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decision-making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31초

남자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병역의무계획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Military Duty Planning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Male Nursing Students)

  • 안민권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3-102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male nursing students in South Korea.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5 to June 17, 2018 and a total of 158 male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military duty plann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measur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5.0 for windows.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participants according to entrance motivation and desired career after gradua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65, p<.001), and between military duty plann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45, p<.001). The influential factors fo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beta}=.64$, p<.001), and military duty planning (${\beta}=.42$, p<.001). These factors accounted for 42% of the variance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o impro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male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enhanc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military duty planning.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Da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도정님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173-181
    • /
    • 2019
  • 본 연구는 무용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수도권지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자 300명을 연구대상으로 SPSS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무용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는 진로준비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은 진로준비행동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은 평가적 지지를 제외한 정보적 지지,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총점은 진로준비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은 무용학과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진로 준비행동에 매우 긍정적으로 진로준비행동의 수준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경험의 기회가 주어질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여대생의 우울 및 스마트폰 의존성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pression and Smartphone Dependency on Female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 최희정;유장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3-50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depression and smartphone dependency with female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Methods: This was a descriptive study.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497 female college students in M City and S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16 to December 4, 2015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BDI (Beck Depression Inventory), Smartphone Dependency Scale, and CDMSES-SF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Scale-Short Form).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samples t-test,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religion. Smartphone dependency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Depression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predi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were depression (7.1%), religion (1.8%), and smartphone dependency (1.3%), accounting for a total of 10.6% of the varianc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nterventions to promote female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should consider their depression, religion, and smartphone dependency.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진로의식성숙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and career maturity amongst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 김영희;김경은;최정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223-1233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의식성숙정도를 파악하고,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진로의식성숙에서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진로지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침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6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23명이다. 대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유형에서 합리적 의사결정점수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직관적 의사결정, 의존적 의사결정 순으로 나타났다. 진로의식성숙에서 스스로 진로를 정하는 진로독립성, 진로관여성은 높은데 비해 직업선택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나 진로타협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진로의식 성숙에서는 2, 3학년에 비해 1, 4학년이 진로결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진로의식 성숙에서도 상류층은 하류층에 비해 진로결정성이 높았으나 진로독립성은 낮았다.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진로의식성숙에서는 합리적 의사결정유형집단이 의존적 의사결정유형집단에 비해 진로독립성이 높고 직업 선택의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진로의식성숙의 차이를 보여 진로지도에서 의사결정유형의 중요성을 인식시켰으며, 더불어 대학교 취업교육현장에서 진로의식성숙을 함양하기 위한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대학생의 진로 결정과 진로 선택 동기, 진로 역량의 인과적 관계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Career Decision-making, Motivation for Career Choices, Career Capabilities of Undergraduate Students)

  • 김은정;이태원;성행남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73-89
    • /
    • 2021
  • 대학생 시기에 진로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고, 진로를 결정하는 것은 인생에서 매우 중요한 과업 중 하나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 선택 동기와 진로 역량 및 진로 결정의 구조적 관계를 조사 분석하여 대학생들의 진로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 소재 4년제 D대학에 재학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총 326부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SPSS 25와 AMOS 25를 이용하여 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첫째 내재적 진로 선택 동기와 외재적 진로 선택 동기는 각각 진로 역량인 진로 성찰과 진로 관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 역량인 진로 성찰과 진로 관리는 진로 결정 구성 요인인 진로 결정 구체성과 진로 결정 확신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적 진로 선택 동기와 외재적 진로 선택 동기는 진로 역량인 진로 성찰과 진로 관리를 매개하여 진로 결정 구체성과 확신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대학생의 진로 결정의 구체성과 확신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진로 성찰 역량과 진로 관리 역량을 증진 시킬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불확실한 고용환경의 변화와 높은 청년 실업률과 함께 직업의 종류가 매우 다양해지고 고도로 전문화되면서 대학생이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 결정에 대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현 상황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에서의 진로 상담과 진로 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대학생의 진로 결정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청소년의 참여행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Youth Participation Behavior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 조성희;김웅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605-613
    • /
    • 2017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참여행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수행을 위해 J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청소년 1,077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경로분석 방법을 통해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참여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직접적인 영향력과 참여행동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하는 간접적인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참여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력과 참여행동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하는 간접적인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있어서 참여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시켜 주었으며, 특히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개입에 있어서 참여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 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개입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청소년의 참여행동,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을 증진하기 위한 융복합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K 대학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진로결정수준·진로준비행동 실태 조사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K university)

  • 이숙정;이예종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27-3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의사결정유형 및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K 대학 치위생학과 1,2,3학년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K대학에 재학중인 치위생학과 106명을 대상으로, 사용한 측정도구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 진로결정 척도, 진로준비행동 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회귀분석,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수준의 매개효과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Mediated by Career Decision Level)

  • 고영주;김남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301-30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수준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학과 3,4학년 10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β=.54, p<.001), 진로결정수준(β=.23, p=.009)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수준이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Z=2.49, p=.006). 본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효과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위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을 향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며, 이를 반영한 전략적 진로지도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Maturity among Adolescents)

  • 이재희;이지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0권4호
    • /
    • pp.77-8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of different gender and grades. Further, it aim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career maturity to create career educational program for adolescent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44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selected from second grade of five schools in Daegu. All participants were tested on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scale.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wo-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18.0. The results of the present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ANOVA subscale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and grad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s of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Second,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of the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showed a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 Third,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meaningful influence on career matur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fundamental reference in career counseling at school for enhancing adolescent's career development and success.

대학생의 통제위치가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tudent career decision-making on the type of locus of control)

  • 이길환;서정민;이일우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99-314
    • /
    • 2012
  • In this study, college students, the nature of the locus of control type determines that they affect about career decision making. For this purpose I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study to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This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model based on the hypothesis set and set the hypothesis verified results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able to elicit. Internals types influence that they showed a positive impact in reasonable career decision making type. Externals types influence that they showed a positive impact in intuitive, dependent career decision making type. The summarized facts, as above, may be empirical analysis results that may be advised during the career decision making of college students, and will be data which will propose a new direction in the career decision making of college students al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