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tegorical effect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3초

음악중재가 아동 및 청소년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Music Intervention on the Anxiet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 배익렬;김민웅
    • 스트레스연구
    • /
    • 제25권2호
    • /
    • pp.86-9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음악중재가 아동 및 청소년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때 연구 대상 논문은 음악중재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선행연구이며, 최종적으로 학술지 5편, 학위논문 28편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의 출판 편향은 Funnel plot과 Fail-safe N 계수를 활용하여 확인하였으며, 분석 결과 출판 편향이 연구에 영향을 줄 만큼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질성 검증을 실시한 결과 효과크기는 이질 하였고 이에 랜덤효과 모형으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 효과크기는 -1.034이었다. 또한 범주형 변인에 따른 효과 차이 분석 결과는 대상 구분(Classification), 중재 장소(Intervention location)에 따라 유의하였으며, 연속형 변인에 따른 분석 결과도 규모(Size)에 따라 유의하였다.

중·고등학생 대상 아두이노 활용 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The Meta-Analysis on Effects of Arduino-Based Education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 장봉석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61-65
    • /
    • 2021
  • 이 연구는 중학생과 고등학생 대상 아두이노 활용 교육의 효과를 메타분석으로 정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분석을 위해 선행 학술지와 학위 논문 10편을 선정하였으며, 전체 효과크기와 범주형 변수에 대한 효과크기를 계산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생 대상 아두이노 활용 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 0.537로 나타났다. 둘째, 종속변인 유형의 효과크기는 정의적 영역 0.849, 인지적 영역 0.479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급의 효과크기는 중학교 0.796, 고등학교 0.474로 나타났다. 넷째, 교과 유형의 효과크기는 음악 1.255, 과학 0.562, 기술 0.443, 정보 0.429로 나타났다. 다섯째, 프로그램 유형의 효과크기는 그래픽 기반 0.543, 텍스트 기반 0.376으로 나타났다.

Effect of Bias on the Pearson Chi-squared Test for Two Population Homogeneity Test

  • Heo, Sunyeong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241-245
    • /
    • 2012
  • Categorical data collected based on complex sample design is not proper for the standard Pearson multinomial-based chi-squared test because the observations are not independent and identically distributed. This study investigates effects of bias of point estimator of population proportion and its variance estimator to the standard Pearson chi-squared test statistics when the sample is collected based on complex sampling schem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under two population homogeneity test. The standard Pearson test statistic can be partition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is the weighted sum of ${\chi}^2_1$ with eigenvalues of design matrix as their weights, and the additional second part which is added due to the biases of the point estimator and its variance estimator. Our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even though the bias of point estimator is small, Pearson test statistic is very much inflated due to underestimate the variance of point estimator. In the connection of design-based variance estimator and its design matrix, the bigger the average of eigenvalues of design matrix is, the larger relative size of which the first component part to Pearson test statistic is taking.

엑셀 VBA을 이용한 가변수 회귀모형 교육도구 개발 (An educational tool for regression models with dummy variables using Excel VBA)

  • 최현석;박철용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3호
    • /
    • pp.593-601
    • /
    • 2013
  • 회귀모형에서 범주형 변수를 독립변수로 포함시켜야 할 경우가 발생한다. 회귀모형의 범주형 변수는 가변수를 통해 수량화된다. 이 연구에서는 하나의 양적 독립변수와 하나 혹은 두 개의 범주형 독립변수를 가지는 회귀모형에 대해 가설검정 결과와 함께 회귀직선을 보여주는 교육용 도구를 엑셀 VBA (Visual Basic for application)를 통해서 구현한다. 가설검정 결과와 회귀직선은 교호작용이 포함된 모형, 교호작용이 없는 모형 및 가변수가 없는 모형에 대해 단계별로 제공된다. 이 교육도구를 통해 가변수와 교호작용의 의미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나아가 어떤 모형이 주어진 자료에 가장 적합한지 그림을 통해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황변수의 조절효과 차이에 관한 연구 (SPSS와 AMOS프로그램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Different Moderation Effect of Contingency Variable (Focused on SPSS statistics and AOMS program))

  • 최창호;유연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89-98
    • /
    • 2017
  • 본 연구는 인과관계 분석에서 주로 활용되는 SPSS statistics(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모델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중 하나인 AMOS 프로그램을 각각 활용하여 동일한 데이터에 대하여 조절효과 검정을 위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SPSS statistics을 활용한 회귀분석에서 상황변수가 범주형데이터인 성별과 연속형데이터인 컨설팅만족도 모두에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AMOS 프로그램을 활용한 구조방정식모델에서는 10% 유의수준에서 컨설턴트의 능력 및 태도가 컨설팅재구매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컨설팅만족도가 부분적으로 조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조절효과 분석은 AMOS 프로그램을 활용한 구조방정식모델과 SPSS statistics을 활용한 회귀분석모델이 전혀 다른 접근방법을 사용하고 있어 얼마든지 상이한 결과가 나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잠재범주분석을 이용한 원인적 영향력 추론에 관한 연구 (Estimating Average Causal Effect in Latent Class Analysis)

  • 박가영;정환
    • 응용통계연구
    • /
    • 제27권7호
    • /
    • pp.1077-1095
    • /
    • 2014
  • 관찰연구를 이용하여 인과관계를 추론할 경우 무작위 통제시험과는 달리 교란변수로 인한 편향을 제어하기 위한 통계적 전략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성향점수(propensity score) 를 이용한 짝짓기나 원인변수의 역확률을 가중치로 사용하는 주변구조모형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과관계 추론은 처치(treatment)가 명확히 주어진 경우에 교란변수를 통제하고 그 처치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방법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하지만 기존의 방법의 경우 원인변수인 처치가 직접관측이 가능한 범주형 변수이고 결과변수 또한 직접관측이 가능한 변수인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는 한계를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인변수인 처치와 결과변수의 결괏값의 직접적인 관측이 어려운 경우, 측정오차를 고려한 잠재범주모형(latent class analysis)의 변수로 모형화 함으로써 잠재범주 간의 원인적 영향력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미국의 The N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Adolescent Health 자료를 이용하여, 약물사용의 잠재범주에 대한 청소년기의 비행(delinquency)이라는 잠재범주의 원인적 영향력을 추정하였다.

거울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메타분석 (Effects of Mirror Therapy on Motor Recovery Following a Stroke: A Meta-Analysis)

  • 이희원;전혜선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48-58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irror therapy on motor function recovery following a stroke through a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In total, nine of the 48 studies were identified from search engines between 1997 and 2011, as well as from a review of the reference lists of each identified study. The quality of each study was assessed using Jadad scale, and the effect size was calculated as a Cohen's effect size using MetaAnalyst (Beta 3.13).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mirror therapy was 2.005 (95% confidence interval=1.041~2.970) in a random-effects model. This finding suggests that mirror therapy is beneficial for improving motor function following a stroke. The results from the subgroup analysis according to categorical variables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size was larger for an onset time of less than 1 year (1.166) than for a duration of 1 year or more (.668). Second, the effect size of unpublished dissertations (1.610) was larger than published articles (1.221). Third, motor recovery of upper extremities (1.609) had a greater effect than motor recovery of lower extremities (.903). The major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e relatively small study population. Therefore, further individual studies of mirror therapy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o generalize the effects. In addition, mirror therapy supervised by a physical therapist should be recognized as a potential approach to manage motor function following a stroke and recommended to patients to improve their motor function.

초등학생 대상 파이썬(Python) 활용 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The Meta-Analysis on Effects of Education of Pyth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윤소희;장봉석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97-101
    • /
    • 2020
  • 이 연구는 초등학생 대상 파이썬 활용 교육의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를 위해 파이썬을 활용하여 교육을 실시한 후 효과에 관해 보고한 선행연구 논문 5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전체 효과크기는 무엇인가? 출판 여부, 종속변인 유형 등의 범주형 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는 무엇인가? 학년, 운영기간 등의 연속형 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는 무엇인가? 연구 결과로써 파이썬 활용 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 중간 효과인 .598로 나타났다. 범주형 변수에 따라, 출판된 연구물의 효과크기가 학위 논문보다, 정의적 영역의 효과크기가 학업성취도, 인지적 영역 보다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회귀분석 결과 교육 운영기간이 길수록, 프로그램 운영시간이 클수록 더 큰 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논의 및 정의적 영역에 대한 질적 탐색, 프로그램 특징을 고려한 운영 등을 중심으로 제언을 제시하였다.

가상현실기반 재활프로그램이 뇌졸중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 국내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 Based Rehabilitation Program on Balance of Patient with Stroke: A Meta-analysis of Studies in Korea)

  • 노정석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9-68
    • /
    • 2017
  • Purpose : 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ith meta-analys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 based rehabilitation program on balance of patient with stroke in Korean studies. Method : The studies for analysis were searched in electronic databases(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KISS, DBpia, e-articles, National Assembly Library). The key words for search were 'virtual reality', 'stroke', and 'balance' and only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d clinical controlled trials were included. Of 40 studies identified in the search, 20 studies met the criteria of this study and included in this meta-analysis. Result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overall effect size of virtual reality based rehabilitation program was 0.557(95% critical interval; 0.340~0.774). 2) In the analysis of sub-categorical variables, effect size was as follows; the commercial game type(0.621) > virtual environment type(0.335); the dynamic balance measurement(0.750) > static balance measurement(0.226); randomized controlled trial(0.653) > clinical controlled trial(0.275); and thesis type(0.706) > article of journal type(0.339). 3) In the analysis of sub-continuous variables, as time of program(per session) increased, the balance increased(p<0.05).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virtual reality based rehabilitation program moderately improves the balance of stroke patient. Further studies are recomm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b-variables related to virtual reality programs on motor functions of patient with stroke.

  • PDF

Pitch Accent Realization in North Kyungsang Korean: Tonal Alignment as a Function of Nasal Position in Syllables

  • Sohn, Hyang-Sook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3권2호
    • /
    • pp.37-52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s patterns of the alignment of the accentual peaks in bisyllabic words of the CVNCV, CVNV, and CVNNV structures in North Kyungsang Korean. Based on the tonal alignment, patterns of the F0 pitch excursion are discussed relative to one another. Issues are addressed concerning how the tonal targets are aligned, and how the tonal specifications of nasals in postvocalic, intervocalic, and prevocalic environments are supplied in the LH, HL, and HH classes. Tonal specification of nasals in various environments is accounted for by extension of the L target, displacement of the pitch peak, and interpolation between two tonal targets, depending on the tonal class. The results in this study provide preliminary evidence that the categorical alignment of the tonal targets is implemented by simply check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nasal before or after the nucleus vowel on the segmental string, without reference to the constituency of the nasal in the syllable structure. However, the prosodic structure has a key role to play in explaining speaker-dependent variations in the tonal alignment. Sensitivity to tautosyllabicity has an effect on the shape of the F0 contour, and disparity in the patterns of the pitch excursion is represented as a function of syllable structure correlated with segmental composition of the nas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