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orientation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31초

의류 통신판매 이용자의 충동구매 성향과 충동구매 자극 (The Catalogue and Online-Order Apparel Shoppers Impulsive Purchase Orientation and Impulsive Purchase Stimuli)

  • 김용숙;박금옥;이옥희
    • 복식
    • /
    • 제51권7호
    • /
    • pp.49-62
    • /
    • 200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the catalogue and online-order apparel shoppers' impulsive purchase orientation and impulsive purchase stimuli.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women over than 20 years, and collected from middle to the end of November in 2000. Frequencies, percentages, and mean were calculated. One-way ANOVA, chi-square test,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used,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as followed. 1. Factors of impulsive purchase orientation were relax from negative moods, design property, inducement from neighbors, taste congruence, price property of apparel, positive moods, and loose-control, and were segmented into the low impulsive purchaser, the reasonable purchaser, the fulfilled with positive moods, and the high impulsive purchaser. The factors of impulsive purchase stimuli were apparel property, consumer service, sales promotion on the point of sales, and low price. 2. The low impulsive Purchaser was affected little by impulsive purchase stimuli, spent a little money on apparel, and the married with high education level were the most. The reasonable purchaser was affected by sales promotion on the point of sales or low price, spent a little money on apparel, and students or house-wives were the most The fulfilled with positive moods was affected by low price, and students or career women with high education level were the most, but spent less money on apparel. The high impulsive purchaser was affected by various impulsive purchase stimuli, the young unmarried with high education level were the most, and spent more money on apparel. 3. The younger, the unmarried, students or career women, and shoppers with higher income or apparel expenditure showed a higher impulsive purchase tendency for relax from negative mood, design property, for inducement from neighbor, taste congruence, and positive moods. 4. The older, the married, house wives, and shoppers with higher apparel expenditure were stimulated by apparel property or consumer services.

  • PDF

전문직 여성들의 의복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areer Women′s Clothing Purchase Behavior)

  • 구양숙;박금주
    • 복식문화연구
    • /
    • 제6권1호
    • /
    • pp.71-83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career women's apparel shopper type by analyzing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and to compare the classified shopper types on store evaluative criteria, information source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328 career women aged 20∼59 year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MONAVA, and x²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Eight factors of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derived by factor analysis. Four shopper types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Apathetic shopper, High shopping involved shopper, Conformable shopper, Economic shopper type. Store evaluative criteria, information source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four shopper types.

  • PDF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진로 체험프로그램이 SW진로 지향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eer experience programs using digital technology on SW career orientation)

  • 김선주;전석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437-438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SW중심사회로 나아감에 따라 SW와 관련된 진로에 대한 지향도를 높이기 위해 디지컬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직업 체험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시사점을 도출해낸다. 다양한 직업인이 되어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3D모델링, 가상현실 등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직업 체험을 경험한 학생들은 향상된 SW진로 지향도를 보인다. SW진로에 대한 선호도, SW교육에 대한 선호도, SW진로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 SW진로에 대한 정보제공의 필요성 인식이 모두 증가하였고, 이처럼 SW진로지향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업과 연계한 디지컬 테크놀로지 교육이 활발히 이뤄져야 한다.

  • PDF

IT서비스 기술인력의 경력지향성에 따른 교육요구 분석 (An Analysis on Educational Needs by Career Orientations of IT Service Technical Engineers)

  • 박경환;나홍석;오수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3호
    • /
    • pp.165-180
    • /
    • 2011
  • 본 연구는 IT서비스 기술인력의 경력지향성에 따른 교육요구 분석을 실시하였습니다. 첫째, IT서비스 기술인력에 대한 5가지 경력지향성 유형을 제시하였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연령, 학력)과 직업적 특성(직무, 업무경력, 조직규모, 근속년수)이 IT서비스 기술인력의 경력지향성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IT서비스 기술인력의 5가지 경력지향성 유형이 교육요구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IT서비스 기술인력 133명을 대상으로 한 자료분석 결과, 인구통계 및 직업적 특성은 그들의 경력지향성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또한 경력지향성 유형은 그들의 교육요구와도 유의한 관련성이 있다는 점을 밝혔다.

아동병동 간호사의 경력에 따른 아동 통증지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Knowledge Related to Children's Pain of pediatric Nurses According to their Career)

  • 최선일;최명애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7권1호
    • /
    • pp.69-87
    • /
    • 2005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ediatric nurses's knowledge related to children's pain and pediatric nurses' career including educational experience and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of their knowledge according to their career. Method : Subjects of this study was 115 pediatric nurses of one university hospital who understood purpose of this study and accep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Subjects responded questionnaire by self report. The data were gathered for 7 days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20 to October '2:7, 2003. The pediatric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survey regarding pain developed by Manworren(2001) was used to identify the knowledge related to children's pain of pediatric nurses. Nurses' career consisted of level of education, presently working ward, duration of experience at clinic, pediatric clinic and presently working ward and educational experience related to children's pain during undergraduate courses, ward orient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Educational experience regarding children's pain was measured by whether they had education related to children's pain during undergraduate courses, ward orient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or not and their perception on the contents of education was measured by 5 point Likert type scale. SPSS Window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Scores of the knowledge regarding children's pain and career including educational experience of pediatric nurses were presented a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Mean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responded by the subjects was presented under the category of introduction, assessment, pharmacological and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for children's pain. The difference of scores of the knowledge regarding children's pain according to nurses' career was analyzed using t-test, ANOVA and Tukey as a post hoc.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accepted at the level of p<.05. Result : Pediatric nurses had deficient knowledge related to children's pain on the whole and did not trust pain complaint and underestimated the pain. They were short of concrete practical knowledge about pain assessment and pharmacological and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for children's pain. They were excessively concerned with side effect and addiction of analgesic drugs and had a negative view point on nonpharmacological pain intervention. About 50% of the subjects received education regarding children's pain while their undergraduate courses. The number of nurses who received education regarding children's pain while their undergraduate courses was found to be greater among the recently graduated nurses. In ward orient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only less than 10% of the nurses received education regarding children's pain. Nurses perceived their experienced educational content deficient; experienced educational content consisted of pain introduction, assessment and pharmacological and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for children's pain while their undergraduate course, ward orient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knowledge regarding children's pain of pediatric nurses according to level of education, duration of experience at clinic, pediatric clinic and presently working ward. Scores of the knowledge regarding children's pain of nurses at neonatal ward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of nurses at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Scores of the knowledge regarding children's pain of pediatric nurses who received education during their undergraduate course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who did not receive it during their undergraduate courses. Also scores of the knowledge regarding children's pain of pediatric nurses who received one kind of educational experience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who had no educational experience. Conclusion : Pediatric nurses had deficient knowledge of children's pain and underestimated the pain of children. Also they were short of concrete practical knowledge on pain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s pain.

  • PDF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에 따른 진로탄력성의 차이연구 (A Study on Differences in Career Resilience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민혜영;송경섭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77-83
    • /
    • 2023
  • 본 연구는 교육의 질을 담당하게 될 141명의 예비유아교사들의 성격에 따른 진로탄력성의 차이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직업 환경에 따른 다양한 문제해결 대처능력과 아이디어의 창출 능력을 가늠하는 진로탄력성은 교사-유아상호작용 및 유아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라 판단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성격의 유형 중외향성, 성실성 성격의 경우, 평균점수 이상의 집단이 평균이하의 집단에 비해 진로탄력성의 창의성, 유연성, 도전정신, 미래지향성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개방성 성격의 경우는 창의성 유연성, 도전정신에서, 친화성 성격의 경우는 유연성, 미래지향성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신경증 성격의 경우는 반대로 평균점수 이하인 집단이 유연성, 도전정신, 미래지향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예비유아교사들의 긍정적인 성격 형성을 도모하고자 하는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 및 교육과정, 상담 등 포괄적인 프로그램들의 필요성을 시사한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사회적자본찾기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정체감과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ocial Capital Discovery Program on Career Identity and Empowerment of Adolescents on Probation)

  • 허정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157-16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자본찾기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정체감과 임파워먼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사회적자본찾기 프로그램은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하위 영역가운데 안정성, 목표지향성, 독특성, 자기존재의식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자기주장 영역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사회적자본찾기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임파워먼트 하위 영역 가운데 개인내적, 대인관계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정치사회적 영역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사회적자본찾기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정체감과 임파워먼트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앞으로 보호관찰소 청소년들의 진로정체감 및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해 더욱더 활발한 사회적자본찾기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실제로 활용도를 높여 가야 할 것이다.

커리어포트폴리오형 및 교사주도형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areer exploration programs using career portfolio and teacher-directed on the career maturity and career identity in middle school students)

  • 신임선;장윤옥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5-104
    • /
    • 2012
  •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기술 가정 "산업과 진로" 단원의 수업에서 커리어포트폴리오형과 교사주도형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이들 각각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에 소재하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커리어포트폴리오형에 60명, 교사주도형에 60명을 분류 배정한 후 각각 총 9차시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또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통제집단에도 60명을 배정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진로태도 성숙도 검사(CAMI), 진로정체감 척도, 그리고 가정환경조사서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으로는 공변량분석(ANCOVA)과 Scheff$\grave{e}$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커리어포트폴리오형과 교사주도형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들이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중학생들보다 진로성숙도가 유의하게 더 많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커리어포트폴리오형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들이 교사주도형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들에 비해 확신성과 준비성의 진로성숙이 유의하게 더 많이 향상되었다. 둘째, 커리어포트폴리오형과 교사주도형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들이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중학생들보다 진로정체감이 유의하게 더 많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커리어포트폴리오형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들이 교사주도형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들에 비해 안정성, 목표지향성, 자기주장의 진로정체감이 유의하게 더 많이 향상되었다.

  • PDF

관계적 및 학교적응 요인이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The Study o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related to Relational and School Adjustment Variables)

  • 오정아;남부현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1권2호
    • /
    • pp.185-209
    • /
    • 2014
  • 본 연구는 충청지역의 광역시와 군소도시에 거주하는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태도성숙의 하위요인(결정성, 목적성, 확신성, 준비성, 독립성)들이 관계적 요인(부모, 교사, 친구)과 학교적응 요인(학교생활, 수업, 환경)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550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520부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 중 467부를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들의 진로태도성숙과 관계적 학교적응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태도성숙과 관계적 및 학교적응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친구관계가 진로준비성과 독립성에 그리고 학교생활과 수업이 진로준비성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관계적 요인이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살펴본 결과, 친구관계가 진로준비성과 독립성에서는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이 밝혀졌고 부모와 교사관계는 진로결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학생들에게 친구요인이 중요함을 다시 한 번 확인한 결과이다. 셋째, 학교적응 요인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교생활이 중학생의 진로결정성과 준비성 그리고 독립성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주변인은 친구이며 학교생활이 이들의 진로준비성과 독립성 성숙에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이 결과들을 토대로 학교 내 진로교육 강화, 동아리 활동, 그리고 진로교육연수를 통한 교사의 적극적인 지도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고등학교 육상선수의 성취목표성향과 자기관리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elf-management in high school track & field athletes)

  • 고의석;한건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445-445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육상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과 자기관리의 관계가 성별, 세부종목별, 그리고 운동경력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체육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29명의 육상선수들이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설문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남학생들의 성취목표성향은 여학생들에 비해 과제목표지향적이었으며(p<0.05), 자기관리의 세부영역 중에서도 대인관리, 정신관리, 그리고 몸 관리에서 여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세부종목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도약 선수들이 투척선수들에 비해 정신관리가 높게 나타났으며(p<0.05), 다른 자기관리의 세부영역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성취목표성향과 자기관리는 고등학교 육상선수들의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볼 수 있지만 현장에서 적용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보다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