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bonized wood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31초

목질 및 수피탄화물에 의한 기상 유해가스 흡착제거 (Removal of Harmful Gas with Wood or Bark Charcoal)

  • 조태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6호
    • /
    • pp.69-76
    • /
    • 2008
  • 탄화온도별로 제조한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Fischer)목탄과 낙엽송(Larix leptoepis)수피탄에 의한 유해가스 흡착성능 평가를 하여 본 결과, 탄화온도가 증가하면 비표면적과 탄소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나, $600^{\circ}C$이상의 온도에서는 상승폭이 둔화하였다. 또한 신갈나무탄과 낙엽송수피탄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율 차이는 뚜렷하지는 않았으나, 탄화온도는 가스흡착성능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300^{\circ}C$에서 탄화한 저온 목질탄화물은 목탄 또는 수피탄의 종류에 관계없이 50% 이하의 매우 낮은 악취가스 및 VOC 물질 제거율을 나타낸 반면, $600^{\circ}C$이상의 고온 탄화물은 목질의 종류에 관계없이 악취물질인 트리메틸아민, 메틸메르캅탄, 황화수소의 제거율과 VOC물질인 벤젠, 톨루엔, 자일렌 제거율이 거의 100%를 나타낼 정도로 높았으며, 흡착 10분 이내에 흡착평형에 이를 정도로 빠른 흡착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아세틸렌이나 $SO_2$, $NO_2$ 가스 제거율은 고온탄화물이라도 흡착 4시간 후인 흡착평형이 이루어지더라도 40% 이하로 매우 낮아 가스 종류에 따라서 흡착거동에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이 탄화온도와 가스 종류에 따라 흡착성능이 달라지는 것은 비표면적과 같은 물리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목탄의 관능기 종류 및 양에 의한 화학적 변화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며, 화학적 요인에 대한 구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Manufacture of High-Density Woodceramic through the Secondary Carbonization

  • Oh, Seung Wo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2호
    • /
    • pp.105-110
    • /
    • 2013
  • A repeated impregnation and carbonization process was performed to prepare high-density woodceramics using MDF. The physical properties were estimated to further confirm morphologically structurally occurred changes of one-time and two-time phenolic resin treated and carbonized woodceramics. As compare one-time and two-time carbonized woodceramics, the increasing rate of weight and density declined after second carbonization as the resin impregnation ratio grew higher, and when the resin impregnation ratio was 40 percent, the weight and density of the second carbonization increased more than in the first step by 20.5% and 33.9% respectively which were the highest rates.

구조용 단열재 개발을 위한 왕겨숯 보드의 강도적 성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ngth Properties of Board Using The Carbonized Rice Husks to Develop a Structural Insulation)

  • 김광철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511-518
    • /
    • 2017
  • 최근의 단열 재료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단열성능 이외의 복합적 성능을 요구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인 성능을 가지는 왕겨숯 보드 개발을 위한 목재 섬유대 왕겨숯의 최적 비율을 찾고자 하였다. 왕겨숯을 활용하여 구조적 성능을 지니는 친환경 단열재를 개발하고자 기초 연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최종 왕겨숯 보드의 함수율은 3.2~4.1%로 얻어졌으며, 밀도는 0.58~0.68로 우수한 구조재료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 휨강도는 길이방향으로 9.1-32.6 MPa, 그리고 폭방향으로는 9.2-34.1 MPa로 나타났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MDF 수준의 휨강도를 얻을 수 있어 구조적 성질을 가지는 단열재 개발의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수피의 탄화이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Utilization of Bark by Carbonization)

  • 김병로;이재용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1호
    • /
    • pp.40-51
    • /
    • 2006
  • 수피의 탄화이용을 위한 수피탄화기술 확립과 이 수피탄화물을 흡착제, 토양개량자재, 미생물활동담체, 건강재료 등으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피탄화물의 메틸렌블루흡착량, 흡습성, 원적외선 방사율, pH, 보수성 및 발열량 등의 성능을 조사하였다. 메틸렌블루흡착량이 탄화온도 $800^{\circ}C$, 탄화시간 8시간에서 낙엽송, 잣나무, 리기다소나무 수피탄화물들은 110 mg/g 이상의 값을 보이고, 모든 수피탄화물의 수소이온농도가 탄화시간 4시간의 경우 탄화온도 $400^{\circ}C$에서 pH 6.6, $600^{\circ}C$$800^{\circ}C$에서는 pH 9 정도를 나타내는 등, 수피탄화물은 탄화물로서의 이용이 가능하고, 탄화온도와 시간만 고려하면 충분히 이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재 탄화에 의한 고밀도 우드세라믹 제조 및 성질 - 탄화온도의 영향 - (Properties and Manufacture of High Density Woodceramics by Re-carbonization - Effect of Carbonization Temperature -)

  • 오승원;황정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6호
    • /
    • pp.517-523
    • /
    • 2009
  • 고밀도 우드세라믹 제조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수지함침율 60%인 톱밥보드를 이용하여 탄화온도별로 제조된 1차 탄화 우드세라믹을 수지 재 함침한 후 2차 탄화하여 우드세라믹을 제조하고 그 물성을 조사하였다. 1, 2차 탄화 우드세라믹 성질 비교에서 탄화온도가 높아질수록 2차 탄화 후 중량 및 밀도증가율은 감소하였고 탄화온도 $600^{\circ}C$일 때 1차 탄화 시보다 중량은 21.7%, 그리고 밀도는 1차 탄화 시 $0.68g/cm^3$에서 2차 탄화 시 $0.82g/cm^3$로 20.6% 증가하여 최고치를 나타냈다.

섬유판을 이용한 무할렬 탄화보드 제조 (Manufacture of Crack-free Carbonized Board from Fiberboard)

  • 박상범;이상민;박종영;이선화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4호
    • /
    • pp.293-299
    • /
    • 2009
  • 섬유판을 이용한 탄화보드의 제조에 있어 무할렬 탄화법 및 탄화온도에 따른 수축률, 중량감소율 및 밀도변화에 대해 검토하였다. 섬유판을 두께별(3, 4.5, 6, 18 mm)로 준비한 후, 실험실용 탄화로를 사용하여 $400^{\circ}C{\sim}1,000^{\circ}C$의 온도조건에서 탄화보드를 제조하였다. 무할렬 탄화법은 시험편에 상하 눌림판을 설치하여 압체 탄화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압체 탄화법에 의해 섬유판의 갈라짐과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무할렬 탄화보드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탄화보드의 수축률은 길이방향 10~25%, 폭방향 12~25%, 두께방향 28~48%로 두께방향이 가장 크고 탄화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커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탄화보드의 중량감소율은 섬유판의 두께에 따른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탄화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커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탄화보드의 밀도는 두께 3 mm의 경질 섬유판에서 가장 컸고 탄화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커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왕겨숯을 이용하여 제조한 보드의 물성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Board Made from Carbonized Rice Husk)

  • 황정우;오승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62-71
    • /
    • 2017
  • 본 연구는 쌀의 도정과정에서 발생되는 농업부산물인 왕겨를 탄화시켜 만든 왕겨숯을 톱밥과 혼합하여 밀도별, 수지첨가율별 및 톱밥첨가율별로 보드를 제조하고 기초물성을 측정하여 보드 재료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수분흡수율은 수지첨가량 25%일 때 80.09%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고, 밀도가 증가하고 톱밥첨가량이 감소할 때 수분흡수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측정된 두께팽윤율은 KSF 3104 파티클보드의 품질규정에 만족시키고 있어 치수안정성 부분에서 건축내장재로 활용가능성이 확인되었다. 박리강도는 수지첨가량 25%일 때 $0.244N/mm^2$으로 KSF 3104 파티클보드의 품질기준을 만족시켰지만, 나머지 조건에서는 현저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밀도, 수지첨가율, 톱밥첨가율이 증가할수록 경도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Effect of Carbonization Temperature on Hygric Performance of Carbonized Fiberboards

  • Lee, Min;Park, Sang-Bum;Lee, Sang-Mi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5호
    • /
    • pp.615-623
    • /
    • 2014
  • Increases of public attention on healthy environment lead to the regulation of indoor air quality such as Clean Healthy House Construction Standard. This standard covers emission of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s) (e.g., formaldehyde, benzene, and toluene), ventilation, and use of environmentally-friendly products or functional products. Moisture absorption and desorption abilities are a recommended functionality for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In this study, moisture absorption and desorption capacities of carbonized board from wood-based panels and other materials were determined by using UNT-HEAT-01 according to ISO 24358:2008. Pine had higher moisture absorption and desorption capacities ($49.0g/m^2$ and $35.3g/m^2$, respectively) than hinoki cypress, cement board, gypsum board, oriented strand board, and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The moisture absorption and desorption capacities differed considerably according to the wood species. After carbonization process at $400^{\circ}C$, the absorption and desorption ability of MDF increased to 38% and 60%, respectively. However, moisture absorption and desorption capacities decreased with increasing carbonization temperature, but they were still higher than original MDF.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carbonization below $600^{\circ}C$ can improve moisture absorption/desorption capacities.

탄화보드를 이용한 서각작품 제작 (Manufacture of Calligraphy-carving Artworks Using Carbonized Board)

  • 박상범;정성호;변희섭;류현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3호
    • /
    • pp.185-190
    • /
    • 2010
  • 중밀도섬유판(MDF)에 글씨나 그림을 새김질한 목판을 제조하고, 이를 탄화하여 서각작품을 제작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섬유판의 탄화에 따른 외형적 및 조직학적 변화를 검토하고 제작된 탄화보드 서각작품에 대한 미학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서각한 MDF를 $850^{\circ}C$에서 탄화한 결과, 할열이나 뒤틀림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치수는 가로 21.8%, 세로 18.8%, 두께 43.5% 줄어들었고, 중량은 69.2%, 밀도는 14.8% 감소하였다. 탄화보드의 전자 현미경에 의한 관찰 결과, 당초 섬유의 표면과 벽공을 둘러싸고 있던 접착제가 탄화되면서 목질섬유의 표면이 매끄럽게 변하고 벽공이 개열되며 섬유의 크기가 균일화되고 조직이 치밀화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수작업에 의한 서각기법과 무할열 탄화기법의 융합에 의해 새로운 탄화보드 서각작품의 제작이 가능하였다. 탄화보드 서 각작품은 목탄의 기능성과 서각의 아름다움을 부여하는 새로운 친환경 예술영역의 한 분야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건축재료의 폼알데하이드 방출 특성 및 탄화보드에 의한 저감 효과 (Formaldehyde Emission of Building Materials and Effect of Carbonized Board on Their Reduction)

  • 장재혁;이민;이상민;박상범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327-33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각종 건축재료의 폼알데하이드 방출 특성 및 탄화보드에 의한 이들의 저감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챔버법으로 성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약 12일간 소형 챔버 내에서의 폼알데하이드 저감 성능은 탄화보드(90%), 죽탄보드(84%), 규조토판넬(82%), 알로펜타일(78%), 소나무판재(58%), MDF (54%), 석고보드(46%)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파티클보드(PB)로 채워진 $1.9m^3$ 크기의 챔버 내 폼알데하이드 방출량을 68일간 조사한 결과, 탄화보드 투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폼알데하이드 방출량은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챔버의 크기 및 PB 면적 대비 탄화보드를 각각 약 10% 및 30% 투입하면 폼알데하이드를 약 40% 및 75% 이상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