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 harvesting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31초

BLE 비콘을 위한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설계 방안 연구 (Study on Design Method of Energy Harvesting System for BLE Beacon)

  • 장호덕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2권1호
    • /
    • pp.149-152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하베스팅 (Energy Harvesting) 기술을 적용한 BLE (Bluetooth Low Energy) 비콘에서 전력 관리를 위한 PMIC (Power Management IC)의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에서 제공되는 에너지를 확보하고 저장하기 위한 축전 장치로 캐패시터를 사용하였고, 주어진 Advertising Interval에서 BLE 모듈에 일정한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최적의 캐패시턴스를 분석하였다.

온칩 다이오드를 이용한 빛에너지 하베스팅 회로 설계 (Design of a Photo Energy Harvesting Circuit Using On-chip Diodes)

  • 윤은정;황인호;박준호;박종태;유종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549-557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CMOS 공정의 p-diff/n-well 다이오드만을 사용한 ISC(Integrated Solar Cell)를 이용하여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제어 기능을 갖는 온칩 빛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MPPT 제어는 PV(Photovoltaic) 셀의 개방전압과 MPP(Maximum Power Point) 전압간의 비례관계를 이용하여, 작은 pilot PV 셀로 하여금 main PV 셀의 MPP를 실시간 추적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설계된 회로는 MPPT 제어기능을 적용했을 때 부하가 큰 경우에도 MPP 근처의 전압을 부하에 공급함으로써 부하에 연결된 회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안된 회로는 0.18um CMOS 공정으로 설계하였으며, main PV 셀과 pilot PV 셀의 면적은 각각 $8mm^2$$0.4mm^2$이다.

꾸지뽕나무 메탄올 추출물의 세포독성 (Cytotoxic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 최소라;유동현;장익;안민실;송은주;서상영;최민경;김영선;김명곤;최동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53-158
    • /
    • 2012
  • In order to develop as a natural source of anticancer materials of Cudrania tricuspidata, the cytotoxicity of methanol extracts by harvesting parts and times against 8 cell lines including 293 (normal kidney cells) and A-431 (epidermoid carcinoma cells) were investigated using MTT assay. All harvesting parts had hardly cytotoxicity against 293. And methanol extracts of stem bark and root bark showed very high cytotoxicities against 7 cancer cell lines. The cytotoxicity was the highest against HeLa (cervix adenocarcinoma cells) and followed by MCF-7 (breast adenocarcinoma cells), AGS (stomach adenocarcinoma cells), HT-29 (colon adenocarcinoma cells), HepG2 (hepatoblastoma cells), A549 (lung carcinoma cells) and A-431. By the way, leaf extract had a cytotoxicity against only AGS and ripe fruit extract had no cytotoxicity. Among harvesting times, the cytotoxicity of root bark were high from April to September but that of stem bark showed a little difference. These results showed that anticancer activities of Cudrania tricuspidata extracts were eventful changes by harvesting parts and times.

세라믹막을 이용한 Lactobacillus cell의 농축 공정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Concentration Process of Lactobacillus Cell Using a Ceramic Membrane)

  • 이용택;송민호
    • 멤브레인
    • /
    • 제14권3호
    • /
    • pp.192-20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유기질막에 비해 안정성이 우수하고 사용수명이 긴 세라믹 막을 이용하여 혐기성 Lactobacillus 균주의 농축에 관해서 연구하였다. Cell harvesting (CH)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막투과 압력, 온도, 선속도 등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세라믹 막을 이용하여 농축율 변화에 따른 플럭스와 TMP (transmembrane pressure)의 변화, 일정 VCF(volumetric concentration factor)에서 TMP변화 등의 최적조건에 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플럭스는 TMP, 선속도, VCF가 증가함에 따라 투과수량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온도가 증가할수록 점도에 의해 초기 플럭스도 증가하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막 표면의 겔층의 형성으로 온도의 영향은 미미하였다. 또한 농축비 이하의 일정한 VCF에서 운전할 경우 플럭스가 안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선속도 5 m/s, 공급액의 온도 $37^{\circ}C$, TMP 1 bar에서 6∼8 h 운전할 경우 PS 406 원액의 생균수는 4.9{\times}10^9$으로 약 8배 농축됨을 알 수 있었다.

로드셀을 이용한 생김 중량측정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method of raw laver weight using load cell)

  • 민은비;강태종;윤은아;김옥삼;황두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9권3호
    • /
    • pp.215-220
    • /
    • 2023
  • This study developed and evaluated a load cell-based automatic weighing system for the automated harvesting of laver (Porphyra tenera) in seaweed aquaculture. The current manual harvesting process was compared with the load cell-based automated system, and quantitative measurements of time, distance, and weight were conducte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load cell-based system reduced the unloading time and increased the throughput compared to the manual method. In addition, statistical analysi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mean in the weight measurement obtained using the load cell-based system. Based on these findings, the load cell-based automatic weighing system holds potential for efficient production and transactions in laver cultivation, contributing to cost reduction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aquaculture workers.

개선된 태양 에너지 하베스팅 모델에 대한 분석 (Analysis on the Advanced Model for Solar Energy Harvesting)

  • 나양타이 불간바트;공인엽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99-104
    • /
    • 2013
  • 산이나 숲과 같은 광범위한 영역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설치된 센서 노드들은 배터리 교체할 때 시간과 비용이 많이드는 단점이 있다. 이에 무선 센서 네트워크 주위에 존재하는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여 사용 기간을 최대로 늘릴 필요가 있는데, 태양 에너지는 365일 항상 수집할 수 있는 무한한 에너지원이 된다. 이러한 센서 네트워크를 최적으로 설계하기 위해서는 센서 네트워크가 실제 구축되는 환경에서 수집되는 태양 에너지의 양을 예측하고 분석해주는 에너지 모델이 필요하다. 이는 설치 환경에서 필요로 하는 태양광 패널의 크기나 성능 등의 요구 사항을 미리 파악할 수 있도록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를 분석하는 기존의 태양 에너지 하베스팅 모델들은 수집되는 에너지 양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소 중 일부만 고려하여 에너지를 예측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모델에서 고려하지 않는 태양전지 패널의 발열 손실, 월별 각도 손실, 월별 배터리 발열/냉각까지 모두 고려하여 기존 모델을 개선한 모델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 모델에 대해 패널 각도, 기온, 패널 표면 온도에 따른 에너지 수집양을 실험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이러한 요소들이 태양 에너지 수집 양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ole of OrfQ in Formation of Light-Harvesting Complex of Rhodobacter sphaeroides under Light-Limiting Photoheterotrophic Conditions

  • LIM, SOO-KYONG;IL HAN LEE;KUN-SOO KIM;JEONG KUG L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9권5호
    • /
    • pp.604-612
    • /
    • 1999
  • A puc-deleted cell of Rhodobacter sphaeroides grows with a doubling time longer than 160 h under light-limiting photoheterotrophic (3 Watts [W]/㎡) conditions due to an absence of the peripheral light-harvesting B800-850 complex. A spontaneous fast-growing mutant, R. sphaeroides SK101, was isolated from the puc-deleted cells cultured photoheterotrophically at 3 W/㎡. This mutant grew with an approximately 40-h doubling time. The growth of the mutant, however, was indistinguishable from its parental strain during photoheterotrophic growth at 10 W/㎡ as well as during aerobic growth. The membrane of SK101 grown aerobically did not reveal the presence of any spectral complex, while the amounts of the B875 complex and photosynthetic pigments of SK101 grown anaerobiclly in the dark with dimethylsulfoxide (DMSO) were the same as those of the parental cel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oxygen control of the photosynthetic complex formation remained unaltered in the mutant. The B875 complex of SK101 under light-limiting conditions was elevated by 20% to 30% compared with that of the parental cell, which reflected the parallel increase of the bacteriochlorophyll and carotenoid contents of the mutant. When the puc was restored in SK101, the B875 complex level remained unchanged, but that of the B800-850 complex increased. The mutated phenotype of SK101 was complemented with orfQ encoding a putative bacteriochlorophyll-mobilizing protein. Accordingly, it is proposed that the mutated OrfQ of SK101 should have an altered affinity towards the assembly factor specific to the most peripheral light-harvesting complex, which could be either the B875 or the B800-850 complex.

  • PDF

중간 광전극에 삽입된 산란층에 의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광수집 성능 향상 (Enhancement of the Light Harvesting of Dye-sensitized Solar Cell by Inserting Scattering Layer)

  • 남정규;김범성;이재성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05-309
    • /
    • 2009
  • The effect of light scattering layers (400 nm, TiO$_2$ particle) of 4 $\mu$m thickness on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has been investigated with a 12 $\mu$m thickness of photo-anode (20 nm, TiO$_2$ particle). Two different structures of scattering layers (separated and back) were applied to investigate the light transmitting behaviors and solar cell properties. The light transmittance and cell efficiency significantly improved with inserting scattering layers. The back scattering layer structure had more effective transmitting behavior, but separated scattering layer (center: 2 $\mu$m, back: 2 $\mu$m) structure (9.83% of efficiency) showing higher efficiency (0.6%), short circuit current density (0.26 mA/cm$^2$) and fill factor (0.02). The inserting separating two scattering layers improved the light harvesting, and relatively thin back scattering layer (2 $\mu$m of thickness) minimized interruption of ion diffusion in liquid electrolyte.

빛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한 자가발전 시스템용 전력관리 회로 (Power Management Circuits for Self-Powered Systems Based on Solar Energy Harvesting)

  • 윤은정;박종태;유종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660-1671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빛 에너지 하베스팅 자가발전 시스템을 위한 두 가지 구조의 전력관리 회로를 제안한다. 첫 번째는, 솔라셀이 부하가 동작할 수 있는 충분한 전압을 출력하는 경우, 전력관리회로를 통해 직접 솔라셀의 에너지를 부하로 공급하는 구조이다. 두 번째는 초소형 솔라셀이나 집적화된 솔라셀에서처럼 출력전압이 0.5V 이하로 매우 작아서 부하를 직접 구동할 수 없는 경우, 전압부스터를 사용하여 충분한 전압까지 승압한 후, 이를 전력관리회로를 통해 부하로 공급하는 구조이다. 이 두 가지 구조의 전력관리 회로는 $0.18{\mu}m$ CMOS 공정으로 설계 및 제작되었으며, 측정을 통해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낮은 듀티 동작의 센서 노드를 위한 저비용 MPPT 제어기능을 갖는 빛에너지 하베스팅 회로 (A Solar Energy Harvesting Circuit with Low-Cost MPPT Control for Low Duty-Cycled Sensor Nodes.)

  • 윤은정;양민재;유종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97-40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낮은 듀티 동작의 센서 노드를 위한 저비용 MPPT 제어기능을 갖는 빛에너지 하베스팅 회로를 제안한다. 환경, 구조물 모니터링 센서와 같은 연속적인 동작이 요구되지 않는 센서 노드가 어플리케이션이며, 기존의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제어방법과 다르게 간단한 회로들을 이용하여 저비용 MPPT 제어 방법을 구현하였다. 제안된 MPPT 방법은 솔라셀의 개방회로전압과 MPP 전압간의 비례관계를 이용하여, 솔라셀의 개방회로 전압을 주기적으로 샘플링함으로써 최대 가용전력이 생성되는 지점을 추적하고 이를 부하로 전달한다. 제안된 회로는 $0.35{\mu}m\;CMOS$ 공정으로 설계되었으며, 칩 면적은 패드를 포함하여 $975{\mu}m{\times}1025{\mu}m$이다. 제작된 칩을 측정한 결과 주기적으로 솔라셀의 개방회로를 샘플링하여 솔라셀의 MPP를 실시간 추적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