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fazolin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2초

도축돈에서 Pasteurella multocida의 분리, 분리주에 대한 미생물학적, 혈청학적성상 및 항생물질의 감수성조사와 돈폐에 대한 병리학적 관찰에 관하여 (Studies on Isolation of Pasteurella multocida from Slaughtered Pigs, Microbiological and Serological Properties,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the Isolates and Pathological Observation of Their Lungs)

  • 이학철;함태수;정유열;조성룡;이재현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07-318
    • /
    • 1989
  • In recent years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swine respiratory infection caused by Pasteurella(P) multocida with rapid expansion of pork Industry in Korea.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etiologic situation of P. multocida infection by bacteriological, serological(serotyping) and pathological examinations with the lungs respectively. In addition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 was carried out against the isolated strains of P. multocida.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1. Eighteen strains(12.8%) wert isolated from the 140 cases of swine lungs examined, and bi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isolates were the sam as those in the references of other workers, whereas some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sugar fermentation and enzyme activity according to the strain of isolates. 2. Capsular serotyping performed on 18 P. multocida revealed that 13 strains(72.2%) were A type and 5 strains(27.8%) were D type, respectively. 3. When serotyping was performed against somatic antigen on 18 strains capsular types of which were identified as described above 9(50%), 3(16.7%) and 4(22.2%) strains belong to 1:A, 3:A and 2:D, respectively, but untypable 2 strains(11.1%) were observed. 4.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 by employing disc method for 24 kinds of drugs revealed that 15 kinds of antibiotics were sensitive to 18 strains of P. multocida isolated such as ampicillin(l00%), penicillin(100%), cloxacillin(56%), piperacillin(70%), cefotaxime(30%), minocycline(60%), chloramphenicol(95%), erythromycin(39%), kanamycin(17%), gentamicin(70%), amikasin(30%), colistin(78%) and nalidixic acid(5%), respectively, but resistant to 9 kinds of antibiotics such as sulpenicillin, cefazolin, cephalothin, cefametazol, cefoperazone, kitasamycin, oleandomycin. lincomycin and bacitracin. 5. Pathological features of 60 cases of swine lungs indicated that pneumonic .lesions were observed in 38 cases(63.3%) examined by macroscopic finding, in which lesions of 8 cases(13.4%) would correspond to those of mycoplasmal infection, and 30 cases(50%) were similar to viral infection by histopathological finding, whereas 22 cases(36.7%) were considered to be normal by ecropsy or histopathological finding.

  • PDF

요로감염의 주요 원인균과 항생제 감수성의 변화에 관한 고찰 (Changes in Causative Organism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the Urinary Tract Infection)

  • 하태욱;황용;박승철;이재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85-93
    • /
    • 2017
  • 요로감염은 병원 내 감염의 주요한 부분이며 최근 항생제의 남용 등으로 인해 요로감염에서의 효과적인 항생제의 선택이 제한받고 있다. 연구자들은 본 병원을 방문하여 시행한 요배양검사에서 의미있는 균이 동정된 외래 및 입원 환자의 요로감염의 주요 원인균과 항생제 감수성을 조사하여 요로감염의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2010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6년간 본 병원에서 시행한 요배양검사에서 의미 있는 원인균이 동정된 외래 및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균집락 단위(colony forming unit: CFU)가 $10^5/ml$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배양된 동정균주에서 가장 흔한 원인균은 E.coli로 28.1%의 비율이었다. E.coli의 경우 남성에서는 2010년부터 2015년까지 빈도의 차이는 없었으나 여성의 경우 2014년 이후 그 빈도가 점차 감소하였다. 항생제 감수성 결과 가장 흔한 균주인 E.coli의 감수성 검사에서는 ampicillin 72.2%, TMP/SMX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44.9%, ciprofloxacin 41.3%의 내성율을 보였으며, cefazolin 12.4%, 2,3,4세대 cephalosporin에는 5% 이하의 낮은 내성율을 보였다. 요로감염의 원인균은 시간이 지날수록 다양해지고 빈도 또한 변화를 보인다. 따라서 TMP/SMX와 ciprofloxacin 등 기존 항생제에 대한 내성도 또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요로감염에 대한 경험적인 항생제의 사용에 대해 더욱 신중한 선택을 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개의 전이도적출술 중 전기지혈에 의해 발생한 삼차신경심장반사 1례 (Trigeminocardiac Reflex Induced by Electrohemostasis during Total Ear Canal Ablation in a Dog)

  • 조상민;손원균;장민;김완희;이병천;이인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34-236
    • /
    • 2016
  • A 14 kg, 9-year-old, spayed female, Cocker Spaniel was presented to the Veterinary Medical Teaching Hospita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with a history of head tilt and circling. Otitis externa and media were diagnosed by computerized tomography, and total ear canal ablation was performed. In preanesthetic evaluation, systemic hypertension and second-degree atrioventricular block were observed, but there was no regurgitation through the heart valves. Systemic hypertension was managed with amlodipine (0.1 mg/kg, PO, BID) for the anesthesia. The dog was premedicated with cefazolin (22 mg/kg, IV) and midazolam (0.2 mg/kg, IV). Anesthesia was induced with alfaxalone (2 mg/kg, IV) and maintained with isoflurane and 100% oxygen following intubation. During surgery, vital signs (heart rate, respiratory rate, blood pressure, end tidal carbon dioxide partial pressure and body temperature) were maintained within normal ranges, but bradycardia was observed and corrected with glycopyrrolate (5 ug/kg IV, twice). During subcuticular suture, electrohemostasis was applied at the incision line, which was close to the trigeminal nerve. In no time at all, heart rate dramatically decreased from 110 to 60 beats per minute. No additional treatment was done because mean blood pressure was maintained above 70 mmHg. The heart rate recovered according to the decrease of end tidal isoflurane concentration and there were no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the anesthesia and surgery. Sudden bradycardia after electrical stimulation around the trigeminal nerve was considered as trigeminocardiac reflex (TCR). It is recommended to be careful of bradycardia from TCR when electrocautery is used in the craniofacial area during surgery.

닭 도계 및 가공공정 중 유해미생물의 분포와 항생제 감수성 (The distribu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chicken slaughtering and processing procedure)

  • 설국환;김기현;조수미;김영화;김현욱;함준상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1호
    • /
    • pp.29-35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istribution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the carcass and environments of chicken processing plant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from October to November in 2010. Chicken slaughterhouse was visited 3 times and totally 40 samples were collected from chicken carcass before and after washing (n=14), chicken cuts (n=7), cooling water (n=8), brine (n=2), cutting knives (n=7) and working plate (n=2). Whole-chicken rinsing technique (for chicken carcasses) and swab technique (for working plate and knives) were used to analyze the distribution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addition, brine and chilling water from storage tanks were gathered using sterilized tubes and used as samples. The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mass spectrometry (MALDI MS) for whole cell fingerprinting in combination with a dedicated bioinformatic software tool was used to identify the isolated microorganisms. The pathogenic microorganisms, such as Bacillus cereus (n=8) and Staphylococcus aureus (n=9), were isolated form the chicken processing process (chicken carcasses of before and after chilling, chicken cuts, and working plate). The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those isolated microorganisms was analyzed using 21 antimicrobial agents. In the case of B. cereus, it showed 100% of resistance to subclasses of penicillins and peptides, and it also resistant to cephalothin, a member of critically important antimicrobials (CIA), however there was no resistance (100% susceptible) to vancomycin and chloramphenicol. S. aureus showed 100% resistance to subclasses of peptides and some of penicillins (penicillin and oxacillin), however, it showed 100% susceptibility to cephalosporins (cefazolin and cephalothin). All of the tested pathogens showed multi drug resistance (MDR) more than 4 subclasses and one of B. cereus and S. aureus showed resistance to 9 subclasses. After the ban on using the antimicrobials in animal feed in July 2011, there would be some change in microbial distribution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it still has a need to be analyzed.

천안 천호지에서 분리한 대장균의 항생제 내성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f Antimicrobial Resistance of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Cheonho Reservoir in Cheonan)

  • 이진경;이영기;육영삼;김가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141-149
    • /
    • 2017
  • 본 연구는 천안소재 천호저수지의 위생미생물학적 수준과 자연환경에서의 항생제 내성 분포를 파악하여 국민보건 향상에 이바지 하고자 하였다. 2013년 7월과 9월 3차에 걸쳐 위생지표세균인 대장균군수를 측정하고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 따라 분리 동정하였으며 국립보건원 항생제 감수성 표준시험법을 사용하여 항생제 내성 시험을 하였다. 천호저수지의 평균 대장균군수는 $2.0{\times}10^3CFU/mL$이었으며 그 중 41%가 대장균으로 동정되었다. 대장균의 항생제 내성은 Ampicillin 31.3%로 가장 높았으며 Ticarcillin 25.0%, Cefazolin 및 Cefoxitin 이 18.8% 이었다. 융합다제내성은 4제내성이 38.5%, 6제 내성은 7.7%, 2제이상은 내성균의 92.3%를 차지하였다. 천호저수지는 시민들이 이용하는 공원으로 보건위생학적 수질관리를 위해 주기적인 위생미생물학적 연구와 항생제 내성에 관한 융합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충청남도 해안지역의 비브리오 패혈증균 분포 및 분리주의 특성 분석 (Distribution and Characterization of Vibrio vulnificus Isolated in Coastal Areas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 이현아;고영은;최지혜;이다연;여성순;박종진;이미영;최진하;박준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479-485
    • /
    • 2021
  • Background: Vibrio vulnificus has been frequently detected in seawater, fish, and shellfish mainly in the coastal areas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alyzed biochemical properties, genetic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Vibrio vulnificus isolated from environmental sources in coastal areas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from 2019 to 2020. Methods: A total of 1,510 samples were obtained from six different sites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Isolated strains from the samples were identified by a VITEK 2 system and MALDI-TOF.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ing for 85 isolates was done by microdilution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ethods, and 11 isolates were analyzed for 16s rRNA sequences in multiple alignments. Results: Among the 1,510 samples taken during the investigation period, 306 strains were isolated and the detection rate of V. vulnificus was 20.3%. One hundred eighty-eight strains (24.6%) from seawater and 118 strains (15.8%) from mud flats were isolated. It was mainly detected in July (17.3%), August (36.5%), and September (28.8%), and the proportion was 82.0%. Based on the CLSI-recommended breakpoints, V. vulnificus isolates were all susceptible to amoxicillin/clavulanic acid, amikacin, gentamicin, ciprofloxacin and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However, nonsusceptible isolates to ampicillin, ampicillin/sulbactam, cefazolin, cefoxitin, imipenem, tetracycline and chloramphenicol were identified. In the analysis of the nucleotide sequences for 16s rRNA of V. vulnificus isolates, it was confirmed that mutations frequently occurred between nucleotide number 922 and 952, and 98.2% to 100% nucleotide identities between isolates was verified.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of Vibrio vulnificus infection by describing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Vibrio vulnificus strains isolated in coastal areas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최근 6년간 소아청소년기 급성 화농성 골관절염의 원인균과 임상 양상; 2003-2009 (The Eti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Acute Osteoarthritis in Children; 2003-2009)

  • 최진형;최영준;홍기배;이진아;유원준;김한수;박문석;조태준;정진엽;이환종;최인호;최은화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8권1호
    • /
    • pp.31-39
    • /
    • 2011
  • 목 적 : 급성 화농성 관절염 및 골수염은 성인에 비해 소아에서 비교적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으로 진단 및 치료가 지연되거나 부적절할 경우 만성적인 후유증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6년간 우리나라 2개 대학병원에서 경험한 급성 관절염 및 골수염의 원인균과 임상 양상을 분석하였다. 방 법: 2003년 6월부터 2009년 7월까지 지역사회에서 발생한 급성 화농성 골관절염으로 서울대학교 어린이 병원과 분당 서울대학교병원에 입원한 15세 이하 환아들 중 혈액이나 관절액, 조직에서 시행한 세균 배양 검사상 원인균이 증명된 63례를 대상으로 하여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총 63명의 중앙 연령은 60개월이고, 남아는 35명, 여아는 28명으로 약 1.25:1의 비율을 보였다. 침범 부위 중 관절은 고관절을 침범한 것이 15례(37.5%) 로 다수를 차지하였고, 슬관절 7례(17.5%), 견관절과 주관절이 각각 4례(10%)에서 침범되었고, 골수 침범 부위는 대퇴골이 20례(33.9%), 경골이 13례(22%), 요골과 상완골이 각각 7례(11.9%)씩 차지하였다. 원인균 중 S. aureus가 49례로 77.8%를 차지하였고, 이 49례 중 MSSA가 41례(83.7%), MRSA는 8례(16.3%)를 나타내었다. GBS, Salmonella spp.는 각각 3례를 차지하였다. 한편 생후 1개월 미만의 신생아 4례중 3례에서 GBS가 동정되었다. 초기 항생제로는 1세대 cephalosporin 또는 nafcillin 단독 요법을 선택한 경우가 27례(42.9%)로 가장 흔했고 vancomycin을 포함한 경우는 총 9례 (14.3%)이었다. 총 63례 중 54례(85.7%)에서 합병증 없이 호전되었고, 만성 골수염, 성장판 손상, 관절 신전 장애, 재감염 및 재수술 등 합병증을 동반한 호전을 보인 경우가 9례(14.3%)이었고 사망례는 없었다. 결 론 : 지역사회에서 발생한 소아청소년 관절염 및 골수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S.aureus이고 이 중 MRSA 는 16.3%를 차지하므로 신중한 항생제 선택을 필요로 한다.

소아 요로감염에서 Escherichia coli의 빈도와 항생제 감수성에 대한 연구 (Incidence of Escherichia coli and Its Susceptibility to Antimicrobials in Childhood Urinary Tract Infection)

  • 지혜미;곽재혁;이준호;박혜원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0권1호
    • /
    • pp.18-26
    • /
    • 2006
  • 목적 : 요로감염은 조기 진단 및 치료를 적절히 하지 않으면 비가역적 신손상, 패혈증 등을 유발하므로 원인 균주를 알기 전에 경험적 항생제 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경험적 항생제의 적절한 선택을 위하여 원인 균주의 분포와 임상특징을 알아보고, 원인 균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E. coli의 항생제 감수성 정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4년 2월부터 2005년 2월까지 발열을 주소로 분당차병원 응급실과 소아과 외래를 방문하여 요로감염으로 진단된 환아 103명을 대상으로 요 배양검사 결과, 성별, 연령, DMSA 신스캔상 결손 유무, 방광 요관 역류 유무, 6개월이내 재발 여부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고 원인 균주 중 가장 흔한 균인 E. coli에 대해 항생제 감수성 정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 103명의 환아 중 92명(89.3%)이 E.coil에 의한 요로감염이었으며 ESBL 생성 E.coli는 3명(3.3%)에서 동정되었다. E. coli의 항생제 감수성 조사 결과 AMP, AMS, SXT는 각각 27.2%, 34.8%, 65.2%로 낮은 감수성을 보였으며 cephalosporin계 항생제는 1세대 cephalosporin인 cefazoline이 91.3%, 2세대인 cefoxitin이 100%, 3세대인 ceftriaxone 97.8%를 보여 대부분 매우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AMP와 SXT의 경우 연령이 1세 이상일 경우 1세 미만인 경우에 비해 내성의 위험이 증가하였다. 결론 : 1세 이상의 환아에서는 소아과 외래에서 흔히 사용하는 AMP, SXT에 대한 내성발생의 위험이 증가하므로 3세대 cephalosporin계 항생제를 초기 경험적 치료에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나, ESBL 생성 E. coli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와 발생 위험 요인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 PDF

농업환경에 서식하는 파리에서 분리된 E. coli의 병원성 유전자 및 항생제 내성 조사 (Virulence Profile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Escherichia coli from Flies Captured from Agricultural Environment)

  • 윤보현;장윤정;김연록;김황용;김원일;한상현;김세리;류재기;김현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7-153
    • /
    • 2017
  • 본 연구는 다양한 농업 환경에서 채집된 파리의 분비물에서 E. coli을 분리하고 분리된 E. coli의 병원성유전자 및 항생제내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였다. 파리는 과일농장(n = 19), 장류생산농장(n = 9), 생활쓰레기 야적장(n = 46), 축사(n = 66), 도축장(n = 38), 퇴비장(n = 10)에서 총 188마리를 채집하여 토사물과 배설물로부터 E. coli을 분리 및 동정하였다. 그 결과, 채집된 파리의 63%(119/188)에서 E. coli이 검출되었으며 특히 도축장에서 채집된 파리에서 E. coli의 검출률이 89%(34/38)로 가장 높았다. 또한 분리된 E. coli을 대상으로 병원성 유전자 8종(ST, LT, VT1, VT2, aggR, bfpA, eaeA, ipaH)을 조사한 결과, 도축장에서 채집된 파리에서 분리된 E. coli 중 91%(31/34)가 장독소를 생산할 수 있는 ST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었다. 분리된 E. coli의 16%(31/188)가 1종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였다. 특히, 항생제 사용빈도가 높은 축사에서 채집된 파리의 E. coli 경우에는 59%(23/39)가 항생제 내성을 나타내었다. 분리된 항생제 내성 E. coli 균주 중 10%(12/119)는 2종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였고, 모두 축사 채집 파리에서 분리된 균주였으며, 이 중 2개 균주는 다재내성의 지표인 ESBL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에 양성을 나타내었다. ESBL 양성균주 중 1 균주는 7종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였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축산환경 서식 파리에서 분리된 E. coli은 병원성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낼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농식품을 생산하는 농장이나 식품공장은 가급적 축산환경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거나 방충망 등의 차단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경기지역 학교 단체급식소 식품 및 환경 중 식중독균 분석 (Analysis of Foodborne Pathogens in Food and Environmental Samples from Foodservice Establishments at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 오태영;백승엽;구민선;이종경;김승민;박경민;황대근;김현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895-190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건당 환자수가 높아 식품안전관리 우선순위가 높은 단체급식소의 식품, 조리도구 및 환경에서 식중독균을 분석하고 이들 미생물의 병원성 인자 및 항생제 내성을 확인하여 미생물 위험분석을 위한 기본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경기도 소재 총 8개(농촌 3, 도시 4 및 벽지 1) 학교급식소에서 식품 시료(n=66), 조리도구(n=44) 및 환경 시료(n=56) 등 총 179점의 시료를 채취하여 지표세균 및 식중독균을 분석하였다. 식품 시료에서 총균수는 평균 4.7 log CFU/g, 최대 8.1 log CFU/g으로 대장균군의 평균 오염도 3.1 log CFU/g, 최대 오염도 4.0 log CFU/g으로 높았다. 선반 및 개수대 등 환경 시료의 총균수는 평균 2.7 log CFU/g, 최대 4.1 log CFU/g으로 식품 시료보다 낮은 수준으로 분석되었으나 대장균의 경우 평균 4.0 log CFU/g, 최대 5.4 log CFU/g으로 식품 시료보다 오염 수준이 높아 환경으로 부터의 교차오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다. 병원성 미생물 중 Bacillus cereus의 정량분석 결과 식품(원료, 조리단계 및 조리식품 포함) 시료에서 평균 2.1 log CFU/g, 최대 4.1 log CFU/g으로 분석되었으나, 이 중 조리된 식품의 오염도는 10,000 CFU/g 이하로 식품공전의 기준 이하로 오염되어 있었다. Escherichia coli는 식품 중 조리 전 시료(n=14)에서만 검출율 35.7%로 분석되었으며 조리단계의 식품, 조리도구 및 환경 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Staphylococcus aureus의 경우 조리 전 식품 원료(n=14)의 21.4%에서 검출되었으며 환경 시료(냉장고 손잡이)에서 1건 양성으로 검출되었고, 조리단계의 식품, 조리도구 및 환경 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 외 Clostridium perfringens,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Vibrio parahaemolyticus는 분석된 모든 시료에서 모두 음성이었다. 분리된 B. cereus의 독소유전자(hblACD, nheABC, entFM, cytK enterotoxin gene)를 분석한 결과 구토 유발 독소인 ces는 모두 음성이었으나 분석된 86주 모두 적어도 1종 이상의 설사 유발 독소유전자가 검출되었으며 66.2%의 균주는 설사 유발 독소유전자를 모두 보유하고 있었다. 식품과 환경에서 분리한 S. aureus(n=16)의 장독소 생성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모두 1종 이상의 독소유전자가 검출되었다. 전형적인 장독소유전자 중에서는 sea만 검출되었으며, 독소충격증후군 toxin(tst) 유전자는 모든 분리주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집단 식중독 발생 시 초기 진료에 결정적 영향을 주는 항생제 내성 여부를 분석한 결과 E. coli(n=41)의 92.7%는 분석한 항생제 16종에 대해 내성을 보이지 않았고 cefazolin에 대한 내성률이 4.9%로 가장 높았으며, 1개 균주에서만 2개 항생제에 대해 다제내성을 보여 국내외 항생제 내성률보다 낮았다. S. aureus(n=16)는 시험한 19종 항생제 중 gentamicin에 대한 내성률이 62.5%로 가장 높았으며 일부 균주에서 2주 항생제에 대해 다제내성이 관찰되었다. 한편 단체 급식소 2개소의 조리도구와 환경 중 미생물 군집을 분석한 결과 특정균이 도구와 환경에서 중복 검출되어 도구와 환경 중 교차오염 가능성을 간접적으로 시사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단체급식소 식품, 조리도구 및 환경 중 위생지표균과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패턴을 분석하고 분리된 균주의 독성인자와 항생제 내성 정보를 분석하였다. 관련 정보는 단체급식소 미생물 위험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사전적, 정량적 안전관리 기술 개발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식중독 유발의 다른 원인인 바이러스류와 기타 원인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