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thechi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6초

구증구포(九蒸九)에 의한 녹차의 제조 II. 관능적 품질특성 및 기호도 (The Sensory Charactateristics of Korean Green Tea Produced by Kujeungkupo′s Method)

  • 박금순;전정례;이선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475-482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epare green tea by traditional roasting process, Kujeungkupo, and to determine its sensory characteristics. The carotenoid content in green tea was increased by roasting and reached 1,317 mg/100 g by Kujeungkupo. Of all carotenoids, the contents of lutein and $\beta$-carotene were 1,170 mg/100 g and 111.1 mg/100 g, respectively. The total cathechin content in green tea was 14.57 g/100 g after 9th roasting. The more the number of roasting the little contents of cathechin in green teas. Of all cathechin, epigallocathechingallate was the highest(6.80g/100 g) followed by epicathechingallte and epicathechin. total cholrophyll content was 141 mg/100 g of green tea. The free sugar content in Kujeungkupo green tea wet 2.18 g/100 g, of which sucrose comprised 46% (1.01 g/100 g). The color value ($\Delta$E) of Kujeungkupo green tea was 16.25. In sensory evaluation, sweet taste was the highest in green tea roasted 3 times and the flavor was best in that roasted 5 times. The sweet and astringent tastes of green tea had negative relationships with a and b values. The content of cathechin in green tea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sweet taste an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stringent taste.

  • PDF

실거리나무의 성분 (Chemical constituents from the stem of Caesalpinia japonica)

  • 손순주;권용수;김창민
    • 생약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30-433
    • /
    • 2000
  • Five compounds have been isolated from the stem of Caesalpinia japonica. On the basis of spectral evidences, the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4',7-dihydroxyflavone, 3,4',7-trihydroxyflavone, cathechin, 3',4',7-trihydroxyflavone and 2',3,4',5,6,7-hexahydroxyflavone.

  • PDF

발효정도에 따른 국내산 야생차(녹차, 반발효차, 홍차)의 이화학적 특성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Wild Teas (Green tea, Semi-fermented tea, and Black tea) According to Degree of Fermentation)

  • 최옥자;최경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56-362
    • /
    • 2003
  • 녹차와 발효시 간을 각각 다르게 하여 제조한 약발효차(10시간 발효), 중발효차(17시간 발효), 강발효차(24시간 발효)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녹차 및 발효된 차의 수분 함량은 3.01 ~ 3.29%로 나타났고, 환원당 ,조지방, 조단백질 함랑은 발효를 많이 시킨 차일수록 증가한 반면, ascorbic acid는 감소하였다. 차의 유리당은 glucose, fructose, sucrose 등 3개의 당이 확인되었으며, 유리당의 총 함량은 녹차가 3.08%, 강발효차가 3.32%로 발효를 많이 시킨 차일수록 약간 증가하는 경 향을 나타냈다. 차의 유기산은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등 3개의 산이 확인되었고 citric acid와 malic acid 함량은 발효를 많이 시킨 차일수록 함량이 증가하는 반면, succinic acid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유기산의 총함량은 발효를 많이 시킨 차일수록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차에 함유된 유리 아미노산은 AsP 외 16종이 확인되었다. 유리 아미노산의 총함량은 발효를 많이 시킨 차일수록 증가하는 향을 나타내었다. 녹차와 각 발효차의 주요 아미노산은 Thr+theanine, Asp, Glu으로 나타났으며, 녹차는 Thr+theanine, Asp, Glu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발효차는 Thr+theanine, Glu, Asp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의 총함량에서 필수아미노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발효를 많이 시킨 차일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녹차에 함유된 theanine 함량은 1.21%였으며, 중발효차와 강발효차는 각각 1.42%, 1.50%로 녹차에 비하여 theanine 함량이 증가되었다. Caffein 함량은 비발효차인 녹차의 경우 3.57%, 발효된 차는 3.55~3.60%로 발효에 따른 변화는 거의 없었다. Cathechin은 5종류의 cathechin, epig-allocathechin, epicathechin, epigallocathechingallate, epicathechin gallate이 동정되었으며, 녹차의 카테친 함량이 14.18%로 높고, 발효를 많이 시킨 차일수록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구아바 가지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간세포 보호 효과 (Biological Activity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Guava Branch Extract)

  • 전아영;김나은;천원영;김영화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10-217
    • /
    • 2021
  • This study evaluated the biological activity and cytoprotective effect of guava (Psidium guajava L.) branch against oxidative stress. The contents of vitamin C, beta-carotene, total carotenoids, quercetin and catechin determined were 26.783, 43.676, 65.083, 58.245, and 8.309 mg/100 g, respectively. To measure antioxidant activity, the guava branch was extracted us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ethanol (60, 80, or 100%) and water. The highest content of polyphenols (0.245 mg gallic acid equivalent/mg residue) and flavonoids (0.128 mg cathechin equivalent/mg residue) was found in the 100% ethanol extract of the branch (E100). Moreover, E100 also possessed the high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showed the highest inhibition rate of α-glucosidase (77.692%). E100 was the most effective extract to impart cytoprotectant activity against oxidative stress in HepG2 cells. Taken together, our results determine the promising antioxidant activity of guava branch, and indicate the potential to be applied as a natural antioxidant.

오크라 씨 기름의 기능성 성분 함량 및 생리활성 평가 (Evaluation of Bioactive Compounds Cont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Okra Seeds Oils)

  • 서동연;전아영;신의철;이준수;황인국;김영화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92-399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s of bioactive compounds and the biological activity of okra seed oil. Okra seed oil consisted mainly of linoleic acid (44.2%). The content of total phytosterols was 2.180 mg/g oil, with β-sitosterol being the highest (1.756 mg/g oil). The vitamin E content was 1.278 mg/g oil; the content of α-tocopherol was higher than γ-tocopherol.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2.463 mg gallic acid equivalent/g and 1.602 mg cathechin equivalent/g, respectively. The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nd α-α-diphenyl-β-picryl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15.297% and 22.265%, respectively, and the reducing power was 4.524 mg gallic acid equivalent/g. The okra seed oil inhibited 77.692% of the α-glucosidase activity.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okra seed oil had a considerable amount of phytochemicals and exhibited biological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okra seed oil is a potential natural therapeutic for the management of metabolic syndromes.

시판 녹차, 홍차, 오룡차의 항산화 및 상승효과 (Antioxidant and Synergist Effect of Extract Isolated from Commercial Green, Oolong and Black Tea)

  • 이호선;손종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77-381
    • /
    • 2002
  • 시판 녹차, 오룡차 및 홍차에서 추출된 조카테킨 조성 및 이들 카테킨의 2성분 항산화시스템, 3성분 항산화 시스템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녹차, 오공차 및 홍차의 조카테킨의 수율은 각각 5.4%,3.5% 및 2.5%이 었다. EGC, EC, EGCg 및 ECg의 4개의 카테킨류가 확인되었으며, EGCg 성분이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녹차, 오룡차 및 홍차의 총 카테킨의 함량은 각각 926.3ug/g, 713.8ug/g 및 318.0ug/g이었다. 녹차, 오룡차 및 홍차 조카테킨 첨가구의 항산화 효과는 오룡차 > 녹차 > 홍차의 순이었다. 녹차, 오룡차 및 홍차 조카테킨(100ppm)에 $\alpha$-tocopherol(50ppm)을 첨가했을 때의 항산화효과는 녹차 > 오룡차 > 홍차 조카테킨 순으로 녹차에서 가장 강한 상승작용을 나타냈다. 녹차, 오룡차 및 홍차 카테킨(100ppm)에 $\alpha$-tocopherol(50ppm) 및 ascorbyl palmitate(50ppm)를 함께 첨가한 경우, 조카테킨(200 ppm)을 단독으로 첨가한 경우보다 항산화 효과가 강하였다.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여주(Momordica charantia Linn.)잎의 항산화 활성 및 간세포 보호능 (Antioxidant and Hepatoprotective Activities of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Linn.) Leaves against Oxidative Stress)

  • 전아영;천원영;윤지민;김대중;김영화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97-604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bioactive compound content an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Linn.) leaves. The content of vitamin C, beta-carotene, and total carotenoids was 69.77, 45.68, and 65.08 mg/100 g, respectively.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capacity, bitter melon leaves were extracted us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ethanol (60, 80, or 100%). Highest content of total polyphenols (18.07 mg gallic acid equivalent/g) and flavonoids (4.53 mg cathechin equivalent/g) was found in the 100% ethanolic extract of the leaves (E100). Also, the E100 extract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α-α-diphenyl-β-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Reducing power was also the highest (39.21 mg Trolox equivalent/g) in E100 extract. The E100 extract effectively inhibited lipid peroxidation by 91.45%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lso, the E100 extract showed a cytoprotective effect against oxidative stress in HepG2 cells and decreased the generation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itter melon leaves could be regarded as a potential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원적외선 처리가 포도씨의 기능성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r-Infrared Irradiation on Functional Components of Grape Seed)

  • 이지현;백지영;윤성란;권중호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8권
    • /
    • pp.53-62
    • /
    • 2010
  • 원적외선 조사가 포도씨 기능성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가열출력(0, 900, 1800 W) 및 가열시간(0, 20, 40 min)을 달리하여 원적외선 조사 후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포도씨 추출물을 제조하고 기능성분으로서 가용성 고형분, 기계적 색도, 카테킨, 총 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각각 측정하였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 및 백색도 및 적색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Cathechin류는 가열시간에 따라 catechin, procyanidin $B_2$, epicatechin 함량의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총 catechin 함량은 총 카테킨 함량은 900 W 및 20분 처리 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페놀성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가열출력 900W 및 가열시간 20분 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에 따라 전자공여능도 가열출력 900 W 및 가열시간 20분 일 때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원적외선 처리에 의해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됨을 볼 수 있었으며, 특히 cathechin류의 변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로 인해 항산화능도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포도씨의 원적외선 가열처리 최적조건을 설정하고자 가열출력 및 가열시간을 달리하여 중심합성실험계획으로 반응표면분석한 결과 가열출력 621.82~818.18 W, 가열시간 16.3~19.83 min의 범위가 최적 가열조건범위로 설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