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women

검색결과 467건 처리시간 0.026초

네팔의 공업교육과 직업훈련의 쟁점 및 과제 (Issues and Challenges of Technical Educ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TEVT) in Nepal)

  • 쿨 바스넷;은태욱;김진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79-395
    • /
    • 2009
  • 네팔 국민의 30% 이상은 빈곤 수준 이하로 살고 있다. 15-24살 젊은이의 실직과 불완전고용 비율은 매우 높다. 일반적으로 국민들은 진로를 위한 기능 습득을 단념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빈곤자, 여성, 불우한 사람들은 기능 훈련의 접근이 제한적이며, 기능 훈련의 질은 가변적이며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좀 더 관련 있고 시장 중심의 훈련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공업교육과 직업훈련 영역의 강화가 필수적이다. 공업 분야의 기능화된 인력과 실직 문제의 국가적인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하여, 정부는 지난 20여 년 동안 공업교육과 직업훈련을 제도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진행해 왔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초기에 TEVT 영역의 잘못된 조직과 관리, 훈련 프로그램과 노동 시장 요구의 적절한 연계성 부족, 적합한 기자재와 수업 자료의 부족 및 불충분하게 훈련된 교사들 때문에 대부분 혼란스런 결과를 낳았다. 네팔의 TEVT 영역의 선도적인 기관으로서 공업교육훈련원(CTEVT)이 사회적으로 무시되고 제한된 서민 수준에서의 빈곤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공공사회 기반의 직업 훈련에 집중해야만 한다. 이것이 바로 CTEVT와 TEVT 전문가들을 위한 기회일 뿐만 아니라 커다란 도전이다.

민간경비원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security Guard, Job Form Environment, Job Form Satisfaction)

  • 박준석;최현식;김경태;김상균
    • 시큐리티연구
    • /
    • 제13호
    • /
    • pp.193-206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민간경비원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cdot}$경기지역의 사설 경비업체에서 근무하는 민간경비원으로서 남자 160명, 여자 50명으로 총 210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설문지로서 직무만족도는 Smith 등(1969)에 의해 개발된 JDI(Job Descriptive Index)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안한 박진희(1994)와 이동엽(2003)의 질문지를 연구자가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cdot}$보완하여 사용하였고, 그 하위요인은 직무자체, 급여, 승진, 이직, 상사이며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통계분석 기법은 일원변량분석이었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에 따른 자료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자’ 집단이 높고, 결혼유무에 따라서는 ‘미혼’ 집단이 높고, 연령에 따라서는 ‘36-40세’ 집단이 높고, 학력은 ‘대학원이상’ 집단이 높고 월소득은 ‘300만원 이상’ 집단이 높다. 둘째, 민간경비원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근무경력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16-20년’ 집단 높고, 직위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일반사원’ 집단이 높고, 운동 주 종목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합기도’ 집단이 높고, 직무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 ‘일반관리’ 집단과 ‘경호’ 집단이 높다.

  • PDF

공중보건분야 치과위생사의 직무교육 인식도 (Awareness of dental hygienists about on-the-job training in public health sector)

  • 조은별;황윤숙;김영남;박덕영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5-9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dental hygienists about on-the-job training in public health sector in an effort to stir up their on-the-job training(OJT) and to facilitate the planning of successful educational programs. A survey was conducted nationwide for two months in October and November 2006, and the answer sheets from 811 dental hygienist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40.7 percent of the dental hygienists investigated never underwent OJT geared toward public officials, which wasn't linked to oral health. 2. As for the experiences of professional oral health education(or OJT) as members of local public dental clinics by service term, 64.9 percent of the dental hygienists who had worked for less than 10 years never received that kind of education, and 70.5 percent of those with a 15-year or more career received that education just once(p<0.05). The dental hygienists who received that education viewed it favorably, as they found that to be conducive to their job performance. In the event of those who didn't receive that education, a lack of chance to do that was the most common reason. 3. In regard to motivation of receiving professional oral health education(or OJT), the largest rate of the dental hygienists who stood at 71.9 percent received that education voluntarily in pursuit of self-development and better job performance. The training programs provided by the oral health division of the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were excluded in this study. As to educational spending by the dental hygienists or their employers over the past two years, 56.9 percent paid 100 thousand to less than 500 thousand won. 46.6 percent never paid for that, and about 15.5 percent received education at their own expenses. Concerning the form of OJT, lectures were provided to 50.3 percent. 4. The dental hygienists who worked in local public health clinics hoped for more intensive and better education and training related to oral health projects.

  • PDF

의료소비자의 특성별 치과의료기관 선택기준에 관한 분석 (Analysis of Selection Criteria of Consumers for Dental Clinic)

  • 배미란;전진호;이정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71-27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H치과병원에 내원하고 있는 18세 이상의 환자 15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여 의료소비자의 치과진료기관 선택기준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병원경영 및 이미지 향상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성별 의료기관 선택 기준별 중요도 교차분석에서 청결위생(78.1%), 시설장비(60.9%), 경력입소문(57.6%), 의료진 친절(57.6%), 이용 편리성(32.5%), 기관 규모(22.5%)의 순으로 나타났고, 평균비교에서도 청결위생, 진료진 친절, 시설, 장비, 경력, 입소문 순으로 교차분석과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연구대상자가 의료기관 선택 시 최우선적으로 고려하는 부분은 통증처치(31.8%), 감염관리(30.5%), 진료비(29.8%), 진료시간(7.9%)의 순이었다. 성별로 최우선적으로 고려하는 부분은 남자는 통증처치(39.2%), 여자는 진료비(39.1%)가 가장 많았다(p<0.001). 의료소비자의 치과의료기관 선택 시 청결위생상태 및 감염관리를 비중있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의료소비자의 의료기관 재 이용의사에도 어느 정도 영향을 주고 있으므로 이에 부응하기 위해 의료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치과의료진의 청결위생과 감염관리의 인식과 실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실습선 승선기간에 의한 승선 집단별 피로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tigue Analysis by the Boarding Period on Training Ship)

  • 김승연;박유진;이윤석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0-166
    • /
    • 2016
  • 승무원의 피로는 해양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해양사고 원인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인적오류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강구되고 있으나 인적요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승무원의 피로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교원 학생 직원, 그리고 남성 여성과 같이 다양한 승선경력 및 업무 형태를 가지고 있는 실습선 한바다호 승무원 128명을 대상으로 87일간의 해양실크로드 항해탐험 동안 이들의 피로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승선기간에 따른 승무원의 피로도 변화는 설문조사와 간호사의 개별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고, 수집된 데이터는 정량적인 통계 처리를 실시하여 피로도 요인으로 분류한 후, 승선 집단별로 피로도 요인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승무원의 피로도 요인은 정신적 피로도, 생리적 피로도, 신체적 피로도로 분류되었고, 승선기간에 따른 직위별, 성별 피로도 변화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직위별로는 교수 부원 집단이 학생 집단보다 정신적, 신체적 피로도를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로는 여성 승무원이 남성 승무원에 비해 신체적 피로도를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 환경 인식과 사고 경험에 따른 외식산업 주방 종사원의 안전사고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ccident of Kitchen Food Service Industry Employees in Accordance with the Safety and Environment Awareness and Accident Experience)

  • 오석태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5-10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외식산업 주방에서 안전 매뉴얼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외식산업 주방에서의 사고는 87.2%의 매우 높은 사고경험을 가지고 있다. 사고의 유형별로는 칼로 인한 베임(84.7%)이 가장 많았으며 그 뒤를 이어 뜨거운 불과 물, 기름 등에 의한 화상인 데임(74.4%)과 넘어짐(28.1%)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대한 주방안전환경에 대한 인식과 개인의 주방안전 이행 정도에서는 남녀간 유의적 차이를 보임으로써 남성이 여성보다 사고 확률이 높다고 볼 수 있다. 근무연수에서 보여주는 주방안전과 안전이행정도는 1~3년차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나지만, 7~10년이 되면 가장 낮은 것으로 보여지는 것은 환경에 익숙해지면서 위험도에 둔감해지는 시기로 볼 수 있어, 년수가 지날수록 위험에 대한 환기를 시켜 안전수칙 이행도를 높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순환적 구조에서 예방과 사고처리, 사후처리과정을 보다 전문적인 관점에서 심도 있게 검토하여 외식주방의 안전을 지키는 매뉴얼로 제시하는 바이며, 이를 기본으로 하여 각 외식주방별 환경에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하여, 향후 사고 예방과 대처에 필요한 매뉴얼을 개발, 배치할 수 있는 방안을 향후 과제로 제언하는 바이다.

가정학 전공자의 취업과 전망 (A Study of Current Employment and Future Trends for Young Home Economists)

  • 문수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85-102
    • /
    • 1982
  • The current employment status among young home economists and perspectives in occupations for prospective Home Economics graduates were explored in this study which utilized information from 17 to 21 colleges in Korea and colleges in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five years of 1977∼1981. The Home Economics content areas covered in this study were Clothing and Textiles, Foods and Nutrition, Housing and Interior Design, and Child Development and Family Life. The highest percentage of Korean graduates in Clothing and Textiles was employed either as teachers at the junior high school level or as designers in the clothing and textile industries. Quite a number of the graduates were engaged in further studies at the graduate level. Korean graduates with a master's degree were teaching at the college level and some had furthered their studies at the doctorate level either here or abroad. Koreans with a bachelor's degree in Foods and Nutrition held jobs as teachers in junior high school, dieticians at mass feeding institutions and hospitals, food scientists in food industries, and researchers in institutions. Those with a master's degree were teaching at the college level. Americans with a bachelor's degree worked as dieticians, supervisors in restaurants and institutions, extension workers, researchers at various facilities, teachers and clerks. Americans with a master's or doctorate degree were engaged in teaching at colleges or supervising at research or working as extension specialists. In general, Korean graduates were found to hold positions in less varied areas than their American counter-parts. Among forty-nine graduates those working in their professional field reported less sex discrimination that those working in other fields. The major area of employment in Housing and Interior Design or Home Management graduates in Korea was teaching while in the United States it was extension work, business, governmental work and teaching. It was suggested that in the future, career development in Korea be further explored to include extension service, research, social welfare, financial planning, business, free-lancing, funeral home, home-call, and correctional education. Interviews with executives from 6 business enterprises indicated that most of them were aware of the potential contribution home economists could make for their companies but they expressed a negative attitude towards women in general due to their short stay on the job. Jobs held by Child Development and Family Life majors with a bachelor's degree in Korea were mostly teaching positions in public,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However, jobs such as nursery school teaching, working in clinical setting, business, and teaching at public,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predominated in the United states. Most Korean graduates with a master's degree were teaching in professional colleges while in the United Stated the job variation among the graduates was rather evenly distributed among teaching at college level, public and high school, nursery school and administration areas. Reports from 7 child development majors on the job indicated that they were paid less that secretarial workers. Only half of them were working in their major area and these expressed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Two thirds of the respondents indicated no sex discrimination. It was suggested that in the future Child Development and Family Life majors pursue employment in counseling, guidance, recreation, mass media, administration and outreach work as well as education, research and parent education in services for children, teen-agers, adults and families.

  • PDF

공무원들의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 및 준비정도 (Degree of Recognition and Preparation for the Old Age Life of Public Servants)

  • 박현숙;임정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248-260
    • /
    • 2012
  • 부산, 울산, 경남지역에 근무하는 공무원 중 편의표본 추출한 30대 및 40대를 중심으로 731명을 대상으로 하여 노후 생활에 대한 인식 및 준비정도 등을 조사하였다. 노후의 1차적 부양책임은 본인 및 배우자라는 응답은 83.9%였다. 노후생활 지역은 대도시 근교의 전원생활이라는 응답이 25.9% 였다. 노후생활에 예상되는 경제력 문제점에 대한 인식은 매우 문제가 될 것이다라는 응답이 33.0% 였다. 여가활동 문제점에 대한 인식에서는 그저 그렇다라는 응답이 43.4% 였다. 공무원들이 노후생활 경제력에 대해 나름대로 준비하고 있다는 응답은 75.0%였다. 노후생활의 공적연금의 충족정도는 부족하다가 56.0%, 적정하다가 17.2%, 모르겠다가 26.8%였다. 공무원들의 노후생활의 공적연금의 충족정도는 부족하다(409명 56.0%)가 이였으며, 공적연금의 충족정도에 따른 노후생활에 대한 경제적 준비내용은 먼저 공적연금 외 경제적 대책 준비정도와 공적연금의 충족정도 군별로 비교한 결과 부동산 투자, 부족분 자녀도움, 자신의 보유자산 이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분석결과, 중년층이 노후의 준비를 하는 데 있어서는 개인 스스로 노후준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장 단기적인 관점에서 경제적 신체적 사회적 측면에서 노후 대책을 마련하고 실천해 나가는 것이 가장 중요하였다.

The Direction of Innovation in Curriculum of Universitie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Hwang, Eui-Chul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229-238
    • /
    • 2020
  •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포스트 코로나는 국내외 국가들의 정보통신기술(ICT) 시대를 앞당겨 대학의 교육과정·교육내용·교육방법에 대한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본 논문은 최근 4년(2016.6~2020.5)간 한국언론진흥재단의 BigKinds와 네이버의 DataLab 시스템을 이용하여 대학의 교육과정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대학 교육과정 혁신·창의·융합'의 키워드로 검색된 633건의 관계도 분석, 월별 키워드 트렌드, 연관어 분석으로 다음의 3가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관계도 분석결과 최근 4년(2016~2020)간 빈도수(1~7위)는 교육부(190), 산업혁명(154), 시스템(137), 진로(136), 글로벌(131), 스마트(97), 재학생(95)순이었다. 둘째, 연관어 키워드 빈도수로는 인재양성(136), 산학협력(119), 교육부(86), 특성화(69), LiNC(62) 순으로 대학의 인재양성을 위해서는 정부(교육부)의 지원과 인재양성, 산학협력, LiNC, 특성화의 중요성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 결과 교육의 패러다임은 4차 산업혁명의 인공지능 환경으로 특성화·산학협력·스마트·글로벌화의 방향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창의인재를 육성하는 미래의 교육방향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었다.

일부 특수학교 교직원의 구강관리실태 (A study on the state of oral care among some special school personnels)

  • 박정순;이선옥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659-670
    • /
    • 201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oral health care among special school personnels in an attemp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improvement of the oral health car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would be under the first hand influence of school personnels.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personnels who were selected by random selection in five different special schools located in the city of Jeonju, North Jeolla Province.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in person from July 5 to 14 af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plained. Results : 1. Concerning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the level of oral health knowledge was high in the personnel whose career is 5 years more, and the younger personnels had a better oral health knowledge, and the men were more knowledgeable than the women. 2. As to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the rate of the respondents who ever received oral health education stood at 35.3 percent. In relation to the frequency of oral health education, the biggest group that accounted for 58.2 percent received that education once. As for the route of education, the largest group that represented 52.7 percent received that education at dental hospitals or clinics. In relation to satisfaction with oral health education, the greatest group that accounted for 38.5 percent were dissatisfied with that education. 3. As for an intention of receiving oral health education in the future, the biggest group that accounted for 60.9 percent intended to receive that education if they would have free time, and the largest group that represented 47.7 percent believed that oral health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by dental hygienists. 4. Concerning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the level of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according to age in both bushing and supplies of oral health care was high in forties-1.89 point and 3.33 point, and that in regular visit to a dental clinic was the highest in twenties for 2.58 point, and that in dietary control was the highest in twenties for 2.59 point. 5. Their oral health knowledg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their toothbrushing, regular dental clinic visit and dietary control that were the subfactors of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6. As for the impact of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on oral health knowledge, toothbrushing exerte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at(${\beta}$=0.306, p<0.001). Conclusions : Appropriate institutional measures should be taken to let dental hygienists who are expert in oral health care provide incremental oral health care for students and adults with disabilitie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is urgently required to offer systematic oral health education for not only students with disabilities but their teachers and guardi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