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Life-Course perspective - The exploratory analysis of Transitions to adulthood -

생애과정 관점에 대한 고찰과 적용 - 성인으로의 이행과정에 대한 탐색적 분석 -

  • 문혜진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0.07.31
  • Accepted : 2010.08.27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e Life-Course perspective is a theoretical orientation that views the life-course as the age structure embedded in social institutions and history and understands the life-course of individual and group in the contextual perspective. The life-course perspective studies were developed in Germany and North America. They study social and historical effects and the effect of institutions and the state on the life-course, the pathway of the work career and differences of labour outcomes, and the inequality that is developed in the life-course. In Korea, the life-course perspective studies were tried in various fields and cumulated. However, it didn't established as a theoretical orientation. For applying the life-course perspective to connect the individual life-course with social and historical event, I describe the historical location of individuals born between 1930 and 1979 and analyse the change of their transitions to adulthood exploratorily. On results, the extension of education made the structural change of their life-course, and in young cohort the timing of leaving school, entering workforce, marriage and childbirth was delayed and transitions were made in narrower spread. It means the standardization of the life-course as appears in modern society. The 1970s birth cohort has the differenciated life-course pattern, however I cannot verify that change because of the right censoring.

'생애과정 관점' 은 생애과정을 제도와 역사에 내재된 단계화된 연령구조로 인식하고, 맥락적 관점에서 개인과 집단의 생애를 이해하려는 이론적 방향이다. 독일과 미국을 중심으로 사회·역사적 변화의 맥락 속에서 생애과정을 분석하고, 생애과정에 미친 제도와 국가의 역할을 다루는 연구가 이루어졌고, 노동궤적에서 나타나는 경로와 노동성과의 차이, 생애과정에서 나타나는 불평등에 관한 연구 등에서 생애과정 관점이 적용되어 왔다. 국내에서도 다양한 분야에서 생애과정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고, 결과가 축적되고 있으나 이론적 방향이나 체계로서 확립되지는 못하였다. 생애과정 관점을 적용하여 개인의 생애과정과 역사적, 사회적 변화를 접목시키는 시도로 1930~1979년 사이에 출생한 코호트의 역사적 위치를 확인하고 성인으로의 이행과정에서 나타난 변화를 추적하였다. 그 결과, 교육기간의 연장으로 인해 후속 이행의 시기와 구조에 변화가 발생하였고, 1960년대 출생코호트까지 젊은 코호트로 올수록 교육종료와 노동시장 진입, 결혼과 첫 출산이 이루어지는 시점이 지연됨과 동시에 대부분의 구성원이 압축된 연령 구간에서 이행을 완료하는 생애과정의 표준화가 이루어졌음이 확인되었다. 1970년대 출생 코호트는 이전 코호트와는 다른 이행패턴을 보이고 있으나 이행시기의 지연으로 구성원의 이행이 완료되지 않은 우측 절단이 발생하여 그 정확한 변화를 확인하지는 못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