함량은 높았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적포도주의 색상은 증가하고 탁도는 감소하였으며, Monascus anka 균체를 이용한 적포도주가 S. cerevisiae 적포도주보다 좋은 색상을 나타내었다. 포도주의 항산화 물질로 알려진 phenolic compound의 함량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총페놀함량은 Monascus anka 균체를 이용한 적포도주(1608.01 mg/L)가 S. cerevisiae 적포도주(1337.60 mg/L)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서는 Monascus anka를 이용한 적포도주 제조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Saccharomyces cerevisiae에 의한 Pb 생체흡착 (Pb Biosorption by Saccharomyces cerevisiae)

  • 안갑환;서근학
    • KSBB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173-180
    • /
    • 1996
  • S. CereVlSWe를 이용하여 Pb 이온의 흡착 능력을 조사하였다. 살아있는 S. CereVlSWe 및 멸균된 S. cereVlswe 보다 건조분쇄 된 S. cerevisiae가 Pb 흡착 능력이 가장 좋았다. 통일의 중금속 농도에서 중금 속 단위 흡착량은 미생물 농도가 높아짐에 감소하였다. 살아있는 S. cereVlsiae의 흡착 능력 순서는 Pb > >Cu> Cd = Co>Cr > Zn = Ni순이었다. 중금속 흡 착에서 0.1 M NaOH로 24시간 전처리하여 흡착량을 1.5배 증가시킬 수 있었다. 0.1 M HCl 및 0.1 M $H_2S_O4$ 로 Pb이온을 효과적으로 탈착시킬 수 있었다. Pb 이온의 흡착평형은 Freundlich 흡착등온식과 Langmuir 흡착등온식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 PDF

해양 심층수 첨가에 따른 알콜발효 효모의 증식 변화 (Change in Growth of alcohol Fermentation Yeast with Addition of Deep Seawater)

  • 김미림;정지숙;이기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417-420
    • /
    • 2003
  • 해양 심층수 첨가에 따른 효모 발효력과 심층수 첨가 최적 농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효모균주 9종에 대하여 증식을 조사하였다. 효모균주는 Saccharomyces cerevisiae 10호, 11호, 12호, 901, RCY, Sacch.cerwisiae ktwef DJ97, Saccharomyces cerevisiae YJK, JK99, CMY-28 등이었으며, 해양 심층수는 경도 250, 500, 1000으로 조절하였고 대조군과 함께 증식력을 측정하였다 Saccharomyces cerevisiae 12호 균주가 심층수 경도 500인 시험군에서 증식력도 높았으며, Sacch. cerevisiae 901에서는 경도 1000인 시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증식력이 높게 나타나 효모균주의 종류와 심층수의 첨가량에 따라 적응력이 강한 균주가 있었다. 당농도와 심층수 첨가량에 따른 Sacch. cerevisiae kluyevery DJ97의 발효력은 심층수 경도 200의 당 10% 첨가군에서 가장 잘 증식하였다.

고온성 알콜발효 효모의 Alcohol Dehydrogenase의 특성

  • 예상수;임시규;손호용;진익렬;이인구;김영호;서정훈;박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86-390
    • /
    • 1997
  • The characteristics of alcohol dehydrogenase (ADH, EC 1.1.1.1, alcohol:NAD oxidoreductase) of thermotolerant alcohol-producing yeasts, Saccharomyces cerevisiae RA-74-2 and Kluyveromyces marxianus RA-912, were compared with that of mesophilic S. cerevisiae D, an industrial strain. Under anaerobic culture condition, both S. cerevisiae RA-74-2 and D had similar level of ADH activity at 30$\circ$C, and the activity of S. cerevisiae RA-74-2 at 37$\circ$C was the same level at 30$\circ$C. However, the level of ADH activity of S. cerevisiae D at 37$\circ$C decreased about 70% of that at 30$\circ$C. The level of enzyme activity of K. marxianus RA-912, which showed lower alcohol productivity than S. cerevisiae RA-74-2 and D, was about 43% of those strains at 30$\circ$C, and decreased somewhat at 37$\circ$C. The results showed a good correlation between the alcohol productivities and the level of ADH activities of these strains grown at 30$\circ$C and 37$\circ$C. And the higher heat stability of ADH of S. cerevisiae RA-74-2 than that of S. cerevisiae D seemed to reflect the ability of high temperature fermentation. Despite of its fermentation ability even at 45$\circ$C, however, the ADH of K. marxianus RA-912 showed lower heat stability than that of S. cerevisiae D. Both S. cerevisiae RA-74-2 and D showed similar patterns of two bands of ADH isozyme, and the low band of S. cerevisiae RA-74-2 moved slightly faster than that of S. cerevisiae D. The staining intensity of the bands of S. cerevisiae D at 37$\circ$C was weaker than those at 30$\circ$C. However, S. cerevisiae RA-74-2 showed no differences in total intensity of the bands of 30$\circ$C and 37$\circ$C. As the patterns of cellular proteins and ADH isozyme of K. marxianus RA-912 were different from S. cerevisiae RA-74-2 and D, K. marxianus might have its own characteristic ADH system.

  • PDF

Glucose Oxidase의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의 대량생산 및 고효율 분비 (Overproduction and High Level Secretion of Glucose Oxidase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홍성용;최희경;이영호;백운화;정준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8-75
    • /
    • 1998
  • A. niger의 GOD(Glucose Oxidase) 대량생산과 효율적인 분비를 protein의 대량생산에 많이 사용되는 strain인 S. cerevisiae에서 시도하였다. S. cerevisiae의 ADH1과 GAL 10 promotor, 그리고 ${alpha}$-MF signal sequence와 A. oryzae의 ${alpha}$-amylase signal sequence 및 S. cerevisiae의 GAL7과 A. niger의 GOD terminator를 이용하여 4개의 expression vector를 합성한 후 S. cerevisiae 2805에 auxotroph 방법으로 형질변환시켰다. 변이체들을 배양하여 세포내와 세포외의 GOD활성도를 분석한 결과 GAL 10 promotor가 삽입된 pGAL변이체들이 ADH1 promotor가 삽입된 pADH 변이체들 보다 GOD 생산성이 높았다. GAL 10 promotor와 A. oryzae의 ${alpha}$-amylase signal sequence가 삽입된 pGALGO2에서 115시간 배양시 GOD의 생산이 가장 높았다($GOD_{total}$: 10.3 unit/mL, $GOD_{ex}$: 8.7 unit/mL). 이 수치는 같은 promotor인 GAL 10 promotor와 ${alpha}$-MF signal sequence가 삽입된 pGALGO1보다 3배정도 높다. 이 결과는 ADH 1 promotor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도 일치하였다. 또한 A. oryzae의 ${alpha}$-amylase signal sequence가 S. cerevisiae의 ${alpha}$-MF signal sequence보다 GOD를 더 효과적으로 분비시켰다. 상기 결과로 미루어 보면 signal sequence가 단백질의 분비 외에도 단백질 합성에도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측된다. pGALGO1과 pGALGO2의 GOD분비효율은 각각 89%, 84%이었다. S. cerevisiae에서는 일반적으로 과당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S. cerevisiae에서 합성된 재조합 GOD의 분자량은 250 kDa으로 A. niger의 GOD(170 kDa)보다 더 컸다.

  • PDF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Neurospora crassa coq-4 유전자의 기능적 발현 (Functional Expression of the Neurospora crassa coq-4 Gene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김은정;최상기;천재우;오계헌;이병욱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73-80
    • /
    • 2004
  • Coenzyme Q는 지용성 퀴논 유도체로서 미토콘드리아의 내막과 원핵생명체의 세포막에 위치하는 전자전달계에서 전자 운반체로 이용되며 또한 항산화제의 기능도 갖는다. Coenzyme Q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Saccharomyces cerevisiae의 coq4 유전자에 유사성을 나타내는 Neurospora crassa coq-4유전자를 클로닝하여 S. cerevisiae coq4 돌연변이체에서 기능적으로 발현하였다. 상보된 S. cerevisiae 균주들은 coenzyme $Q_{6}$의 생산능력을 회복하였으며 정상적인 성장률을 보였다. 또한 linoleic acid 및 linolenic acid와 같은 불포화지방산에 대한 낮은 감수성을 보였다. N. crassa의 COQ4 단백질은 39.7 kDa의 분자량을 갖는 347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상되며, S. cerevisiae의 Coq4p와 35%의 일치도 및 52%의 유사도를 보인다.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발현된 Bacillus stearothermophilus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stearothermophilue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that Expressed by Saccharomyces cerevisiae)

  • 박현이;전숭종;권현주;남수완;김한우;김광현;김병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93-297
    • /
    • 2002
  • 효모 S. cerevisiae에서 B. stearothermophilus 유래의 CGTase를 발현 생산하였으며, 분비, 생산된 단백질을 정제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재조합 효모 S. cerevisiae 2805/pVT- CGTS가 생산하는 CGTase의 분자량은 효모에서 발현될 때 고당쇄가 부가되어 야생형의 68kDa에 비해 15-160% 증가된 약 78-178 kDa으로 나타났다. 효모 S. cerevisiae에서 발현된 CGTase의 효소반응 최적활성조건은 pH7.0, $65^{\circ}C$였고, 열안정성에 있어서 $75^{\circ}C$에서 약 90%의 잔존활성을 가질 정도로 내열성이 개선되었다. 효모 S. cerevisiae에서 발현된 CGTase는 5% soluble starch를 기질로 약 40.2%의 CD 전환율 및 3 : 6 : 1의 $\alpha$-, $\beta$-, ${\gamma}$-CD의 생산 비율을 나타내어 야생형과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