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movement factor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2초

사서인력의 경력이동 및 경력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areer Movement and Career Development of Librarians Workforce)

  • 노영희;안인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47-168
    • /
    • 2009
  • 도서관계의 상황을 보면 대학도서관, 공공도서관, 전문도서관, 학교도서관 등 매우 다양한 유형의 도서관이 있고, 국가적인 차원 및 상업적인 차원의 정보유통기관이 있으며, 또 이를 지원하는 기관들 즉, 도서관자동화업체, 도서관관련 비품업체, 도서관관련 아웃소싱업체, 각종 데이터베이스 구축업체가 있다. 이러한 상황을 볼 때 문헌정보학을 전공한 사람들의 경력경로는 매우 다양해 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서인력의 유동성 및 경력이동률 은 매우 높을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도서관계의 특성 및 직업적 특성을 감안하여 사서인력의 유동성 실태나 이직률과 이직의 원인 등을 규명하는 연구는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 사서인력의 경력이동 및 경력개발 현황에 대해서 조사하고자 하였다. 사서의 경력개발 과정 분석을 통해 도서관계 및 관련분야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람들의 직장이동 경로, 경력개발을 위한 노력, 경력이동 요인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문헌정보학 전공자의 경력개발 경로를 통한 유동성 실태연구 (The Mobility and Career Pathes of Alumni of Whose Major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s in Korea)

  • 안인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33-147
    • /
    • 2010
  • 지식기반 사회의 전개와 함께 전통적인 사서업무의 소멸, 새로운 업무의 생성, 분화, 통합을 거치면서 문헌정보 전공자의 경력개발 분야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이에 대한 연구는 현장에 적합하고, 능력있는 인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각기 특성이 다른 5개 대학 190명의 경력경로를 통하여 문헌정보학 전공자의 직장 이동 분야를 밝혔다. 16개 분야의 186개 직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경력수가 많은 분야는 G.문화예술관련직> C.교육 및 연구관련직> A.경영 및 기획관련직> O.전기/전자 및 정보통신관련직과 J.영업 및 판매관련직 순이다. 특히 사서직 이외의 문화 예술직에서 활약 분야는 미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나아가 교육과정 기간 동안 본인이 습득하는 지식과 기술의 중요성이 경력이동에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이므로 문헌정보학 교육이 시대의 미래를 예견하고, 현장에서 요구하는 지식과 기술을 충실하게 반영하여야 한다는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간호사의 조직몰입 예측요인 (The Prediction Factor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Nurse)

  • 문숙자;한상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2-80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prediction factors that influence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Method: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ed of 526 full-time nurses randomly picked at 19 general hospitals in Korea. The data was analyzed by computer using SPSS 15.0 for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1)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s among the sampl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ge, religion, social status, marital status, clinical career, and department satisfaction. 2) Level of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verage 2.70, job satisfaction 2.91, burnout 3.03, empowerment 3.36, autonomy 2.93, and self-efficacy 3.51. 3)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job satisfaction, empowerment, self-regulation, social support, self-efficacy, clinical career, and personnel movement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it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occupational stress, burnout, and age. 4) The prediction factors which influence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job satisfaction($\beta$=.405), burnout($\beta$=-.282), self-regulation($\beta$=.171), clinical career($\beta$=.135). These factors were approximately 49.6% reliable in explaining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evelop hospitals' management strategies for increas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effectiveness and nursing productivity.

남자 프로골퍼의 드라이버와 아이언 스윙 시 X-factor Stretch에 관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X-factor Stretch between Driver and Iron Swing in Male Professional Golfers)

  • 박태진;서국은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87-49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ake a comparative biomechanical analysis of X-factor and X-factor stretch during driver and iron swing.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10 professional golfers with more than 10 years career. The result was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back swing with driver and iron swing showed no differences statistically between both the timing in horizontal rotating of shoulder and hip, the time required for X-factor stretch also showed no differences statistically. Second, the back swing with a driver swing showed more maximum horizontal rotation of shoulder and hip joint than the back swing with an iron swing, but the twist of shoulder and hip that was X-factor stretch angle showed no difference. Third, the GRF of the max value for the left and right foot during shoulder and hip horizontal rotation of back swing showed no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the movement of driver and iron swing during the back swing, and the GRF of X-factor stretch for the left and right foot showed no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driver and iron swing.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operation of torso(X-factor stretch) and weight shifting were similar although the horizontal rotation of body was different during the driver and iron swing.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is Unlikely to Occur when Performing a Stable Weight Lifting Operation

  • Moon, Youngjin;Moon, Jeheon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99-205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increase in barbell weight on closely related variable to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injury which are knee joint kinematics, joint load, joint moment, and maximum load attainment point during snatch of the weight lifting. Metho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0 male Korean national weight lifting athletes (69 kg 5, 77 kg 5; age: $21.80{\pm}3.91yrs.$, height: $168.00{\pm}4.06cm$, weight: $75.00{\pm}4.02kg$, career: $7.8{\pm}3.99yrs.$, snatch records: $168{\pm}4.06kg$). The weight of the barbell during the snatch operation was set at 70%, 75% and 80% of the highest records for each subject studied. Results: The result obtained from the one-way repeated measure ANOVA are as follows: With increased barbell weight, the extension moment of the left knee joint was higher in the 80% condition than the 70% (p<.001). However, other variabl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factor 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maximum load attainment point of the ACL major injury variables, the first sub-factor was the internal shear force, the posterior shear force, the abduction moment, and the muscle activity of the VL. The second sub-factor was the extension moment of the knee joint, compressive force, adduction moment, and the third sub-factor was the muscle activity of BF.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ossibility of ACL injury can be lowered when performing a stable snatch movement.

베이비부머 세대의 진로자기효능감이 은퇴경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reer Self-efficacy on the Course of Retirement for Baby Boomer Generation)

  • 김기승;윤성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585-1593
    • /
    • 2012
  • 2010년은 베이비부머 세대가 기업정년제도에 의해 정년퇴직을 시작하는 원년이었다. 그로부터 향후 10년간은 한국사회 경제성장의 원동력이었던 베이비부머 세대의 대량퇴직에 의해 노동력 감소와 복지대상 편입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 등 여러 가지 사회문제가 야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베이비부머 세대들이 은퇴 이후의 재취업과 관련하여 은퇴경로를 알아보고자 첫째, 월 평균소득과 현재 직업에 따른 은퇴경로의 차이분석 둘째, 진로자기효능감이 은퇴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2012. 1. 17.~2. 16까지 1개월 동안 서울, 경기, 강원, 충남, 경남, 전남, 제주도 등에 직접방문 및 우편발송으로 베이비부머 세대를 대상으로 총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443부가 회수되었고 이 중 유효한 40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월 평균소득에 따른 은퇴경로에서는 모든 요인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현재 직업에 따른 은퇴경로는 직업이동, 완전비취업, 반복비취업 등에서 유의한 결과값이 보여졌다. 진로자기효능감이 은퇴경로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직업이동 요인이 21%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앞으로의 사회정책 수립에 참고가 되며, 베이비부머 세대의 퇴직 후 생활준비에 지침이 될 것이다.

허벅다리걸기 시 무릎 관절 부상이 운동역학적 요인들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nee Joint Injury on Biomechanical Factors during the Uchi-mata)

  • 윤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642-649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허벅다리걸기 시 유도 선수들의 무릎 관절 부상 경험이 운동학적 요인과 압력 중심 요인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에는 허벅다리걸기를 특기로 하는 오른손잡이 남자 대학 유도 선수 중 최근 2년 이내 무릎 관절 부상 경험이 있었던 13명(연령, 20.69.1±0.75 세; 신장, 172.85±4.81 cm; 체중, 74.92±5.51 kg; 경력, 8.92±0.95 세)과 상해 경험이 없었던 13명(연령, 21.08.1±0.76 세; 신장, 172.54±6.32 cm; 체중, 76.62±9.09 kg; 경력, 9.46±0.94 세)이 두 그룹으로 나뉘어 피험자로 참여하였다. 두 그룹의 발목, 무릎, 힙 관절각도 변인과 압력 중심 가동범위와 속도 요인들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상 경험 그룹은 부상 경험이 없었던 그룹에 비해 허벅다리걸기 기술 발휘 시 한발 지지 구간 중 E3에서의 무릎 관절 굴곡 각도와 E4에서의 힙 관절 신전 각도에서 작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더불어 부상 경험 그룹은 부상 경험이 없었던 그룹에 비해 한발 지지 구간에서 압력 중심 가동범위와 전방 이동 속도 요인에서도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