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orientation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6초

Analysis for the Causal Relationship of Education Quality Factors in Korea

  • Lee, Jin-Choon;Lee, Hong-Woo
    •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y Innovation
    • /
    • 제6권2호
    • /
    • pp.147-16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in the perspective of Total Quality Management, among the education quality factors, which were suggested in the previous researches. Lee et al. [16] had tri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education factors, but they did not estimate the education factor using latent variable concept, which is very reasonable and efficient to represent the constructed concepts. So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education quality factors, represented as latent variables used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In this study, education quality factors were measured by several measures, constructed as several latent variables, and then processed with AMOS, the most efficient statistical package in the SEM area. In order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education quality factors constructed as latent variables, this study design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suggested factors and established several research hypotheses. This study discovered a prominent causality among the education quality factors, such as education leadership, student scholastic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f education quality, which is similar to that of previous research. This outcome is really a unique Korean syndrome manifest within our educational career orientation.

Research Trend on Internal Marketing of Medical Service Organization

  • Kim, Woon-Sh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83-88
    • /
    • 2016
  • In this research aimed to deduce internal marketing factors, purpose, and their practical application by analyzing preceding researches on internal marketing of Korean medical service organization and investigating the recent trend of its research. Subjects of research are ten preceding researches that have been published in KCI records for the last five years from 2011 to 2016. Summarize result of researches, first, internal factors that were most frequently used were internal communication, compensation system, and education and training, which were used by 8(.8). Second, occupations that had most interest in the internal marketing research appeared to be nursing(.9) and administration(.3). Third,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internal marketing appeared to be job satisfaction(.8), followed by customer orientation(.6),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4). Suggestion do, necessary to develop subordinate factors regarding the realistic internal marketing, such as both-sided internal communication enhancement, education and training, compensation system differentiated by individuals and teams, fairness in performance rating, work environment improvement, delegation of authority, career development, shared organizational vision in order to maximize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mployees as internal customers, before establishing strategies to satisfy patients and guardians who are external customers.

맥주 소비자의 구매동기에 따른 시장세분화 (The Analysis of segmented Group Characteristics about Beer Customer's Purchase Motivation)

  • 민하나;김윤아;허영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77-283
    • /
    • 2019
  • This study explore the market segmentation based on beer consumers' purchase motivation 1) to analyze beer consumers and markets more closely and 2) to demon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rket segment and contribute to marketing strategies with beer consumer segment. Using -administrated questionnaires asked questions recognizable beer purchase within 6 months by over 20-years-olds, this study 201 surveys online 22 days. The results as follows: beer consumers' purchase motivation consisted of three factors enhancement, social orientation, and value enhancement. Cluster analysis based on beer purchase showed that there were three groups motivation multi-motivation and motivation group based on average value of beer purchase motive factors and relative load per factor. demographic,beer drinking characteristics and group difference according to cluster gender and monthly average income, and beer drinking characteristic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by preferred beer, preferred beer type, occasion and drinking place.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코호트 구축과 운영 사례 (Cohort Establishment and Operation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윤소정;이상엽;임선주
    • 의학교육논단
    • /
    • 제25권2호
    • /
    • pp.119-125
    • /
    • 2023
  •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PNUSOM) began analyzing the cohort of pre-medical students admitted in 2015 and has been conducting purposeful analyses for the past 3 year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process of cohort establishment, cohort composition, and the utilization of cohort analysis results. PNUSOM did not initially form a cohort with a purpose or through a systematic process, but was able to collect longitudinal data on student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Medic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and an organization that supports medical education. Cohort construction at our university is different in terms of a clear orientation toward research questions, flexibility in cohort composition, and subsequent guideline supplementation. We investigated the relevance of admission factors, performance improvements,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promotion and failure rate in undergraduate students, as well as performance levels and career paths in graduates. The results were presented to the Admissions Committee, Curriculum Committee, Learning Outcomes Committee, and Student Guidance Committee to be used as a basis for innovations and improvements in education. Since cohort studies require long-term efforts,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efficiency of data collection for graduate cohorts, as well as the validity and ethics of the study.

취업준비 과정에서 승무원 이미지와 취업결정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Airline Cabin Crew Images and the Airline Employment Decisions)

  • 김영진;임연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681-688
    • /
    • 2017
  • 이 연구는 경제상황 변화와 인구통계학적 구조변화 등으로 인하여 국내 취업시장이 불안하게 인식되고 있는 가운데 항공산업 발전을 배경으로 항공사 취업을 목표로 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항공사 승무원 이미지가 항공사 취업결정에 미치는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342부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SPSS 2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항공사 승무원 이미지가 항공사 취업결정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채택 되었다. 세부적으로는 항공사 승무원 이미지 중 고객지향성과 패션성이 항공사 취업결정의 호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전문성과 외향성은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사 승무원 이미지 중 직업전문성, 패션성, 외향성 등은 장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유형성은 서비스에서 필수적인 요인이지만 승무원을 준비하는 대학생은 취업결정에 앞서 직업으로서의 승무원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둘째, 항공사 취업준비생은 풍부한 상식, 항공관련 정보력, 기내 식음료 정보 등의 지식을 기반으로 한 직업전문성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인적서비스가 강조되는 승무원은 밝은 표정, 고객을 배려하는 인성, 친근한 미소, 상냥한 말씨, 승객과의 친화력, 탁월한 기내서비스 능력 등 고객지향성 요인의 중요성인식과 자질 준비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취업 준비생이 인식하는 항공사 승무원 이미지와 취업결정에 대한 세부적 인과관계 연구한데 의의가 있으며, 준비생은 직업전문성과 아울러 외향성, 패션성 등과 같은 유형적 요인가 취업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대학생의 진로개발과 취업준비에 대한 인식 연구 (Research of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of career development and their preparation for employment)

  • 박기문;이규녀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03-127
    • /
    • 2009
  • 이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개발과 취업준비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진로개발 활동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입학 시부터 학생 스스로가 진로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준비할 수 있는 교육체계 수립이 요구되어 진다. 이는 대학 교육과정에 진로개발 과목이 교양필수로 포함하여야 하고 취업준비센터 등의 기관과 유기적인 연계성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대학생이 직업세계로의 원활한 이행을 위해 활용되어 질 수 있는 대학생 커리어 포트폴리오(career portfolio)를 객관적인 평가자료로 인정하는 제도가 필요하다. 또한 이를 데이터베이스(Database)화를 통하여 대학생의 커리어가 졸업 후에도 지속적으로 관리 유지한다면 대학경쟁력 강화에 기초가 될 것이다. 셋째, 대학생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직업기초능력의 수준 진단을 통해 개인별, 학과별 진로개발의 방향을 설정하고 필요한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개인별, 학과별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대학 졸업생의 취업 준비도를 제고할 수 있는 직업기초능력 평가와 그 결과에 따른 진로개발 지원책이 필요하다. 넷째, 고등교육단계의 대학생들이 학과에 대한 만족도, 전공 선택, 현재 대학에서의 진로관련 서비스 등에 대한 학생들의 낮은 인식도(M=2.86)는 대학에서의 학습과 일과의 연계성 있는 체계구축이 요구됨을 보여준다. 따라서 단기적으로 대학 내 운영되고 있는 각 종 취업 및 자기개발 역량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양적 질적 평가가 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대학 내 진로서비스 기관의 진단을 위한 인적자원개발 전문가 확보 등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무용전공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섭식장애의 관계 (Relations between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and Eating Disorder in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 홍고은;김동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379-388
    • /
    • 2016
  • 무용을 전공하는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은 처해진 상황과 추구하는 목표가 달라서 종류가 다른 스트레스를 받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따라 고등학교 및 대학교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 학생들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섭식장애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섭식장애는 Garner(1990)의 Eating Disorder Inventory-2(EDI -2)를 이임순(1998)이 번안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의 측정은 Frost 등(1990)의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F-MPS)를 현진원이 번역한 것에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일부 표현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218명의 무용전공 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250부 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32부를 제외한 최종 218부를 가지고 SPSS 21.0 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높은 학력과 오래된 경력을 가진 무용학생일수록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섭식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차원적 완벽주의(실수에 대한 염려, 개인의 기준, 부모의 기대)는 무용학생들이 지니고 있는 섭식장애의 발생과 유지에 주된 역할을 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면, 높은 학력과 오래된 경력을 가진 무용학생들은 무용수행에서 오는 과도한 스트레스와 왜곡된 신체상의 심리적 압박감을 받아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섭식장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올바른 체중조절 방안과 섭식장애를 예방하는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공학계열 대학생의 물리학습동기 측정 (Measurement of Motivation to Learn Physics in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 문공주;황요한;하민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1호
    • /
    • pp.74-83
    • /
    • 2020
  • 본 연구는 공학대학 학생들의 물리학에 대한 자발적인 학습이 이뤄지지 않는 이유를 탐색하기 위해 물리학습동기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lynn 등이 개발한 Science Motivation Questionnaire II(SMQ II)을 물리학습 상황으로 수정한 Physics Motivation Questionnaire(PMQ)을 이용하여 서울에 위치하는 C대학의 공학계열 1학년 학생 374명을 대상으로 물리학습동기를 측정하였다. PMQ는 intrinsic motivation, career motivation, self-determination, self-efficacy, grade motivation의 5요인으로 구성되며 총 25개 리커트 척도문항의 검사도구이다. PMQ는 탐색적요인분석(EFA)를 통해 5가지 요인이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물리학습동기를 측정하는데 있어 구조적으로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라쉬(Rasch)모델 분석을 활용하여 문항적합도(MNSQ)를 확인하였다. 측정결과, 물리학습동기의 요인 중에서는 성적동기가 평균 4.1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직업동기가 평균 3.75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내재동기는 평균 3.42, 자기효능감은 평균 3.38, 자기결정력는 평균 3.32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공학대학 학생들의 과학학습 동기는, 점수 및 직업과 관련된 외적 동기가 높게 나타나는 특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공학계열 학생들 물리학습에 대한 숙달목표지향을 가지고 내적 동기를 높일 수 이도록 하는 교수-학습 전략의 개발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재직자의 개인목표와 소명의식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ers' Personal Goals and Perceptions of Calling)

  • 안윤정;서지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263-3274
    • /
    • 2013
  • 본 연구는 재직자의 개인목표에 따른 소명의식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수도권에 근무하고 있는 재직자(금융업, 교육서비스업, 정보서비스업 등) 371명을 대상으로 개인목표와 소명의식에 대한 측정도구를 기준으로 설문조사하여 빈도분석,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학력에 따라 개인목표의 독자성, 소명의식의 초월적 부름-존재, 목적과 의미, 친사회적 지향에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다. 종교유무에 따라 개인목표의 사회적 책임감, 자원지원, 소명의식의 모든 하위유인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조직형태에 따라 개인목표의 독자성, 소명의식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다. 담당업무에 따라서 소명의식의 초월적 부름-존재, 목적과 의미, 친사회적 지향에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다. 개인목표의 자기주도적 사회관계목표에 해당하는 요인들의 상하 그룹에 따른 소명의식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개인목표의 통합적 사회관계목표의 상하 그룹에 따라 소명의식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개인목표의 통합적 사회관계목표와 소명의식의 모든 하위요인간의 상관이 높게 드러났다. 결론적으로 재직자의 소명의식을 높이기 위한 통합적 사회관계목표의 중요성이 검증되었으며 조직 내에서도 재직자들이 자신의 일에 대한 소명의식을 갖도록 하는 목표를 인생전반에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생애과정 관점에 대한 고찰과 적용 - 성인으로의 이행과정에 대한 탐색적 분석 - (A study of the Life-Course perspective - The exploratory analysis of Transitions to adulthood -)

  • 문혜진
    • 사회복지연구
    • /
    • 제41권3호
    • /
    • pp.349-378
    • /
    • 2010
  • '생애과정 관점' 은 생애과정을 제도와 역사에 내재된 단계화된 연령구조로 인식하고, 맥락적 관점에서 개인과 집단의 생애를 이해하려는 이론적 방향이다. 독일과 미국을 중심으로 사회·역사적 변화의 맥락 속에서 생애과정을 분석하고, 생애과정에 미친 제도와 국가의 역할을 다루는 연구가 이루어졌고, 노동궤적에서 나타나는 경로와 노동성과의 차이, 생애과정에서 나타나는 불평등에 관한 연구 등에서 생애과정 관점이 적용되어 왔다. 국내에서도 다양한 분야에서 생애과정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고, 결과가 축적되고 있으나 이론적 방향이나 체계로서 확립되지는 못하였다. 생애과정 관점을 적용하여 개인의 생애과정과 역사적, 사회적 변화를 접목시키는 시도로 1930~1979년 사이에 출생한 코호트의 역사적 위치를 확인하고 성인으로의 이행과정에서 나타난 변화를 추적하였다. 그 결과, 교육기간의 연장으로 인해 후속 이행의 시기와 구조에 변화가 발생하였고, 1960년대 출생코호트까지 젊은 코호트로 올수록 교육종료와 노동시장 진입, 결혼과 첫 출산이 이루어지는 시점이 지연됨과 동시에 대부분의 구성원이 압축된 연령 구간에서 이행을 완료하는 생애과정의 표준화가 이루어졌음이 확인되었다. 1970년대 출생 코호트는 이전 코호트와는 다른 이행패턴을 보이고 있으나 이행시기의 지연으로 구성원의 이행이 완료되지 않은 우측 절단이 발생하여 그 정확한 변화를 확인하지는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