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ptan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7초

골프장 농약 검사를 위한 다성분 동시분석방법 확립에 관한 연구 (Establishment of Simultaneous Analysis Method for the Detection of Multi-Pesticide Residue Used in Golf Courses)

  • 윤정기;이민효;노희정;박종겸;김혁;김찬섭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1권4호
    • /
    • pp.18-24
    • /
    • 2006
  • 다성분 동시분석방법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골프장 농약잔류량검사 대상항목 30종 중 다성분 동시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는 24종(유기인계 농약 11종, 유기염소계 농약 5종, 합성피레스로이드계 농약 4종 및 기타 농약 4종 및 농약성분에 대한 토양 잔디 물 등 매체별 회수율 실험 결과, 다성분 동시분석방법의 적용이 가능한 농약은 16종이었으며, 모든 매체에서 70% 이상의 회수율을 보였다. 이들 농약을 계통별로 분류하면, 유기인계 농약 8종(chlorpyrifos, chlorpyrifos-methyl, diazinon, EPN, fenitrothion, phenthoate, phosalone, and toclofos-methyl), 유기염소계 농약 4종(daconil, captan, endosulfan, and tetradifon), 합성피레스로이드계 농약 2종(fepropathrin, lambda-cyhalothrin), 기타 농약 2종(bromopropylate, pendimethalin)이었다. 다성분 동시분석방법의 적용 할 수 없는 8종의 농약 중 dicofol의 경우는, 물과 잔디에서는 회수율이 70%를 상회하였으나, 토양에서는 53%로 나타나 토양의 경우 다성분 동시분석방법의 적용은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amitraz는 매체별 회수율이 70% 이하였고, pyraclofos는 매체별 평균 회수율이 다성분 동시분석방법 적용기준($70{\sim}130%$)에 벗어났으며, bensulide, deltamethrin, iprodione, phosphamidon, tralomethlin의 농약은 전혀 검출되지 않아 본 연구에서 사용한 다성분 동시분석방법을 적용할 수 없었다.

콩 종자(種子)에서 분리(分離)한 사상균(絲狀菌), 그 병원성(病原性) 및 종자(種子) 소독(消毒)에 관한 연구(硏究) (Fungi Associated with Soybean Seed, their Pathogenicity and Seed Treatment)

  • 이두형
    • 한국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7-33
    • /
    • 1984
  • 콩 종자(種子) 14개(個) 시료(試料)를 Blotter법(法)으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부생성(腐生性) 사상균(絲狀菌)은 Alternaria tenuis, Arthrobotrytis sp., Aspergillus spp., Cephalosporium sp., Cladosporium sp., Cylindrocarpon sp., Fusarium equiseti, F. moniliforme, F. semitectum, F. solani, Pennicillium spp. 및 Rhizopus sp. 등이 검출(檢出)되었고, 병원성사상균(病原性絲狀菌)은 Cercospora kikuchii, Colltotrichum truncatum, Diaporthe phaseolorum sojae 및 Fusarium oxysporum 등이 검출(檢出)되었다. C. kikuchii, C. truncatum, D. phaseolorum sojae 및. F. oxysporum에 의해서 자연상태(自然狀態)에서 이병(罹病)된 종자(種子)로부터 유묘(幼苗)의 병징발현(病徵發現)이 어떻게 일어나는가를 조사(調査) 논의(論議)하였다. C. truncatum, D. phaseolorum sojae 및 F. oxysporum에 의해서 병든 종자(種子)는 발아율(發芽率)이 유묘생육(幼苗生育)에 영향을 미쳤다. 병원성(病原性) 사상균(絲狀菌)의 인공접종(入工接種) 결과(結果) 모두 병원성(病原性)이 나타났으나 F. oxysporum은 약하게 나타났다. C. kikuchii, C. truncatum, D. phaseolorum sojae 및 F. oxysporum에 대한 효과적(效果約)인 종자소독제(種子消毒劑)는 Benlate-T, Homai, Tecto 및 Sisthane이었으며, Arasan, Captan, Busan-30 및 Mercron은 C. kikuchii에는 효과(效果)가 낮았으나 기타(其他) 병원균(病原菌)에는 효과(效果)가 있었다. 본(本) 실험(實驗)에 공시(供試)된 약제(藥劑)는 병든 종자(種子)의 발아율(發芽率)을 증진(增進)시키는 효과(效果)가 있었다.

  • PDF

인삼${\cdot}$탄저병에 관한 연구 전염원, 병원균의 생태, 발병요인 및 방제 (Ginseng anthracnose in Korea Factors affecting primary inoculum, growth of the pathogen, disease development and control)

  • 정후섭;배효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5-41
    • /
    • 1979
  • 인삼탄저병에 감염된 포기의 종자에는 $42\%$, 겉으로 건전한 포기의 종자에도 $4\~17\%$의 탄저병균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Fusarium, Alternaria, Phoma, Trichoderma 등도 많이 분리되었다. 탄저병균은 실내에 있는 잎의 조직에서 18개월간 생존하였으며, 옥외의 노지, 지하 10, 30cm에서도 월동할 수 있었다. 인삼잎에 탄저병균의 분생자를 접종하였을 때에 $25-35^{\circ}C$ 발병하였고, $17^{\circ}C$이하에서는 전혀 병반이 형성되지 않았다. 암흑구, 400룩스구에서 탄저병반은 미소하였고, 1200룩스구에서 중정도, 직사광선에서는 극심하였다. 그리고 연령이 어린 잎일수록, 분생자수가 많을수록 병반면적율은 높았다. 병원균의 균사생장 및 분생자형성의 최적온도는 $25^{\circ}C$였고, 균사생장의 최적 pH는 2.8-4.2였으며 분생사형성은 5.2-5.8이었다. 포장에서 살균제와 인삼${\cdot}$탄저병균의 분생자를 함께 3년생식물에 처리했을 때 방제효과가 큰 것은 difolatan 그리고 maneb, zineb, captan, phaltan의 순위였으며 ferbam과 보르도액은 약간 낮았다.

  • PDF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와 긴털이리응애(Amblyseius womersleyi Schicha)에 대한 몇가지 농약의 선택독성 (Toxicity of Some Pesticides to Twospotted Spider Mite (Acari: Tetranychidae) and its Predator Amblyseius womersleyi (Acari; Phytoseiidae))

  • C. G. Park;J. K. Yoo;J. O. Lee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32-237
    • /
    • 1996
  • 사과원에서 사용되는 살비제 5종, 살충제 4종, 살균제 6종올 추천농도로 희석하여 점박이응애와 긴털이리응애에 대한 상대독성을 엽침지법으로 실험실에서 조사하였다. Dicofol은 점박이응애와 긴털이리응애에 대해 독성이 매우 강하였으며, 이들의 난에 대해서도 각각 46%와 40%의 致死效果가 있었다. Abamectin 용액에 침지된 긴털이리응애 암컷성충의 사망율은 무처리와 차이가 없었으나 점박이응애의 암컷성충은 24시간 이내에 모두 사망하였다. Tetradifon, Clofentezine, Hexythiazox등 3종의 살란성 살비제는 점박이 응애의 난에 대해서는 90%이상의 살란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긴털이리응애 난의 부화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Teflubenzuron, Triflumuron, Diflubenzuron, lmidacloprid 등 4종의 살충제와 Propineb, Fenarimol, Polyoxin-B.captan 등 3종의 살균제는 긴털이리응애 암컷성충에 대해 살비효과가 없었으며, Chlorothalonil, Nuarimol . Mancozeb, Folpet 등 3종의 살균제도 23% 이하의 낮은 살비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긴털이리응애 난이나 암컷성충에 저독성을 나타내는 4종의 살충제와 4종의 살비제 및 6종의 살균제는 사과원 병해충 종합관리체계에서 긴털이리응애와 함께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딸기 반엽병균의 계통에 대한 품종간 저항성과 살균제의 방제효과 (Varietal reactions of Strawberry to two isolates of Mycosphaerella fragariae and its chemical control)

  • 김정기;조종택;배태웅;한희세;하상영;문병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49-154
    • /
    • 1978
  • 딸기 48개 품종메 대하여 반엽병균 2개 균주 $K_2,\;S_3$를 폿트시험과 하우스 내의 포장시험으로 인공접종에 의하여 품종별, 균주별의 저항성을 검토하고 약제방제효과에 관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1. 딸기 품종간이나 균주간의 감수성의 차이는 높은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2. $K_2$ 균주가 $S_3$ 균주에 비하여 대부분의 품종에 대하여 병원성이 높았으며 균주에 따라 품종에 대한 반응에 차가 심하였다. 3. $K_2$균주에 대하여 가장 감수성인 품종은 Tioga, Donner, Marshall, Northwest, Red star, Senga sengana, Shasta, Torrey, Hokowase, Daehak No. 1등이고 가장 저항성인 품종은 America, Dabreak, Takanae, Kurumae No. 103, Horida's wander, Benizuru, Hukuba, Himiko등이었다. 4. $S_3$ 균주에 대하여 가장 감수성인 품종은 Marshall. Tioga 등이고 가장 저항성인 품종은 America, Morioka No. 17, Takanae, Kurumae No. 13, Horida's wander, Benizuru, Hukuba등이었다. 5. 딸기 잎의 노유에 따른 $K_2$균주에 대한 감수성은 노엽일수록 저항성이었다. 6. 공시약제중 가장 효과적인 방제악제는 Captan, Zineb, Difolatan등이었다.

  • PDF

콩 검은뿌리썩음병 방제를 위한 살균제 선발 (Selection of Fungicides for the Control of Soybean Black Root Rot Caused by Calonectria ilicicola)

  • 박성우;강범관;김홍식;우선희;김흥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8-26
    • /
    • 2007
  • 콩 검음뿌리썩음병의 방제를 위한 살균제 선발을 위하여 실내 및 온실 검정을 실시하였다. 한천희석법과 96-well microtiter plate법을 이용하여 총 25종의 살균제의 병원균에 대한 생육 억제 효과를 검정하였다. 보호용 살균제 중에서 iminoctadine을 제외한 dithianon, dichlofluanid, mancozeb, captan 등은 한천희석법에서 조사한 병원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EC_{50}$값은 $500{\mu}g\;mL^{-1}$ 이상으로 효과가 매우 낮았지만, 96-well microtiter plate법에서는 4.65, 0.61, 4.64, $0.29{\mu}g\;mL^{-1}$로, 병원균의 포자 발아에 대하여 매우 높은 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ergosterol 생합성을 저해하는 살균제 (EBI) 그룹은 물질에 따라 매우 다른 살균활성을 보였다. Difenconazole의 경우에는 균사생육보다는 포자발아 억제활성이 높았고, prochloraz의 경우에는 균사 생육활성과 포자 발아억제활성이 서로 유사하였다. 이에 비하여 다른 EBI 살균제들은 포자발아보다는 균사생육저해활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Carbendazim과 diethofencarb의 혼합제와 dazomet만이 두 가지의 실내 검정법 모두에서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Carbendazim과 diethofencarb의 혼합제를 비롯한 8종의 살균제를 선발하여 온실검정을 실시한 결과, carbendazim과 diethofencarb의 혼합제만이 병원균을 접종하기 2일 전과 후에 토양에 처리하였을 때, 75와 76.7%의 효과를 보였고, tebuconazole은 병원균을 접종하고 2일 후에 관주처리 하였을 때, 83.3%의 효과를 보였다.

SMP 처리에 의한 수박종자의 발아촉진 (Germination Promotion of Watermelon Seeds Using Solid Matrix Priming(SMP) Treatment)

  • 김성은;송지은;정희;이정명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6권3호
    • /
    • pp.344-346
    • /
    • 1998
  • SMP(solid matrix priming) 처리는 수박종자의 발아세를 높였으나, 최종출현율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SMP 혼합 또는 조성에 있어서 종자 : Micro-Cel E : 물의 비율을 10:1:5 또는 10:1:6으로 한 처리가 묘출현촉진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또한 묘의 생장에서는 SMP 처리에 의해 하배축신장은 다소 촉진되었으나, 하배축경에서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수박품종에 따라서 SMP 처리효과는 다소 다르게 나타났는데, '하우스일품'과 '수로왕'에서 가장 뚜렷한 효과를 보였다.

  • PDF

Screening of Fungicides and Natural Plant Products and Their Efficacy on Control of Aspergillosis in Silkworm, Bombyx mori L.

  • Singh, G.P.;Sharma, S.D.;Selvakumar, T.;Nataraju, B.;Datta, R.K.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권1호
    • /
    • pp.5-11
    • /
    • 2002
  • Seven fungicides viz., salcylic acid, bacistin (Carbandazim 50% WP), bayleton (Triadimefon 25% WP), Dithane M-45 (Mancozeb 75% WP), captan (Captaf 50% WP) formaldehyde and benzoic acid at three concentrations (0.50,0.75 and 1.0%) and ten plant products viz., Hena leaf, garlic bulb, tomato leaf, mango bark, cotton leaf, turmeric powder, onion, tulsi leaf, neem leaf and ginger at 1.0,2.0 and 3.0% concentrations were screened against Aspergillus flavus and A. tamarii in vitro. Among fungicides, salcylic acid and bavistin and among plants Hena and Mango bark powder were found to be very effective at all concentrations tested. Based on in vitro screening, only selected six fungicides at 1.0, 1.5 and 2.(0% and six plants at 2.0,4.0 and 6.0% concentrations were tested in vivo for controlling Aspergillosis in silkworm. Salcylic acid and bavistin fungicides and Hena leaf powder and Mango bark powder have shown considerable effect in controlling Aspergillus infection in silkworm at all concentrations tested.

Evaluation of Different Bed Disinfectants against the Spread of Common Diseases in Silkworm, Bombyx mori L.

  • Irfan Illahi;S. D. Sharma;K. Chrasekharan;B. Nataraju;M. Balavenkatasubbaiah;T. Selvakumar;V. Thiagarajan;S. B. Dandi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6권2호
    • /
    • pp.191-196
    • /
    • 2003
  • Silkworm body and rearing seat disinfection is an integral part of effective silkworm rearing as it prevents the spread of various diseases through secondary contamination in the rearing bed. Many bed disinfectants are recommended by various research institutes in India. In the present study, eight bed disinfectants viz., Vijetha, Labex, Resham Jyothi, Sanjeevini, Suraksha, Reshamkeet Oushadh, Dithane M45 and Captan recommended by various Sericultural Research Institutions in the country against the spread of common diseases of silkworm were tested to determine their comparative efficacy. For the study, all the treatment batches were introduced with fixed number of specific diseased larvae so as to maintain a constant source of pathogen in the bed and then followed by treatment with respective bed disinfectants. Percent mortality/infection due to each disease was recorded to determine efficacy of bed disinfectant treatment against respective disease. The results show that all the bed disinfectants tested have considerable efficacy against the spread of various diseases in the rearing bed. However, Vijetha was distinctly superior in its efficacy against all four major diseases of silkworm. The study emphasize the role of bed disinfectants in silkworm rearing and the fact that they should be judiciously selected based on the efficacy of the bed disinfectant and the type of disease prevalent in a particular season and area.

경북지역 인삼 중 유기염소계 농약의 다성분 분석 (Multi-analysis of the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Ginseng at Gyeongbuk, Korea)

  • 박문기;김정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3-199
    • /
    • 2005
  • To obtain the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the ginseng, the methods of multi-analysis for BHC's isomer, DDT's isomer and other organochlorine pesticides by GC-ECD are surveyed. The relative retention time for $\alpha-BHC,\;\beta-BHC,\;\delta-BHC\;and\;\gamma-BHC$ is 1.000, 1.025, 1.034 and 1.056, respectively. The relative retention time for o,p-DDE, p,p-DDE, o,o-DDD, o,p-DDT, o,p-DDD, and p,p-DDT is 1.199, 1.230, 1.242, 1.286, 1.329 and 1.333, respectively. The BHC isomers, DDT's isomer and other organochlorine pesticides are separated with multianalysis condition. The qualified defection concentration for $\alpha-BHC$, Quintozene, Aldrin, Captan, $\alpha-Endosulfan$, and Dieldrin is 0.95ng/g, 0.27ng/g, 1.04ng/g, 0.63ng/g, 0.55ng/g and 0.62ng/g, respectively. The qualified defection concentration for Fenhexamid, Endrin, $\beta-Endosulfan$, o,p-DDT, Endosulfan-sulfate is 5.71ng/g, 0.61ng/g, 0.48ng/g, 0.44ng/g and 0.51ng/g, respectively. BHC, Aldrin, Dieldrin, Endrin and DDT, which wer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advisory pesticides, are not detected in soil environment. Also it's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are not polluted in the ginseng on Sangju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