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drol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9초

Induction of Cell Cycle Arrest, Apoptosis, and Reducing the Expression of MCM Proteins in Human Lung Carcinoma A549 Cells by Cedrol, Isolated from Juniperus chinensis

  • Yun, Hee Jung;Jeoung, Da Jeoung;Jin, Soojung;Park, Jung-ha;Lee, Eun-Woo;Lee, Hyun-Tai;Choi, Yung Hyun;Kim, Byung Woo;Kwon, Hyun J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7호
    • /
    • pp.918-926
    • /
    • 2022
  • Proteins related to DNA replication have been proposed as cancer biomarkers and targets for anticancer agents. Among them, minichromosome maintenance (MCM) proteins, often overexpressed in various cancer cells, are recognized both as notable biomarkers for cancer diagnosis and as targets for cancer treatment. Here, we investigated the activity of cedrol, a single compound isolated from Juniperus chinensis, in reducing the expression of MCM proteins in human lung carcinoma A549 cells. Remarkably, cedrol also strongly inhibited the expression of all other MCM protein family members in A549 cells. Moreover, cedrol treatment reduced cell viability in A549 cells, accompanied by cell cycle arrest at the G1 phase, and enhanced apoptosis. Taken together, this study broadens our understanding of how cedrol executes its anticancer activity while demonstrating that cedrol has potential application in the treatment of human lung cancer as an inhibitor of MCM proteins.

Cedrol 및 펩타이드 3 종 Complex 의 In Vitro 효능 및 적용 제형의 입술 주름 개선 및 Volumization 효과에 대한 연구 (In Vitro Efficacies of Complex of Cedrol and Three Peptides, and Wrinkle Improvements and Lips Volumization effects of Applied Formulations)

  • 강성수;전승현;이진용;안명진;강내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65-373
    • /
    • 2023
  • 입술은 인간의 매력을 표현할 수 있는 대표적인 안면부 부위로써, 이에 대한 미적 관심은 인류 역사에서 항상 존재해왔다. 그러나 입술은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주름이 형성되고, 얇아지고, 그 볼륨이 감소하는 경향을 가지며, 이를 대처하기 위해 필러나 지방 이식 등 시술이 시행되곤 한다. 본 연구에서는 립세린® 에 적용된 주 효능 컴플랙스인 cedrol과 펩타이드 3 종(acetyl hexapeptide-8, acetyl tetrapeptide-9, desamidocollagen)의 조합이 광노화 방어 및 입술 주름을 개선할 수 있음을 in vitro상에서 검증하였다. 피부 섬유아세포의 콜라겐과 엘라스틴 발현량을 향상, 광노화 조건에서 MMP 발현을 경감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지방 줄기 세포 분화 실험에서 지방 줄기 세포 분화 촉진 및 지방 생성량을 증대시킴으로, 입술 내 지방 조직량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in vitro상에서 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2 주간 사용된 인체 적용 시험에서도, 입술의 주름, 결, 탄력, 볼륨이 개선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cedrol 및 펩타이드 3 종 조합이 입술의 다양한 노화 징후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립케어 소재로써 활용 가능함을 검증하였다.

세드롤과 콜라겐 유래 펩타이드의 피부노화 개선효과 (Anti-aging Effects of Cedrol and Collagen-derived Peptide)

  • 류종성;조환일;원지희;전미나;권오선;원보미;임준만;이상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29-235
    • /
    • 2015
  • 피부 노화는 피부 표면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피부 표면의 미세구조와 연관이 있다. 피부 미세구조의 변화는 주름형성, 피부 톤 저하 등 다양한 피부 노화 현상을 유발하는 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주름 기능성 성분인 세드롤(Cedrol)과 콜라겐 유래 펩타이드 성분을 이용하여 시험관 수준(in vitro)에서 타입III 콜라겐 합성 시너지 효과를 평가하였다. 여성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4주 동안 상기 원료가 함유된 크림제품을 사용한 후 피부 미세구조, 스타 형상(star configurations), 보습, 탄력, 피부 밝기, 윤기, 피부 톤, 투명도를 평가하였다. 시험관 수준의 세드롤과 펩타이드를 동시에 처리하면 우수한 수준의 타입III 콜라겐 합성 시너지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크림제형을 이용한 인체적용 시험에서는 사용 4주 후부터 피부 미세구조, 스타형상, 윤기, 피부 톤, 보습, 탄력을 개선시켰으나, 피부 밝기 개선 효능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존 주름 기능성 성분인 세드롤과 콜라겐 유래 펩타이드는 세포 수준에서 타입III 콜라겐 합성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화장품에 적용하여 시험한 결과 피부 노화 개선에 도움을 주는 성분임을 확인하였다.

자단향으로부터 밀 붉은곰팡이병균 Fusarium graminearum에 대한 항진균활성 물질의 분리 및 특성 규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fungal Metabolites from Pterocarpus santalinus against Fusarium graminearum Causing Fusarium Head Blight on Wheat)

  • 김지인;하아름;박애란;김진철
    • 식물병연구
    • /
    • 제23권3호
    • /
    • pp.268-277
    • /
    • 2017
  • 붉은곰팡이병은 주로 Fusarium graminearum에 의해 발생하며 전세계적으로 주요 곡물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는 식물병이다. 관행농가에서는 일반적으로 붉은곰팡이병 방제에 합성살균제를 사용하고 있지만 장기적인 합성살균제의 사용으로 인하여 환경 오염 문제와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는 문제가 야기되었다. 때문에 천연물살균제를 포함한 친환경 생물농약 개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100종의 식물추출물을 이용하여 F. graminearum에 항진균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자단 심재부인 자단향의 조추출물이 가장 강한 항진균활성을 보였으며, GC-MS 분석을 통하여 자단향으로부터 ${\alpha}$-cedrol과 widdrol로 동정된 두개의 항진균 활성물질을 분리하였다. ${\alpha}$-Cedrol과 widdrol의 F. graminearum 포자발아 억제활성 최소저해농도는 각각 31.25 mg/l과 62.5 mg/l였으며, 이 두 물질은 F. graminearum 이외에도 다양한 식물병원균의 균사 생육을 저해하였다. 더욱이 자단향 추출물을 분말 수화제로 제형화하여 처리한 결과, 밀 붉은 곰팡이병에 대한 방제효과는 유효성분 농도가 높을수록 효과적인 방제가를 보였으며, 250배 희석처리 시 2,000배의 상용농도로 희석한 합성살균제의 방제가(92.6%)와 통계적으로 유사한 87.2%의 병방제가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붉은곰팡이병방제를 위한 효과적인 생물살균제로 자단향 추출물이 활용 가능하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Growth-inhibiting Effects of Juniperus virginiana Leaf-Extracted Components toward Human Intestinal Bacteria

  • Kim, Moo-Key;Kim, Young-Mi;Lee, Hoi-Seo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164-167
    • /
    • 2005
  • The growth responses of materials extracted from Juniperus virginiana leaves against Bifidobacterium bifidum, B. longum, Clostridium perfringens, Escherichia coli, Lactobacillus acidophilus, L. casei, and Streptococcus mutans were examined using impregnated paper disk agar diffusion. The biologically active constituent isolated from the J. virginiana extracts was characterized as ${\alpha}$-cedrene using various spectroscopic analyses including IR, EI-MS, and NMR. The responses varied according to the dose, chemicals, and bacterial strain tested. Methanol extracts of J. virginiana leaves exhibited a strong and moderate inhibitory activity against C. perfringens and E. coli at 5 mg/disk, respectively. However, in tests conducted with B. bifidum, B. longum, L. acidophilus, L. casei, and S. mutans, the methanol extracts showed no or weak inhibitory response. At 2 mg/disk, a-cedrene strongly inhibited the growth of C. perfringens and moderately inhibited the growth of E. coli and S. mutans, without any adverse effects on the growth of four lactic acid-bacteria.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compounds originating from J. virginiana leaves, cedrol and ${\alpha}$-pinene exhibited strong and moderate growth inhibition against C. perfringens, and ${\alpha}$-copaene revealed moderate growth inhibition against E. coli at 1 mg/disk. Furthermore, cedrol exhibited moderate and weak growth inhibition against S. mutans at 2 and 1 mg/disk, respectively. However, little or no activity was observed for camphene, (+)-2-carene, p-cymene, limonene, linalool, and a-phellandrene against B. bifidum, B. longum, C. perfringens, L. acidophilus, L. casei, and S. mutans at 2 mg/disk. The observed inhibitory activity of the J. virginiana leaf-extracted materials against C. perfringens, E. coli, and S. mutans may be an indication of at least one of the pharmacological actions of the J. virginiana leaf.

피부사상균에 대한 편백정유의 Mono- 및 Sesquiterpene 항진균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fungal Activites of Monoterpenes and Sesquiterpenes in Essential Oil from Chamaecyparis obtusa against Dermatophytes)

  • 곽기섭;박미진;정의배;장제원;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3호
    • /
    • pp.46-55
    • /
    • 2006
  • 본 연구는 피부사상균에 항진균 활성을 보이는 편백정유에 대하여 이를 구성하고 있는 mono- 및 sesquiterpene 성분들 중 어떠한 성분들에 의해 항진균 활성이 나타나는지 탐색하고 성분들 간의 synergy 효과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고자 피부사상균인 Trichophyton mentagrophytes (KCTC6077), Microsporum canis (KCTC6591), Microsporum gypseum에 대하여 디스크확산법, 한천희석법을 이용하여 항진균 활성을 평가, 비교하였다.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편백정유를 7개(A, B, C, D, E, F, G)로 분획하고, 각각의 분획들에 대하여 한천희석법을 이용하여 T. mentagrophytes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실험한 결과, 분획 D, E, F, G의 항진균 활성이 높았다. GC/MS 분석을 실시하여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분획의 주성분을 확인하고 그 중 monoterpene인 borneol, linalool, ${\alpha}$-terpineol과, sesquiterpene인 ${\alpha}$-cedrol, nerolidol, ${\beta}$-eudesmol을 선택하였다. 단일 terpene의 항진균 활성 비교 시 monoterpene보다 sesquiterpene이 더 높은 활성을 보였다. 높은 활성을 보이는 sesquiterpene의 단일 및 혼합 성분들과 편백정유의 분획 중 항진균 활성이 높고 sesquiterpene의 함유량이 높은 분획 F의 비교 시, sesquiterpene의 조합 성분들이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냈다. 이는 sesquiterpene 성분들의 혼합에 의하여 항진균 활성의 synergy 효과가 발현됨을 의미하였다.

피부사상균 Microsporum canis 및 Trichophyton mentagrophytes에 대한 편백정유의 항진균활성물질 탐색 (Investigation of Active Antifungal Compounds of Essential Oil from Chamaecyparis obtusa Against Dermatophytes, Microsporum canis and Trichophyton Mentagrophytes)

  • 박미진;이수민;곽기섭;정의배;장제원;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3호통권131호
    • /
    • pp.72-78
    • /
    • 2005
  • 본 연구는 국내산 편백의 활용도를 높이고 편백정유의 식물성 의약품으로서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피부사상균인 Microsporum canis (KCTC6591), Trichophyton mentagrophytes (KCTC6077)에 대한 국내산 편백정유의 항진균활성을 평가하고, 활성분획의 주성분을 GC/MS로 확인하였다. 편백정유는 M. canis보다 T. mentagrophytes에 대한 항진균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한천 희석법에서 5,000 ppm 이상의 농도로 처리시 M. canis와 T. mentagrophytes 모두 균사 생장을 못하였다. TLC를 이용한 편백정유 분획에서는 B와 C부분에서 활성이 나타났으며 B와 C의 하부분획에서는 C-2가 강한 항진균 활성을 보였다. 항진균활성을 보이는 C-1의 주성분은 ${\alpha}$-terpineol이고, C-2의 주성분은 elemol, cedrol, eudesmol임을 GC/MS 분석에 의해 확인하였다.

국내산 주요 수종의 가구 및 목공예재 활용을 위한 특성 평가 (I) - 금강송과 소나무를 중심으로 - (Domestic Use of Wood for Furniture and Woodcraft Materials Characteristics Evaluation (I) - Focusing on Pinus densiflora and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Wood -)

  • 박병호;조원희;김남훈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6-44
    • /
    • 2014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sensible characteristic and physical characteristic to estimate value of the craft for Pinus densiflora and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wood. The sensual characteristics of wood are evaluated by wood figure, wood grain, odor,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by weathering, abrasion, surface roughness and hardness. The wood figure of these species were observed at flat grain in the radial section and edge grain in the tangential section. Also, burl's figure was observed in Burl of Pinus densiflora wood.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wood had volatile aroma compounds such as Camphene, Thymyl ether, ${\alpha}$-Longipinene, etc. Pinus densiflora wood had volatile aroma compounds such as ${\alpha}$-Longipinene, (+)-Cedrol, etc. The moisture soption, abrasion, hardness and roughness were very different between the two species.

  • PDF

Essential Oil Constituents of Swertia chirata Buch.-Ham.

  • Gyawali, Rajendra;Ryu, Keun-Young;Shim, Sung-Lye;Kim, Jun-Hyoung;Seo, Hye-Young;Han, Kyu-Jae;Kim, Kyong-Su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1권3호
    • /
    • pp.232-236
    • /
    • 2006
  • The essential oil of Swertia chirata Buch.-Ham. was extracted by solvent extraction (n-pentane:diethylether, 1:1) method using simultaneous distillation-extraction (SDE) apparatus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e yield of essential oil obtained from S. chirata was 236.47 mg/kg. Seventy seven compounds of the essential oil belonging to chemical classes of acid (4), alcohol (21), aldehyde (15), ester (3), furan (3), hydrocarbon (7), ketone (17) and miscellaneous (7) were tentatively identified.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ranged in content order were as follows: undecanoic acid (28.63%), 2-buten-2-one (20.42%), camphor (18.40%), 2-heptadecanone (14.72%), and cedrol (13.07%).

용매에 따른 향나무 부위 별 색소 추출물의 견직물에 대한 염색성 (Dyability of Silk Fabrics with Juniperus chinenesis Extracts by Solvents)

  • 이정순;남기연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2년도 제46차 학술발표회
    • /
    • pp.69-69
    • /
    • 2012
  • 지구상에는 약 40만 종의 식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중에 는 질병의 치료를 위한 약재로 이용되거나 나무는 대부분 목재 등으로 이용된다. 향나무(Juniperus chinenesis L.)는 항균성 및 방충성이 뛰어난 상록수로서 목재는 조각재나 가구재로 사용되고 민간 및 한의학에서 다양한 증상의 약재로 쓰이고 있으며 부패한 냄새를 제거할 목적이나 향재 및 향료로도 쓰이고 있다. 열매의 정유성분은 화장품, 술, 캔디 등에 사용되며 cedrol은 향료보류제, 유분은 훈향료, 목부는 고혈압, 곽란, 심복통, 통기파혈에 쓰인다. 향나무는 폴레페놀 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피톤치드가 많이 나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심재의 폴리페놀 화합물은 항암, 항균, 항알러지, 노화방지 및 심장질환 등을 예방하거나 지연시키는 등 광범위한 약리학적 활성을 나타내어 식품, 의약품, 화장품, 향료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향나무 추출물에 관한 연구로는 성분분석과 생리활성 등에 관한 의약학 분야의 다양한 연구와 항산화, 항균활성 등 약리작용에 연구가 최근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측백나무속에 속하는 나무들은 대부분 정유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특성으로 항균성 등 바이오 기능성 소재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향나무 추출물의 염색성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용매를 이용하여 향나무의 잎, 열매, 수피, 심재 각 부위 추출물을 이용하여 견직물에 대한 염색성을 살펴봄으로써 향나무 추출물을 활용한 천연염색과 염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증류수를 염액 용매로 염색한 결과 모든 추출물의 잎, 열매 염색포의 색상은 대부분 옅은 Y계열로 나타났으며 향나무의 수피와 심재 염색포는 대부분 적색기미가 강한 YR계열로 나타났다. 에탄올 혼합액을 염액 용매로 하여 염색한 결과 향나무의 잎과 열매의 색상은 대부분 Y계열의 색상을 나타냈고 유기용매 추출염색포에서 정유성분으로 추정되는 물질 때문에 균염이 어려웠으며 수피와 심재 염색포에서 대부분 R계열의 색상이 뚜렷이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