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related continuous learning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4초

지속경력학습의 선행 및 결과변인과 매개효과 (Antecedents and Outcome Variable and Mediating Effects of Continuous-Related Career Learning)

  • 지성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64-578
    • /
    • 2015
  • 본 연구는 지속경력학습 선행변인(개인-직무적합성, 인적자본투자)과 결과변인(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인과관계 규명과 개인-직무적합성, 인적자본투자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지속경력학습 매개효과를 규명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료는 울산지역 자동차 및 제주지역 공기업 종사자 241명으로부터 수집되었으며, 동일방법편의 대안으로 측정환경 분리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개인-직무적합성과 인적자본투자가 지속경력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둘째, 지속경력학습인 주관적 경력성공을 촉진하는 주요원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셋째, 지속경력학습은 개인-직무적합성 및 인적자본투자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를 각각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직무 및 조직차원변인을 활용하여 지속경력학습의 선행변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지속경력학습의 연구범위 확대에 기여하고 있으며, 주관적 경력성공 연구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을 촉발하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지속 경력학습의 매개효과 규명을 통해 개인의 경력개선 과정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있다.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적 능력, 심리적 자본, 지속경력학습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fessional Capability, Psychological Capital and Career-Related Continuous Learning on the Job Performance among Practitioners of Child Welfare Centers)

  • 문영주;김주현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1호
    • /
    • pp.113-141
    • /
    • 2017
  • 지역아동센터는 지역사회 최일선에서 아동을 보호할 뿐 아니라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연계를 통해 아동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사회 방과 후 돌봄의 중심기관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이제 지역아동센터가 양적으로 성장하면서 질적 체계적 전문적으로 운영하도록 요구받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적 능력, 심리적 자본, 지속경력학습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6년 3월 2일부터 3월 25일까지 부산 경남의 지역아동센터 총 460개소에 근무하는 시설장과 실무자를 대상으로 우편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회수된 설문 가운데 성실히 응답한 550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수행에는 심리적 자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시설장 집단에서는 전문적 능력을 갖출수록 직무수행도가 높아지지만 생활복지사 집단에서는 전문적 능력이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수행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심리적 자본을 확충하는 것이 가장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아동센터의 조직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자유학기제 운영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인식 분석 (A Study on Home Economics Teachers' Perception in Free Learning Semester)

  • 김성숙;김정현;정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1-124
    • /
    • 2017
  •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가 전면 시행된 시점에 중학교 가정과 교사들의 자유학기제에 대한 인식과 이해 정도를 알아봄으로써 향후 자유학기제가 학교교육과정에서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방안 및 가정과 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탐색해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조사대상 중학교 가정과교사들은 자유학기제가 운영되는 목적으로 학생의 진로탐색 및 1차적 진로 의사결정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생 참여 중심 수업방법을 핵심과제로 하여 꿈과 끼를 탐색하는 교육 방향으로 운영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자유학기제의 도입취지나 목적에 대한 이해도도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자유학기제를 운영하기 위한 자료나 정보를 취득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지역사회 기관과의 연계활동도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학교 교사들은 자유학기제 운영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일반학교 교사들의 경우 자유학기제 관련 교사연수의 경험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수 경험이 없는 연구학교와 일반학교 교사 모두 자유학기제 관련 내용의 연수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자유학기제에 대한 가정과교사의 역할로는 생애설계적 관점에서 진로교육을 지도하고 학생들이 자신의 생애를 자기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중학교 시기는 자아, 소질, 기회 등을 탐색하며 여러 가지 실질적인 경험을 통해 자신의 적성이 무엇인지 탐색해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따라서 자유학기를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꿈과 끼를 찾을 수 있고, 여러 가지 다양한 길에 대하여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앞으로 가정 교과를 통해 생애설계적인 진로계획을 수립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인생을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들은 자유학기가 한 학기의 이벤트성 운영으로 끝나지 않기 위해서 일반학기에도 교과를 통한 진로교육 수업으로 연계성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교육과정별 간호학생의 학습유형과 간호분야 선호에 관한 일 연구 (Learning Styles and Preferred Nursing Specialties of Nursing Students)

  • 이명옥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4-7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learning styles, learning stages, and preferred nursing specialties between two groups of nursing programs, regular BSN and RN-BSN. The survey instrument was a simplified version of the Kolb's Learning-Style Instrument which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 self- reported learning style questionnaire with twelve questions related to the four learning stages. The sample of the study was the 218 nursing students in a university in Korea which consisted of 58 junior and 67 senior students in the regular BSN program, and 58 junior and 35 senior students in the RN-BSN program.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the following. 1) Over all, the major learning style was either the diverger or the accomodator; the most preferred learning stage was the concrete experience and the leastly preferred learning stage was the abstractive conceptualization learning stage; and the most preferred nursing specialty in the future was the clinical nursing. 2) Students in the BSN program preferred four learning stages with rather equal proportion, whereas the students in the RN-BSN program preferred the concrete experience learning stage as high as 60.3% and the abstractive conceptualization learning stage as low as 9.5%. 3)For the future career, the junior students of both programs preferred clinical and educational nursing areas, and the senior students of both programs preferred clinical and research areas. The main reason of the difference seemed to result from the different courses such as Health Education or Teaching Method for the juniors and the Nursing Research for the seniors of both groups. Because the sampl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a university,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study results for the entire nursing students in Korea. Continuous studies with larger numbers of nursing students and nurse educators, and experimental studies measuring the effects of new curricula are needed for the future.

  • PDF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담당자의 직무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Analysis of Perceived Job Training and Educational Needs for the Public Health Promotion Program Personnel)

  • 오영아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3-105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is for understanding the perceived job training of the public health promotion program officials and analysis the educational needs in order to serve a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future educational programs. Methods: To this end, we have developed a survey based on references and consultations with experts. We had explained the purpose and the intent of the survey to nationwide public health directors in advance and an onlin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health promotion program and service providing personnel; the results from a total of 763 survey respondent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Win 21.0. Results: The results shows that the tasks of public health promotion personnel are 'business practices,' 'planning and evaluation related work' and so on in order of importance while the duties of service providing personnel are 'counseling,' 'education' and so on. One of the factors affecting field applications of education is 'awareness of the connection between education and career development' which accounts for 33% of explanatory power; the selected six other factors constitute 41.7%. Necessary educational contents for public officials are 'public health service planning,' 'report writing skills' and 'project evaluation methods.' On the other hand, for service providers, the contents are 'counseling methods,'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monitoring health status' and so on. Conclusions: In order for trained service personnel to accord with the changed health promotion environment and the demand of local residents, Public Health Promotion officials should increase educational opportunities based on the competencies for each job, provide continuous learning opportunities and information even after the training, and finally, create a system that can link to career development.

수술실 간호사의 경력개발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Clinical Ladder System for Operating Room Nurses)

  • 김희영;장금성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01-314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a methodological research conducted to develop a clinical ladder system for operating nurses. Methods: Participants were 20 OR nurses, working in C Hospital, who had a mean tenure of 6 years and 10 months. Data collection consisted of 4 focus group interviews during May and June 2009. The content analysis method of Kim and Lee (1986)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wo clinical expert groups consisting of 16 nurses verifi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preliminary system from September 16 to 26, 2009 using Kim's tool (1999). Results: The final clinical ladder system consisted of goals, core values, and 4 domains of practice related to core values, which were defined as professional value, perioperative nursing practice, education/research, and collaboration/leadership. Eleven nursing competencies and 44 behavior indicators were included in accordance with the 4-step ladder. The 4 operation systems for the clinical ladder system were the promotion system, continuous learning system, reward system, and support system.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nursing managers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developing a clinical ladder system for nurses.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이 R&E 참여 과정에서 드러내는 과학적 실행 및 인식 변화 -실행공동체 내에서의 합법적 주변 참여의 관점에서-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Shift in Scientific Practice and Perception Through the R&E Participation: on the Perspective of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of Practice)

  • 이민주;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71-387
    • /
    • 2016
  • 과학자 바로 곁에서 경험하는 진정한 연구에의 참여는 학습자의 과학에 대한 이해와 과학적 실행을 증진시키는 교육적 접근의 하나로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되는 R&E 활동 참여를 통해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은 과연 무엇을 얻을 수 있으며, 어떠한 인식 및 과학적 실행의 변화를 겪게 되는지에 대해 R&E 팀이라고 하는 실행공동체 내에서의 합법적 주변 참여의 관점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R&E 활동에 참여한 과학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18개월에 걸친 참여 관찰을 실시하였으며, 근거이론에 기반한 지속적 비교분석법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범주화하고, 관련된 요인들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R&E 연구팀이라고 하는 실행 공동체의 초심자로 출발하여 이행기의 참여를 거쳐 점차 완전한 참여자로 이행하는 가운데 과학에 대한, 과학자 및 과학자 공동체에 대한, 그리고 자신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연구 역량을 증진시키며, 과학자의 그것에 근접한 실행을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특히 장기간에 걸친 진정한 연구 참여를 통해 연구 활동의 본성, 과학자 및 과학자 사회의 실질적인 모습을 인식할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보다 진지한 진로에의 탐색, 역량있는 과학 학생 및 초보적이지만 연구자로서의 정체성 발달을 보였다. R&E 공동체 내에서의 학습자 참여를 통해 학생의 과학적 실행, 인식 변화 및 정체성 발달의 동적인 과정을 심층적으로 조명한 본 연구의 결과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연구 중심 교육과정의 설계와 운영에 실질적인 단초를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을 통한 대학 입시 방향 연구: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Direction of College Admiss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Focused on In-depth Interview with Experts)

  • 백민경;백광호;이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422-434
    • /
    • 2020
  •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여, 대학에서 강화 혹은 반영해야 할 전형 유형에 대한 분석과 입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5명의 교육과정 전문가를 대상으로 운영 실태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심층 인터뷰 결과, 고교 생활의 내면을 들여다볼 수 있는 전형 도입과 명료한 입학전형 설계가 필요하며, 학생 선발 지표의 구체적인 기준 마련, 학습 활동과 관련된 심층 면접 확대, 평가역량 강화, 평가인력 충원 등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 활성화를 위해 학생부 종합 전형과 교과 전형을 확대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얼마나 다양한 과목, 진로에 적합한 과목들을 내실 있게 수강했는지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지속적이고 적극적 역할 수행을 파악할 수 있는 대학만의 평가요소 및 평가 기준을 추출하고, 이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전형 설계가 요구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공교육 활성화를 위한 대입 전형 정착에 기여함과 동시에, 대학에서 원하는 인재 선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관계성 향상을 위한 기독 청년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Christian Youth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Relationship)

  • 박은혜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1권
    • /
    • pp.121-15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시기의 주요 발달과제인 관계성 형성 및 향상을 위해 청년기와 관계성에 대해 발달심리학적, 대학교육, 신앙 및 영성적 측면에서 정리하고, 기독 청년교육 방안을 교육의 요소별로 제시하고자 함이다. 관계성은 다른 사람과 공동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관심을 주고 받는다는 느낌을 가지며, 유대감과 소속감을 느끼며, 안정적이고 만족스러운 관계를 유지하고 있을 때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기술 또는 기교가 아니라 삶의 태도와 가치와 관련된 것으로 지속적인 배움과 훈련이 필요하다. 청년기의 여러 발달과제들은 관계적인 측면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관계성은 청년 초기 대학생활의 만족도, 대학생활 적응, 인성, 진로결정 등의 청년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인간의 실존과 신앙은 관계를 통해 규정되고 형성되기 때문에 신앙적인 측면에서도 관계는 매우 중요하다. 삶의 의미와 내면적인 성장을 위한 영성 발달도 공동체와 타인과의 관계가 중요하게 작용한다. 학습자 및 교육환경 측면에서 관계에 대한 욕구를 가진 학습자 이해, 관계성 욕구 충족에 있어서 방해요인을 이해하기 위해 그들이 살아가고 있는 세대 이해, 그리고 청년들의 관계성이 일어나는 교육환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교사 측면에서는 촉진자, 안내자, 관리자, 멘토 등의 역할로의 변화를 제안하였다. 교육목적 및 내용 측면에서는 관계를 위한 가르침이 궁극적 목적이 되어야 하고, 이를 위한 교육내용을 세 가지 관계의 유형과 각 유형에서 다루어야 할 주요 내용을 제시하였다. 교육방법 측면에서는 상호작용을 일으키기 위한 소통과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학습자 중심의 집단학습 방법을 관계의 내용과 인지적, 정서적, 행위적 차원에 따라, 다른 교육의 요소들을 고려하여 선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교육의 결과 및 평가 측면에서는 교육계획 단계 시 고려했던 것들이 실제 교육에 효과적으로 수행되었는지 확인, 다양한 평가 방법과 다각적인 측면의 평가, 평가 결과의 구체적 적용을 위한 정리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