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ell surface protein

검색결과 461건 처리시간 0.021초

Analysis of the Expression and Regulation of PD-1 Protein on the Surface of Myeloid-Derived Suppressor Cells (MDSCs)

  • Nam, Sorim;Lee, Aram;Lim, Jihyun;Lim, Jong-Seok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7권1호
    • /
    • pp.63-70
    • /
    • 2019
  • Myeloid-derived suppressor cells (MDSCs) that are able to suppress T cell function are a heterogeneous cell population frequently observed in cancer, infection, and autoimmune disease. Immune checkpoint molecules, such as programmed death 1 (PD-1) expressed on T cells and its ligand (PD-L1) expressed on tumor cells or antigen-presenting cells, have received extensive attention in the past decade due to the dramatic effects of their inhibitors in patients with various types of cancer.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PD-1 on MDSCs in bone marrow, spleen, and tumor tissue derived from breast tumor-bearing mice. Our studies demonstrate that PD-1 expression is markedly increased in tumor-infiltrating MDSCs compared to expression in bone marrow and spleens and that it can be induced by LPS that is able to mediate $NF-{\kappa}B$ signaling. Moreover, expression of PD-L1 and CD80 on $PD-1^+$ MDSCs was higher than on $PD-1^-$ MDSCs and proliferation of MDSCs in a tumor microenvironment was more strongly induced in $PD-1^+$ MDSCs than in $PD-1^-$ MDSCs. Although we could not characterize the inducer of PD-1 expression derived from cancer cells, our findings indicate that the study on the mechanism of PD-1 induction in MDSCs is important and necessary for the control of MDSC activity; our results suggest that $PD-1^+$ MDSCs in a tumor microenvironment may induce tumor development and relapse through the modulation of their proliferation and suppressive molecules.

Arthrobacter luteus가 생산하는 AL-Protease의 효모세포벽 용해 촉진작용 (The Synergistic Action of the AL-Protease from Arthrobacter luteus on the Lysis of Yeast Cell Walls)

  • 오홍록;선진승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01-408
    • /
    • 1985
  • 효모세포벽 용해효소의 일종인 Zymolyase$(endo-{\beta}-1\;,3-glucanase)$와 더불어 Arthrobacter luteus로 부터 생산되었고, 또한 Zymolyase의 조효소중에서 발견된 바 있는 염기성 AL-protease의 효모세포벽 용해작용을 S. sake의 생세포와 그 세포벽 표품(標品)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AL-protease의 효모 생세포에 대한 용해활성은 그 단독작용만으로는 지극히 미약하였으나, Zymolyase와의 복합작용에 의해서 용해활성은 고도로 상승하였다. 효모생세포를 AL-protease와 Zymolyase로써 단계적인 처리를 할 경우, 효모세포는 AL-protease로 전처리된 뒤에 Zymolyase로 처리되는 처리 순서에 한하여 효과적으로 용해되었다. 이러한 AL-protease의 촉진적 작용은 AL-protease처럼 염기성이고 serine protease로 알려진 몇가지 시판의 효소들 중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또한 AL-protease의 이러한 작용은 실험에 사용된 효모들의 배양조건 및 균종에 따라서 커다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AL-protease는 효모세포벽 표품(標品)으로부터 일정량의 peptide와 상당량의 당을 유리시키고 있으나, 그 세포벽을 66% 이상은 용해시키지 못하였다. 반면에, Zymolyase는 그 단독작용으로도 효모세포벽을 거의 완전히 용해시킬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기초로 하여, S. sake 세포벽의 용해에 있어서 AL-protease의 효소적 작용은, 먼저 AL-protease가 mannan과 단백질로 구성되는 세포벽 표층부에 결합하고, 이어서 그들의 구조를 변화시킴으로써, Zymolyase를 세포벽의 외부로 부터 알카리 불용성 glucan으로 구축되고 있는 세포벽 내부의 골격구조로까지의 침투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추론되었다.

  • PDF

항암제에 내성인 생쥐의 백혈병세포 L1210의 세포막 단백질의 변환 (Membrane Protein Alterations Associated with Anticancer Drug Resistance in Mouse Lymphoblastic Leukemia L1210 Cells)

  • 김성용;손성권;김재룡;김정희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432-444
    • /
    • 1993
  • Adriamycin과 vincristine 각각에 내성인 생쥐의 림프아세포성 백혈병세포 L1210세포의 특성과 내성관계 단백질을 찾아내고 항암제의 세포내 분포를 관찰하였다. 항암제의 내성생성은 adriamycin이 $10^{-5}M$$10^{-6}M$에서 자란 세포를 L1210-$AdR_5$$-AdR_6$로 하고 vincristine은 $10^{-6}M$$10^{-7}M$에서 자란 세포를 L1210-$VcR_6$$-VcR_7$로 하였다. 감수성세포는 L1210으로 하였다. 내성세포의 성장속도는 감수성세포에 비해 느렸으며 doubling time은 L1210가 29.7시간, L1210-$AdR_5$가 68.7시간 $-VdR_6$가 58.2시간이었다. 복합내성은 내성인자로 표기되었고 L1210-$AdR_5$는 vincristine에 대해 76.4배, $-VcR_6$는 adriamycin에 대해 98.6배로 나타냈다. 감수성세포와 내성세포의 세포막 단백질을 비교한 결과 L1210-$AdR_5$에서는 220, 158, 88 Kd의 내성관계단백질이 나타났고 $-VcR_6$에서는 158, 140 및 88Kd의 내성관계단백질이 관찰되었다. 세포막 표면단백질을 $^{125}I$로 결합시켜 자가방사선상으로 분석하였다. 세포막 표면단백질에 결합되는 $^{125}I$의 정도는 L1210에 0.95% L1210-$AdR_5$에 5.4%, $-VcR_6$에 1.7%였다. 세포막표면단백질은 L1210-$AdR_5$에서는 158, 72.8 및 42.4 Kd의 단백질, $-VcR_6$에서는 300, 158, 72.8 및 42.4 Kd의 단백질이 관찰되었다.

  • PDF

인체 방광암세포에서 histone deacetylase 억제제인 sodium butyrate이 TRAIL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dium Butyrate, a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on TRAIL-mediated Apoptosis in Human Bladder Cancer Cells)

  • 한민호;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31-438
    • /
    • 2016
  • TRAIL은 정상세포에서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반면, 암세포에서는 사멸을 유도하므로 항암제로 각광받고 있지만 많은 암세포에서 TRAIL에 저항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이를 극복해야하는 큰 어려움이 남아있다. 본 연구에서는 TRAIL에 저항성을 가지는 인간 방광암 세포주인 5637 세포를 이용하여 histone deacetylase 억제제인 sodium butyrate (SB)와 TRAIL을 혼합처리하였을 경우 유발되는 세포사멸 효과와 이와 관련된 분자생물학적 메카니즘을 연구하였다. 세포독성이 없는 조건의 TRAIL과 SB를 혼합처리 하였을 경우 SB 단독처리군 보다 세포사멸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RAIL과 SB의 혼합처리는 caspases (caspase-3, -8 and -9)의 활성화 및 PARP의 단편화를 유발하였다. 하지만 caspase 억제제에 의하여 TRAIL과 SB의 혼합처리에 의하여 유발되는 apoptosis가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RAIL과 SB의 혼합처리는 세포표면에 존재하는 DR5의 발현 증가 및 c-FLIP의 발현 감소를 유발하였으며, pro-apoptotic protein인 Bax와 세포질 cytochrome c의 발현 증가 및 anti- apoptotic protein인 Bcl-xL의 발현감소와 함께 tBid의 형성을 유발하였다. 이는 SB와 TRAIL의 혼합처리가 안전하고 선택적으로 TRAIL에 저항성을 가지는 방광암 세포에서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전략임을 제시하는 결과이다.

삼출성흉수에서 Soluble Triggering Receptor Expressed on Myeloid Cells 1 Proteion의 진단적 유용성 (Diagnostic Utility of Pleural Fluid Soluble Triggering Receptor Expressed on Myeloid Cells 1 Protein in Patients with Exudative Pleural Effusion)

  • 심윤수;이진화;천은미;장중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2권6호
    • /
    • pp.499-505
    • /
    • 2007
  • 배 경: TREM-1은 중성구, 단핵구, 대식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세포표면수용체로, 세균에 의해 그 발현이 증가하여 여러 염증전달물질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저자들은 삼출성흉수를 가진 환자의 혈청과 흉수에서 soluble (s) TREM-1을 측정하여 흉수의 원인진단에 대한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3년 3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삼출성흉수로 입원한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하여, 혈청과 흉수에서 human sTREM-1 항체를 사용하여 면역점적법(immunoblot assay)으로 sTREM-1을 측정하였다. 원인질환에 따라 결핵성, 부폐렴성, 악성흉수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결 과: 혈청 sTREM-1은 원인질환 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흉수 sTREM-1은 원인질환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11), 특히 부폐렴성흉수의 sTREM-1이 결핵성흉수와(p<0.05) 악성흉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부폐렴성흉수를 진단하는 데 흉수 sTREM-1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ROC 곡선을 그린 결과 곡선밑면적은 0.818이고 (p=0.001), 흉수 sTREM-1의 cutoff 값을 103.5pg/mL로 하였을 때 민감도가 73%, 특이도가 81%이었다. 결 론: 흉수의 sTREM-1은 삼출성흉수 중 부폐렴성흉수를 진단하는 유용한 지표로 판단된다.

Rice OsACDR1 (Oryza sativa Accelerated Cell Death and Resistance 1) Is a Potential Positive Regulator of Fungal Disease Resistance

  • Kim, Jung-A;Cho, Kyoungwon;Singh, Raksha;Jung, Young-Ho;Jeong, Seung-Hee;Kim, So-Hee;Lee, Jae-eun;Cho, Yoon-Seong;Agrawal, Ganesh K.;Rakwal, Randeep;Tamogami, Shigeru;Kersten, Birgit;Jeon, Jong-Seong;An, Gynheung;Jwa, Nam-Soo
    • Molecules and Cells
    • /
    • 제28권5호
    • /
    • pp.431-439
    • /
    • 2009
  • Rice Oryza sativa accelerated cell death and resistance 1 (OsACDR1) encodes a putative Raf-like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kinase kinase (MAPKKK). We had previously reported upregulation of the OsACDR1 transcript by a range of environmental stimuli involved in eliciting defense-related pathways. Here we apply biochemical, gain and loss-of-function approaches to characterize OsACDR1 function in rice. The OsACDR1 protein showed autophosphorylation and possessed kinase activity. Rice plants overexpressing OsACDR1 exhibited spontaneous hypersensitive response (HR)-like lesions on leaves, upregulation of defense-related marker genes and accumulation of phenolic compounds and secondary metabolites (phytoalexins). These transgenic plants also acquired enhanced resistance to a fungal pathogen (Magnaporthe grisea) and showed inhibition of appressorial penetration on the leaf surface. In contrast, loss-of-function and RNA silenced OsACDR1 rice mutant plants showed downregulation of defense-related marker genes expressions and susceptibility to M. grisea. Furthermore, transient expression of an OsACDR1:GFP fusion protein in rice protoplast and onion epidermal cells revealed its localization to the nucleu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sACDR1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ositive regulation of disease resistance in rice.

RNA-Seq explores the functional role of the fibroblast growth factor 10 gene in bovine adipocytes differentiation

  • Nurgulsim Kaster;Rajwali Khan;Ijaz Ahmad;Kazhgaliyev Nurlybay Zhigerbayevich;Imbay Seisembay;Akhmetbekov Nurbolat;Shaikenova Kymbat Hamitovna;Omarova Karlygash Mirambekovna;Makhanbetova Aizhan Bekbolatovna;Tlegen Garipovich Amangaliyev;Ateikhan Bolatbek;Titanov Zhanat Yeginbaevich;Shakoor Ahmad;Zan Linsen;Begenova Ainagul Baibolsynovna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5호
    • /
    • pp.929-943
    • /
    • 2024
  • Objective: The present study was executed to explore the molecular mechanism of fibroblast growth factor 10 (FGF10) gene in bovine adipogenesis. Methods: The bovine FGF10 gene was overexpressed through Ad-FGF10 or inhibited through siFGF10 and their negative control (NC) in bovine adipocytes, and the multiplicity of infection, transfection efficiency, interference efficiency were evaluated through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western blotting and fluorescence microscopy. The lipid droplets, triglycerides (TG) content and the expression levels of adipogenic marker genes were measured during preadipocytes differentiation.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were explored through deep RNA sequencing. Results: The highest mRNA level was found in omasum, subcutaneous fat, and intramuscular fat. Moreover, the highest mRNA level was found in adipocytes at day 4 of differentiation. The results of red-oil o staining showed that overexpression (Ad-FGF10) of the FGF10 gene significantly (p<0.05) reduced the lipid droplets and TG content, and their down-regulation (siFGF10) increased the measurement of lipid droplets and TG in differentiated bovine adipocytes. Furthermore, the overexpression of the FGF10 gene down regulated the mRNA levels of adipogenic marker genes such as CCAAT enhancer binding protein alpha (C/EBPα), fatty acid binding protein (FABP4),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 (PPARγ), lipoprotein lipase (LPL), and Fas cell surface death receptor (FAS), similarly, down-regulation of the FGF10 gene enriched the mRNA levels of C/EBPα, PPARγ, FABP4, and LPL genes (p<0.01). Additionally, the protein levels of PPARγ and FABP4 were reduced (p<0.05) in adipocytes infected with Ad-FGF10 gene and enriched in adipocytes transfected with siFGF10. Moreover, a total of 1,774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 including 157 up regulated and 1,617 down regulated genes were explored in adipocytes infected with Ad-FGF10 or Ad-NC through deep RNA-sequencing. The top Kyoto encyclopedia of genes and genomes pathways regulated through DEGs were the PPAR signaling pathway, cell cycle, base excision repair, DNA replication, apoptosis, and regulation of lipolysis in adipocytes. Conclusion: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the FGF10 gene is a negative regulator of bovine adipogenesis and could be used as a candidate gene in marker-assisted selection.

Production of Tween 80-inducing Esterase by Acinetobacter sp. B1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Ma, Peiyu;Li, Yuqi;Miao, Chensi;Sun, Yunpeng;Liu, Chunhui;Li, Huijua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87-95
    • /
    • 2019
  • Esterase produced by Acinetobacter sp. B1 (strain B1) was optimized by means of one-variable-at-a-time and response surface methodologies. Results of the one-variable-at-a-time experiment showed that Tween 80 significantly increased esterase production of strain B1. The addition of Tween 80 to the culture medium increased the biomass and esterase activity of strain B1, stimulated content of total extracellular protein, and enhanced the oleic acid (C18:1) composition in the cell membrane of strain B1. The influence of eight culture variables on esterase production was evaluated by Plackett-Burman design. Results showed that Tween 80, pH, and $K_2HPO_4$ significantly affected the esterase production of strain B1. Tween 80, pH, and $K_2HPO_4$ were further optimized by central composite design. Under the optimized conditions (w/v, soluble starch 2.5%, tryptone 1.5%, Tween 80 0.8%, $K_2HPO_4$ 0.5%, NaCl 0.5%, pH 8.0, inoculum size 1%, and inoculum age 24 h), the maximum esterase activity of strain B1 was 152.13 U/ml, which was 10-fold higher than that of non-optimization after 36 h cultivation.

Insulin-like growth factor-I 이 치주인대세포의 생물학적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FFECTS OF THE INSULIN-LIKE GROWTH FACTOR-I ON THE BIOLOGICAL ACTIVITY OF THE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 김성진;이재목;서조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4권2호
    • /
    • pp.219-237
    • /
    • 1994
  • 치주조직재생에 중요하게 생각되는 요건으로는 치근면의 상태, 전구세포의 증식, 치유 부의 상피조직배제, 치유부의 안정화를 들 수 있으며 이중 가장 중요한 요건중의 하나가 치유부에 치주조직재생을 도모할 수 있는 전구 세포가 실수부로 이주하여 부착과 증식, 분화를 통하여 교원질섬유를 포함한 결체조직의 부착과 백악질, 골조직을 재형성하는 것이다. 최근에 이러한 전구세포들을 자극하고 원치 하는 세포들을 저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성장 인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골조직을 조절하는 인자로 알려진 인슐린유사성장인자- I (Insulin-like growth factor-I)는 폴리펩타이드계 성장인자로서 골세포의 증식, 기질합성 등을 촉진시킨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치주조직 재생에 대한 IGF- I 의 영향을 잘 규명되어 있지 않으므로 배양된 치주인대세포에 IGF- I 을 농도별로 주입하여 세포의 증식능, 교원질 및 단백질 합성능, 알카린인산효소활성도를 측정해 보므로써 IGF- I 이 치주인대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정치료를 위해 내원한 환자로부터 건강한 제일소구치를 발거하여 치주인대세포를 분리, 배양하여 IGF- I 을 주입시키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하고, IGF- I 을 각각 0.1, 1, 10, 100 ng//ml로 주입시킨 군을 실험군으로 하여 DNA합성능, 총단백질과 교원질 합성능 및 알카린인산효소활성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DNA 합성능에 미치는 IGF- I 의 효과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0.1ng/ml를 제외하고는 DNA 합성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대조군에 비해 10, 100ng/ml투여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나타내었다. 치주인대세포의 총단백질 합성양에 미치는 IGF- I 의 효과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총단백질 합성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조군에 비해 1, 10, 100ng/ml 투여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1)를 나타내었다. 총단백질을 교원질(collagenase digestible protein : CDP)과 비교원성 단백질(non-collagenous protein : NCP)로 분류하여 비교하였을때 IGF- I 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교원성 단백질 합성양과 교원질 합성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비교원성 단백질 합성양이 교원질 합성양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고, 대조군에 비해 1, 10, 100ng/ml 투여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P<0.001)를 나타내었다. 총단백질에 대한 교원질합성의 상대적 비율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각 군당 별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P>0.05)를 나타내지 않았다. 알카린인산효소활성도에 미치는 IGF- I 의 효과는 모든군에서 7일째보다 14일째에서 약간 높은 알카린인산효소활성도롤 나타내었으며, 7, 14일 모두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효소활성도가 증가하였으며, 7일째 대조군에 비해 100ng/ml 투여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나타내었다.

  • PDF

세포 주기 변화에 따른 Toxoplasmu gondii의 침투 양상 (Cell cycle-dependent entry of Toxoplasma gondii into synchronized HL-60 cells)

  • 윤지혜;남호우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2호
    • /
    • pp.121-128
    • /
    • 1991
  • Toxoplasma gondii를 HL-60 세포와 함께 in vitro 배양시 Toxopsasma 침투 정도가 각 세포에서 균일하지 않으므로 세포의 주기에 따른 일정 phase가 그 침투에 좋은 환경을 제공할 것이라는 추론으로 HL-60세포 주기를 동시화(synchronization)하여 각 stage에서 변화를 관찰하였다. 동시화는 과량의 thymidine이 DNA 합성을 억제함을 이용하여 2mM thymidine을 10시간 간격으로 각 24, 18시간 동안 처리하여 (double thymidine block method) S (synthetic) phase를 진행하는 세포를 얻었고 이후 30시 간 동안 13회의 간격을 두고 $5{\times}10^6/ml$의 Toxoplasma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숙주세포의 동시화 정도는 (1) 3H-thymidine의 표지량 (2) mitotic index 측전 및 (3) 세포수의 증가를 통해 확인하였다. Toxoplasma의 침투 정도는 S phase중에서도 배지에서 thymidine을 제거한 후 3시간 경과시가 그 전후에 비해 6배 이상 높았으며 특히 이 시기는 DNA 합성이 최고가 되는 점과 일치하였다. 침투된 Toxoplasma 수의 변화 외에 세포의 모양도 상당한 변화가 있었고 이는 19시간 후 2번째 S phase에서도 약하나마 관찰되었다 실험 결과를 통해 특정 약 1시간 동안 일어나는 어떤 세포의 변화가 Toxoplasma 침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원충 기생충의 숙주세포 흡착과 interiorization과정에 receptor가 관련되고 몇 receptor는 세포주기에 따라 발현이 조절되는 사실로부터 $G_1/S$ 경계부터 3시간째에 발현되면서 Togopzasma를 유인하는 receptor molecule의 존재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