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phalosporin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28초

새로 개원한 병원 중환자실에서 주요 원내획득 폐렴 감염균의 연도별 항생제 내성율 변화 (Antibiotic Resistance for Common Hospital Acquired-pneumonia Pathogens in the Intensive Care Unit of Newly Opened Hospital)

  • 이재형;신성준;김영찬;오승일;김미옥;박은주;손장원;양석철;윤호주;신동호;박성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3호
    • /
    • pp.207-218
    • /
    • 2002
  • 배 경 : 중환자실은 병원 감염의 높은 발생률, 항생제 사용의 증가, 내성세균의 출현, 더욱 강력한 항생제의 사용으로 인해 감염증 치료 및 관리가 어렵다. 이에 중환자실 환자들의 감염증의 실태와 분리세균들의 항생제 감수성 동향에 대해서 기존의 여러 연구가 시행 된 바있다. 본 연구에서는 1995년 새로 개원하여 중환자실 시설에 병원 감염균이 없는, 한양대학교부속 구리병원의 중환자실 환자에서 중환자실 원내획득 폐렴 3 대균주로 알려져 있는 Pseudomonas aeruginosa, MRSA, A cinetobacter species를 선택하여 항생제 감수성 동향을 관찰하고, 주요 균주의 감염증에서 합리적인 항생제 요법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 법 : 중환자에서 흔히 나타나는 중환자실 원내획득 폐렴의 3대 균주 (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A cinetobacter species) 를 선택하여, 1995년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개원이후 2000년 까지 중환자실에서 시행한 배양검사 상 흔히 사용하는 항생제의 개원 후 6년간의 연도별 내성율을 조사 하였다. 결 과 : S.aureus의 methicillin 내성율은 각각 1995년 15%, 1996년 21%, 1997년 20%, 1998년 23%, 1999년 22%, 2000년 55% 였다. Pseudomonas aeruginosa의 3세대 cephalosporin 내성율은 각각 1995년 50%, 1996년 50%, 1997년 78%, 1998년 40%, 1999년 77%,2000년 39%였다 lmipenam 내성율은 각각 1995년 0%, 1996년 27%, 1997년 65%, 1998년 12%, 1999년 16%, 2000년 12%였다. Ciprofloxacin 내성율은 각각 1996년 0%, 1997년 56%, 1998년 36%, 1999년 57%, 2000년 58%였다. Tobramycin 내성율은 각각 1995년 7%, 1996년 10%, 1997년 50%, 1998년 4%, 1999년 32, 2000년 15%였다. Gentamicin 내성율은 각각 1995년 14%, 1996년 36%, 1997년 67%, 1998년 36%, 1999년 65%,2000년 12%였다 Amikacin 내성율은 각각 1995년 14%, 1996년 30%, 1997년 61%, 1998년 16%, 1999년 39%,2000년 18%였다. Acinetobacter spp.의 3세대 cephalosporin 내성율은 각각 1996년 92%, 1997년 89%, 1998년 88%, 1999년 84%, 2000년 77%였다. imipenam 내성율은 각각 1996년 50%, 1997년 48%, 1998년 45%, 1999년 49%, 2000년 50%였다. Ciprofloxacin 내성율은 각각 1996년 0%, 1997년 48%, 1998년 33%, 1999년 27%, 2000년 71%였다. Tobramycin 내성율은 각각 1995년 67%, 1996년 100%, 1997년 93%, 1998년 95%, 1999년 89%, 2000년 77%였다. Gentamicin 내성율은 각각 1995년 67%, 1996년 100%, 1997년 89%, 1998년 95%, 1999년 87%, 2000년 83%였다. Amikacin 내성율은 각각 1995년 33%, 1996년 83%, 1997년 82%, 1998년 88%, 1999년 75%, 2000년 69% 였다. 결 론 : 개원 후 6 년간 S.aureus의 methicillin 내성율, Pseudomonas aeruginosa의 quinolone 내성율, A cinetobacter spp의 quinolone 내성율의 급격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이후 이들 항생제들에 대한 사용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새로 개원하는 병원 중환자실에서 감염증 환자의 배양검사 결과 전에 항생제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소아 환자에서의 뇌실-복강 단락 감염의 역학적 고찰: 15년 간의 단일 기관 연구 (A Fifteen-year Epidemiological Study of Ventriculoperitoneal Shunt Infections in Pediatric Patients: A Single Center Experience)

  • 김연경;신형진;김예진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9권3호
    • /
    • pp.141-148
    • /
    • 2012
  • 목 적 : 뇌실-복강 단락 수술은 수두증이 있는 소아 환자에서 중요한 치료 방법 중 하나이다. 뇌실-복강 단락에서 단락 감염은 중요한 합병증이며 수술의 예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이 연구는 소아 환자에서의 뇌실-복강 단락 감염의 역학적 특성과 임상 증상, 치료와 예후를 파악하고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5년 4월부터 2010년 6월까지 뇌실-복강 단락 수술을 시행 받은 18세 이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총 190명(여자 82명, 남자 107명)의 환자에서 327건의 뇌실-복강 단락 수술을 시행하였다. 중위 연령은 2.4세이며(0.02-17.9세) 뇌실-복강 단락 수술의 가장 흔한 원인은 악성 뇌종양이었다. 수술 1건 당 감염률은 6.7% (22/327건), 환자 1명 당 감염률은 9.5% (18/190명)이며 100건의 수술-년 당 감염은 0.45건 이었다. 가장 흔한 원인 균은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us (7건) 이며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에 의한 감염은 1건 이었다. 10건의 감염에서 vancomycin과 beta-lactam antibiotics (cephalosporin or carbapenem)의 복합 정주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7건의 감염에서 vancomycin 단독 정주 치료를 시행하였다. 치료 기간의 중앙값은 26일(7-58일)이었으며 수술적 치료는 18건에서 시행하였다(18/22건, 81.8%). 결 론 : 본 연구는 단일 기관에서 15년 동안의 뇌실-복강 단락 감염의 역학을 요약한 연구로 소아 환자에서의 뇌실-복강 단락 감염의 역학적 정보는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향후 단락 감염의 발생과 관련한 위험 인자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요로감염의 주요 원인균과 항생제 감수성의 변화에 관한 고찰 (Changes in Causative Organism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the Urinary Tract Infection)

  • 하태욱;황용;박승철;이재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85-93
    • /
    • 2017
  • 요로감염은 병원 내 감염의 주요한 부분이며 최근 항생제의 남용 등으로 인해 요로감염에서의 효과적인 항생제의 선택이 제한받고 있다. 연구자들은 본 병원을 방문하여 시행한 요배양검사에서 의미있는 균이 동정된 외래 및 입원 환자의 요로감염의 주요 원인균과 항생제 감수성을 조사하여 요로감염의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2010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6년간 본 병원에서 시행한 요배양검사에서 의미 있는 원인균이 동정된 외래 및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균집락 단위(colony forming unit: CFU)가 $10^5/ml$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배양된 동정균주에서 가장 흔한 원인균은 E.coli로 28.1%의 비율이었다. E.coli의 경우 남성에서는 2010년부터 2015년까지 빈도의 차이는 없었으나 여성의 경우 2014년 이후 그 빈도가 점차 감소하였다. 항생제 감수성 결과 가장 흔한 균주인 E.coli의 감수성 검사에서는 ampicillin 72.2%, TMP/SMX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44.9%, ciprofloxacin 41.3%의 내성율을 보였으며, cefazolin 12.4%, 2,3,4세대 cephalosporin에는 5% 이하의 낮은 내성율을 보였다. 요로감염의 원인균은 시간이 지날수록 다양해지고 빈도 또한 변화를 보인다. 따라서 TMP/SMX와 ciprofloxacin 등 기존 항생제에 대한 내성도 또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요로감염에 대한 경험적인 항생제의 사용에 대해 더욱 신중한 선택을 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Extended-Spectrum β-Lactamase 생성 Klebsiella pneumoniae 균주의 유전형 검출 (Genotypic Detection of Extended-Spectrum β-Lactamase-Producing of Klebsiella pneumoniae)

  • 육근돌;양병선;박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191-1196
    • /
    • 2013
  • 임상검체에서 분리되는 그람음성 막대균의 제 3세대 cephalosporin에 대한 내성율의 증가는 임상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3세대 cephalosporin 및 monobactam계 항균제에 대한 내성은 주로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ESBL)의 생성에 기인한다. 따라서 ESBL 유전자의 정확한 검출은 병원내의 감염경로 파악을 위한 감시 및 역학조사를 위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2012년 2월부터 8월까지 대전, 충남, 충북지역의 대학병원으로부터 ESBL 생성 Klebsiella penumoniae 46균주를 분리하여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CLSI)에 따라 ceftazidime (CAZ)과 CAZ/clavulanate (CLA)를 이용한 combination disk test (CDT) 방법에 의해 표현형을 조사하고, 유전형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한 multiplex PCR을 수행하여 유전형을 검출하였다. CDT 결과 42균주가 ESBL생성균주로 확인되었다. PCR 결과, 46균주 모두 TEM형이었으며, 37균주는 SHV형, 14균주는 CTX-M형으로 나타났으며 10균주가 TEM, SHV, CTX-M 유전자를 모두 가지고 있었다. Multiplex PCR에 의한 유전형 검출 방법은 임상에서 분리한 ESBL생성 K. penumoniae균주의 감별과 검출에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항생제 사용량 변화에 따른 그람음성균주의 항생제 내성률의 변화 양상 (The Impact of the Antibiotic Burden on the Selection of its Resistance among Gram Negative Bacteria Isolated from Children)

  • 김서희;유리나;이진아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2권3호
    • /
    • pp.178-185
    • /
    • 2015
  • 목적: 국내 소아 그람음성균혈증에서 항생제 내성변화 및 항생제 사용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방법: 최근 10년간 18세 이하 입원 환자의 혈액에서 분리된 그람음성균의 항생제 내성률 변화 및 항생제 사용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폐렴막대균, 대장균, 녹농균,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의 분리율은 연간 혈액배양 1,000건당 각각 4.6례, 3.5례, 3.4례 및 2.2례였다. 폐렴막대균에서 광범위 세팔로스포린에 대한 내성변화는 없었으나 2010년부터 카바페넴 내성 폐렴막대균이 동정된 후 점차 빈도가 증가하였다. 대장균의 광범위 세팔로스포린 내성이 10%에서 50%로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의 카바페넴 내성이 11%에서 71%로 크게 증가하였다(P for trend <0.01). 녹농균은 여러 항생제에 높은 내성을 보였으나 유의한 내성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대장균의 cefepime 내성과 cefepime 사용량 사이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900, P=0.037). 결론: 국내 소아에서 발생한 그람음성균 균혈증 분석시 카바페넴 및 광범위 세팔로스포린 내성이 증가하였고 일부에서 항생제 사용량과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원내 경험적 항생제 결정시 중요한 고려 사항이며 추후에도 지속적인 원내 항생제 사용량 및 내성률에 대한 감시가 필요하겠다.

항생제와 제초제가 배추 자엽 및 배축 절편체로부터의 신초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tibiotics and Herbicide on Shoot Regeneration from Cotyledon and Hypocotyl Explants of Chinese Cabbage)

  • 강병국;박영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1호
    • /
    • pp.17-21
    • /
    • 2001
  • 배추(Brassica campestris L. ssp. pekinensis) 형질전환 세포로부터의 식물체 재분화를 위한 선발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kanamycin, hygromycin, carbenicillin, cefotaxime등 4가지 항생제와 제초제 phosphinotricin가 자엽 및 배축 절편체로부터의 신초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자엽절편체는 kanamycin $1mg{\cdot}L^{-1}$처리에서 신초형성에 아무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2mg{\cdot}L^{-1}$ 처리부터 형성수가 감소하여 $6mg{\cdot}L^{-1}$ 이상 처리구부터는 신초가 전혀 형성되지 않았다. 배축 절편체도 자엽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어 kanamycin의 경우 $7mg{\cdot}L^{-1}$의 농도가 배추 형질전환체의 선발에 적당하다고 생각되었다. Hygromycin은 $4mg{\cdot}L^{-1}$ 처리부터 신초형성을 억제하여 배추형질전환을 위하여 낮은 농도로 사용할 수 있는 선발 마커로 생각된다. Cephalosporin type의 항생제인 carbenicillin과 cefotaxime은 신초형성에 아무 영향을 주지 않아 배추 절편체에 독성을 주지 않는 결과를 보여 주어, Agrobacterium과의 공동배양 후 이를 제거하는데 적당한 항생제라 할 수 있었다. 제초제인 phosphinotricin의 경우 $1mg{\cdot}L^{-1}$ 처리부터 신초 형성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mg{\cdot}L^{-1}$ 이상부터는 완전히 억제되어 항생제와 더불어 형질전환 세포의 선발에 이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배추는 다른 배추속의 작물과 비교할 때 신초 재분화가 어렵기 때문에 비록 escape율이 높아진다고 해도 낮은 농도의 항생제나 제초제를 사용하여 선발압을 낮추어 주는 것이 형질전환에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 PDF

세포탁심나트륨과 세프트리악손나트륨의 전기화학 거동 및 네모파 전압전류법 정량 (Electrochemical Behaviors and Square Wave Voltammetric Determinations of Cefotaxime Sodium and Ceftriaxone Sodium)

  • 김민경;한영희
    • 약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40-46
    • /
    • 2006
  • Square wave voltammetric (SWV) and cyclic voltammetric (CV) behaviors of cefotaxime sodium and ceftriaxone sodium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potential range between -0.10 V and -1.30 V using the phosphate buffers of various pH values ($2.00{\sim}9.10$). Two main peaks observed were irreversible and protons were involved in their electrochemical reductions. The first peaks of these cephalosporin antibiotics are due to the reduction of the azomethine double bond in the methoxyimino group of the side chain at position 7. The second peaks of cefotaxime sodium and ceftriaxone sodium are related to the reductions of the ${\Delta}^3$ double bond and the dioxo moiety of the side chain at position 3, respectively. The calibration curve of cefotaxime sodium in the concentration range between $1.0{\times}10^{-7}M$ and $1.0{\times}10^{-5}M$ yielded the linearity with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998 when the first peak of the antibiotic in a phosphate buffer of pH 3.02 was measured at the conditions of frequency of 120 Hz and pulse height of 50 mV by SWV. The present fast, simple and accurate SWV assay method was applied to determine cefotaxime sodium in the commercial antibiotic powder of injection.

뇌졸중 환자에서 항생제 정주 후 유발된 실신과 의식소실: 증례보고 (Syncope and Unconsciousness after Intravenous Injection of Antibiotics in Patient with Cerebrovascular Accident : Report of a Case)

  • 유재하;손정석;김종배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15-221
    • /
    • 2012
  • The loss of consciousness in the dental office have many causes, such as, vasodepressor syncope, drug administration, orthostatic hypotension, epilepsy, hypoglycemic reaction, acute adrenal insufficiency, acute allergic reactio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cerebrovascular accident, hyperglycemic reaction and hyperventilation. Patients have fainted during all phases of dental care: during tooth extraction and other surgical procedures, during local anesthetic injections, or during procedures such as venipuncture, on being seated in the dental chair, and even on first entering the dental office. If an elderly patient with known cardiovascular or cerebrovascular problems experiences a syncopal episode, differentiation from cerebrovascular insufficiency of more serious etiology, such as cerebrovascular accident, must be considered. And anaphylactic shock is also suggested during intravenous drug administration. This is a case report of syncope care during venous injection of cephalosporin in patient with cerebrovascular accid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