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obiohydrolase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4초

토양내에 고정화되어 있는 Cellobiohydrolase의 효소학적 성질 (Enzymatic Properties of Cellobiohydrolase immobilized in Soil)

  • 정종각;양영기;맹진수;이영하
    • 미생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22-128
    • /
    • 1988
  • The enzymatic properties of soil cellobiohydrolase were examin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cellobiohydrolase-active extracts from soil in the forms of enzyme-humic complex and humicfree enzyme, and cellobiohydrolase partially pruified from Aspergillus niger. The pH optima of soil cellobiohydrolase and cellobiohydrolase-humic complex were greater by 1.5-3.0 pH units than those of cellobiohydrolase in humic-free extract and from A. niger. Soil cellobiohydrolase and cellobiohydrolase-humic complex were remarkably resistant to thermal denaturation and proteolysis. These results confirm that cellobiohydrolase in soil is atable in conditions which rapidly inactivate microbial cellobiohydrolase and that its stability is due to the immobilization of this enzyme by association with humic substances. The Michaelis-Menten constants (Km) for soil, cellobiohydrolase-humic complex, humic free extract and cellobiohydrolase from A. niger were 22.1mg/ml, 11.3mg/ml, 10.6mg/ml and 4.5 mg/ml of Avicel, respectively.

  • PDF

면역친화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한 Tricholderma viride의 Cellobiohydrolase 분리 (Purification of Trichoderma viride Cellobiohydrolase by Immunoaffinity Chromatography)

  • 오태광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90-393
    • /
    • 1990
  • Trichoderma viride의 cellobiohydrolase을 immunoaffinity chromatography를 제조하여 조효소로부터 일단계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었다. 분리된 cellobiohydrolase는 전기영동과 isoelectrofocusing 상에서 단일단백질로 확인되었고, 분자량이 70,000,pI치는 3.8.인 산성단백질이었다. 면역친화 정제된 cellobiohydrolase는 무정형 섬유소보다는 고결정성 섬유소에 특성이 높았다.

  • PDF

Penicillium verruculosum으로부터 Cellobiohydrolase의 정제 및 특성

  • 조남철;김강화;전순배;정기철
    • 한국미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학회 199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87-199
    • /
    • 1991
  • Penicillium verruculosum 배양액으로부터 소단위체 분자량이 60,000(cellobiohydrolase I)과 66,000(cellobiohydrolase II) 및 76,000(cellobiohydrolase III)인 cellobiohydrolase를 분리 정제하여 그들의 일반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이들 세 효소들은 모두 당단백질로서 cellobiohydrolase I, II 그리고 III는 각각 $8.6\%$, $4.2\%$ 그리고 $8.5\%$의 당함량을 나타냈으며 세 효소 모두 pH 4.5 - 5.0, 온도 $50 - 60^{\circ}C$에서 최적조건을 나타냈다. Cellobiohydrolase I, II 및 III는 모두 Avicel, cotton, 여지 등의 결정성 섬유소 뿐만 아니라 carboxymethyl cellulose에도 활성도를 나타냈다. 정제된 cellobiohydrolase I, II 및 III의 Avicel에 대한 비 활성도는 각각 0.07, 0.10, 그리고 0.07 unit per mg. of protein 이었으며 Avicel 분해 생성물은 거의 cellobiose였다. 또한 p-Nitrophenyl-$\beta$-D-cellobioside를 기질로 하였을 때 이들 세 효소 모두 포도당에 의해 활성도가 저해되지 않은 반면 cellobiose에 의해서는 저해되었다. 아미노산조성, 트립신에 의한 펩타이드들의 용출양상 그리고 항체를 이용한 Immunoblotting 결과로부터 cellobiohydrolase II와 III는 동일 유전자산물이거나 1차 구조가 거의 유사한 단백질로 추정된다. Cellobiohydrolase II로부터 분리한 2 개의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서열은 Trichoderma cellobiohydrolase I과 상동성을 보였으며 또한 이 두 호소의 아미노산조성은 매우 유사하였다.

  • PDF

면역학적 방법에 의한 Cellobiohydrolase의 열역학적 특성 (Thermal Inactivation Kinetics of Tyichoderma viride Cellobiohydrolase Determined by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and Residual Enzyme Assay)

  • 오태광;박관화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65-369
    • /
    • 1989
  • Tyichoderma viride가 생산하는 cellobiohydrolase의 열불활화 특성을 잔류효소역가 측정방법과 면역학적 정량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정제된 cellobiohydrolase의 열불활 곡선은 Arrhenius plots에서 직선관계를 가졌고 이 때의 Z-값은 carboxymethyl cellulase의 정량시 5.2$^{\circ}C$, filter pa per degradation activity 정량시 6.4$^{\circ}C$, Immunoassay시 5.8$^{\circ}C$로 각기 나타났다. 열역학 상수 산출시는 immunoassay 와 filter paper degradation activity 측정이 carboxymethyl cellulase의 역가 측정보다 잘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면역화학적 방법에 의한 Cellobiohydrolase 정량 (Assay of Cellobiohydrolnse by Column Single Immunodiffusion and Enzyme tinted Immunosorbent Assay)

  • 오태광;고영희;김정일;박관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26-230
    • /
    • 1988
  • Trichoderma viride가 분비하는 cellobiohydrolase를 항원으로 사용하여 이 섬유소 분해효소에만 특이적인 항체를 얻을 수 있었다. 이 항체를 이용하여 column single immunodiffusion 방법에 의해서 cellobiohydrolase의 농도 2-10 $\mu\textrm{g}$ 범위 내에서는 직선적으로 정량 할 수 있었고, ELISA 방법을 사용할 때는 $10^6$의 항체 희석시는 40-110ng, $10^5$ 항체 희석시는 100-1,200pg 농도범위의 cellobiohydrolase 를 정량 할 수 있었다.

  • PDF

Trichoderma viride Cellulase의 돌연변이 과정 및 기질유도의 면역학적 연구 (Immunological Studies on Mutation Process and Substrate Induction of Trichoderma viride Cellulase)

  • 오태광;권기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48-252
    • /
    • 1991
  • Trichoderma viride의 변이주인 QM9123, QM9414, TK041 및 MCG77은 면역학적으로 동일한 cellobiohydrolase을 분비하는 결과로서 변이균주간은 구조 유전자는 동일하나 조절유전자가 변이했음을 알 수 있었고 탄소원의 cellobiohydrolase의 유도효과는 고분자 섬유소인 Alpha-cellulose와 Solk Floc의 가장 좋은 유도체였고, 저분자 유도체인 cellobiose와 CMC에 의해서 유도되는 형식이 다름을 알았다.

  • PDF

Trichoderma viride가 생산하는 Cellobiohydrolase의 분리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ellobiohydrolase from Trichoderma viride)

  • 오태광;박관화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9-225
    • /
    • 1988
  • Trichoderma viride가 분비하는 섬유소 분해효소를 황산암모늄침전, Sephadex G-100 및 DEAE Sephadex column을 통과시켜서 5개의 섬유소 분해 아이조자임을 분리하였으며 전기영동 방법에 의해서 2개의 celloblohydrolase와 15개의 endoglucanase로 분리하였다. 분리된 cellobiohydrolase는 분자량이 71,000, 최적 pH5.1, 최적온도 5$0^{\circ}C$, pI가 3.81이었으며 주종아미노산은 aspartric acid, glutamic acid. threonine, serine 및 glycine이었다.

  • PDF

유기성폐기물의 퇴비화에서의 효소활성도의 변화 (Variations of Enzyme Activities in Composting Process of Organic Refuse)

  • 이영옥;민봉희
    • 환경생물
    • /
    • 제17권4호
    • /
    • pp.493-498
    • /
    • 1999
  • 포도박과 같은 쥬기성 폐기물의 퇴비화에서 효소활성도가 퇴비의 안정성 혹은 부숙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의 사용가능성이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beta$-glucosidase, cellobiohydrolase 및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모든 효소가 퇴비화초기에 최대의 활성도를 나타냈는데 이는 포도박에 잔류해있던 분해가 용이한 유기물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그 후 활성도는 점차감소하였다. 그러나 퇴비화 60일이 경과한 후에 $\beta$-glucosidase와 cellobiohydrolase활성도는 다시 급격히 상승했고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도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퇴비화 후반기에 나타나는 이와 같은 효소활성도의 증가는 퇴비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하나의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 PDF

Aspergillus niger가 생산하는 섬유소 분해효소의 기질에 대한 특이성 (Substrate Specificity of Cellulase from Aspergillus niger)

  • 오태광;박관화;신현경;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3호
    • /
    • pp.162-166
    • /
    • 1985
  • Aspergillus niger가 생산하는 섬유소 분해 효소를 Sephadex G-150, DEAE-Sephadex 및 Sephadex G-75를 통해서 세개의 C.M.C 분해 효소와 2개의 고결정형(高結晶形) 섬유소 분해능을 가진 효소인 ${\beta}-1,4-D-cellobiohydrolase$로 분리하고 기질에 대한 특이성을 연구하였다. 효소의 기질에 대한 분해 특성 및 기질의 X-선 회절결과로 ${\beta}-1,4-D-cellobiohydrolase$는 무정형 섬유소에 대한 분해력은 거의 없고 주로 결정형 섬유소에 특이성이 컸다. Cx 효소와 ${\beta}-1,4-D-cellobiohydrolase$가 동시에 작용할 때는 상승효과를 보였다.

  • PDF

Intein을 이용한 대장균에서의 Trichoderma reesei 유래의 Cellobiohydrolase I 섬유소 결합 도메인의 발현 (Intein-mediated expression of Trichoderma reesei Cellobiohydrolase I Cellulose Binding Domain in E. coli)

  • 최신건
    • 산업기술연구
    • /
    • 제36권
    • /
    • pp.33-37
    • /
    • 2016
  • Cellulose binding domains (CBDs) of cellulases are thought to assist in the hydrolysis of insoluble crystalline cellulose. To gain sufficient amount of CBDs, the self-cleavable intein tag was used for expression and purification of Trichoderma reesei cellobiohydrolase I CBD in E. coli. Synthetic CBD genes, CBD or linker-CBD were cloned into expression vector pTYB11. Recombinant CBDs were successfully purified by intein mediated purification with an affinity chitin-binding domain. The final yields of recombinant CBD and linker-CBD were 3.2 mg/L and 1.4 mg/L, respectively. The functional bindings of recombinant CBDs were confirmed by Avicel binding experiments. The simple and easy purification method using self-cleavable intein tag can be further used in pretreatment of crystalline cellulose or characterization of engineered CB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