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mpbell early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32초

Polygalacturonase와 젤라틴을 병용한 과실쥬스의 청징화 (Clarification of Fruit Juice by the Use of Polygalacturonase and Gelatin)

  • 허병석;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4호
    • /
    • pp.367-373
    • /
    • 1989
  • 과실 쥬스에 대한 polygalacturonase의 청징에서 gelatin 농도, 과실쥬스 pH 등의 영향을 알기 위한 연구 결과 polygalacturonase를 사용한 청징에 적당량의 gelatin을 첨가하면 효과가 큰데, 쯔가루 사과 쥬스 및 Campbell Early 포도 쥬스는 0.04%, 골드 딜리셔스 사과 쥬스 0.02%, 마그놀리아 골드 및 홍옥 사과 쥬스 0.01%, 조나골드 사과 쥬스는 0.06%가 각각 gelatin 최적 첨가 농도였다. Polygalacturonase의 pectic acid 분해 최적 pH는 4.8이나 polygalacturonase와 gelatin을 병용한 청징 최적 pH는 $3.2{\sim}3.5$였으며, gelatin 농도에 따라 청징도는 큰 차이를 보이나 점도는 별차이가 없었다. 0.01mg/ml의 polygalacturonase 농도로써 $45^{\circ}C$에서 반응시키면, 과실의 종류 및 품종에 관계없이 60분에도 잘 청징되지 않았으나, 조나 골드 사과 쥬스는 gelatin 0.06% 첨가로 30분 정도, 마그놀리아 골드 및 홍옥 사과 쥬스는 0.01% 첨가로 각각 30분, 60분 정도, 쯔가루 사과 쥬스 및 Campbell Early 포도 쥬스는 0.04% 로 첨가로 40분 정도, 골든 딜리셔스 사과 쥬스는 0.02%첨가로 40분 정도에서 각각 완전히 청징되었다.

  • PDF

Kluyvera sp. CL2 처리시기가 포도 '캠벨얼리'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the Fruit Quality of 'Campbell early' Grape according to Inoculation time of Kluyvera sp. CL2)

  • 이석호;송명규;김승덕;최원호;이윤상;홍성택;김현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91-29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인산가용화 균주인 Kluyvera sp. CL2 처리시기가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토양의 화학성 변화는 경핵기 처리구에서 인산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K, Ca, Mg도 증가됨을 알 수 있었으며, pH의 변화는 토양 완충능에 의하여 적었다. 인산가용화균 처리에 따른 수용성 인산의 변화는 처리 시부터 20일 까지 효과적이었으며, 과립연화기 처리구부터 인산가용화율이 좋았다. 또한 과립연화기 처리구에서 과방중과 당도가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인산가용화 균주 처리구에서 안토시아닌, 명도, 적색도, 황색도가 경핵기와 과립연화기 처리구에서 유의성을 보였으며, 특히 적색도가 향상되어 착색증진 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과실특성과 과실품질을 모두 비교하였을 때 과립연화기에 인산가용화 균주를 투입하는 것이 수량성과 품질면에서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캠벨얼리 포도의 총 안토시아닌과 총 페놀의 초음파 추출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of anthocyanins and phenolic compounds from campbell early grape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류다연;고은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474-479
    • /
    • 2018
  • 포도의 안토사이아닌과 페놀 화합물의 고효율 추출을 위해 초음파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반응표면분석법으로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Box-Behnken design을 사용하여 시료-용매 비율, 추출시간, 초음파의 진폭을 독립변수로 하였으며, 총 안토사이아닌과 총 페놀 함량을 최대로 하는 추출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총 안토사이아닌 함량은 3가지 독립변수가 유의적인 요인으로 시료-용매 비율이 증가할수록, 추출시간과 진폭은 감소할수록 총 안토사이아닌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총 페놀 함량은 3가지 독립변수 모두 유의적인 요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총 안토사이아닌과 총 페놀 함량의 예측 값과 실측 값이 유사하여 본 연구에서 예측된 회귀식을 신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개발된 포도 봉지 괘대가 '캠벨얼리' 과실의 생리장해와 병 발생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veloped Grape Bag on the Physiological Disorders, Pathogenic Decay and Fruit Quality in 'Campbell Early' Grapevines)

  • 이영철;문병우;김몽섭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6권1호
    • /
    • pp.81-89
    • /
    • 2004
  • 포도 "캠벨얼리" 송이에 새로 개발된 봉지를 괘대하여 봉지 내부의 미기상의 변화, 생리장해 및 병 발생, 과실품질, 수확기 판정의 편이성을 조사하였다. 개발봉지의 미기상은 온도 및 광투과율은 차이가 없었으나, 상대습도 및 봉지 표면의 수분 증발량은 변화를 주었다. 수정불량과, 착색불량과, 동녹 발생율 및 회색곰광이 발생율은 처리 간 큰 차이가 없었다. 열과 및 탄저병 발생은 무대과에 비하여 개발봉지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특히 탄저병 발생정도는 개발봉지가 현저히 덜 심하였다. 과방, 과립 및 과경의 생장 및 가용성고형물, 산 함량, 과색과 과분 발생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개발봉지는 수확기 판정의 편이성이 우수하였으며, 과색 및 과분 발생정도가 높아 과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Pichia anomala JK04와 Saccharomyces cerevisiae Fermivin 혼합발효에 의한 캠벨얼리 와인과 아로니아 와인의 블렌딩 효과 (Blending effect of Campbell Early and aronia wines fermented by the mixed culture of Pichia anomala JK04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Fermivin)

  • 정효성;이새벽;여수빈;김다혜;최준수;김동환;여수환;박희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72-482
    • /
    • 2017
  • 본 연구는 국산 캠벨얼리 와인의 주질 개선과 기능성 향상을 위해 캠벨얼리 뿐만 아니라 안토시아닌과 폴리페놀 성분이 풍부하여 항산화능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아로니아를 이용하여 상업용 효모인 S. cerevisiae Fermivin과 향미증진능을 지닌 P. anomala JK04를 각각 단독 또는 5:5(v/v)의 비율로 혼합발효한 후 블렌딩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최적 블렌딩 비율을 정하기 위하여 예비실험으로 캠벨얼리 와인에 아로니아 와인을 각각 5, 10, 20%(v/v) 첨가하여 항산화능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캠벨얼리 와인과 아로니아 와인의 블렌딩 비율을 9:1(v/v)로 설정하였다. P. anomala JK04로 단독발효한 캠벨얼리 와인은 낮은 알코올 함량으로 인해 블렌딩에서 제외하였고, 나머지는 발효에 이용된 균주에 따라 블렌딩하였다. 블렌딩와인의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총 안토시아닌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모든 블렌딩와인에서 대조구인 S. cerevisiae로 단독발효한 캠벨얼리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블렌딩와인의 유리당 분석 결과에서는 P. anomala JK04로 단독발효한 아로니아 와인을 첨가한 시험구(A,D)에서 glucose와 fructose 같은 잔당이 남아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유기산 분석 결과에서는 상기 두 시험구에서 특히 malic acid 함량이 높게 측정되었다. 블렌딩와인의 외관적 품질을 검사하기 위해 색도, 휘발성 향기성분, 관능검사가 수행되었으며, P. anomala JK04를 사용 여부에 따라 A, B, C와 D, E, F 순으로 hue와 intensity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Hunter's color value에서는 아로니아 와인의 첨가가 와인의 a value와 b value를 증가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휘발성 향기성분분석에서는 P. anomala JK04의 사용이 와인에 부정적인 성분인 aldehyde와 acid 함량이 소폭 증가시키긴 하였지만, 중요한 향기성분은 ester 화합물의 함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P. anomala JK04로 단독발효한 아로니아 와인을 사용한 시험구(A,D)에서 색, 맛, 신맛,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다른 시험구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향기 항목에서는 모든 블렌딩와인이 대조구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 본 연구에서는 캠벨얼리 와인에 아로니아 와인을 블렌딩하여 기능성을 증가시켰으며, S. cerevisiae Fermivin과 P. anomala JK04를 혼합발효하여 향기성분의 증가 및 관능적 품질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포도의 품질 평가를 위한 CIRG 값의 적용 (Application of Color Index for Red Grapes (CIRG) for Assessment of Grape Quality)

  • 최재연;조은경;박서준;허윤영;남종철;고상욱;정성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44-249
    • /
    • 2014
  • 과피색의 경우 정량적인 지표로서 주로 Hunter $L^*a^*b^*$값을 이용하나 이 값으로 과피색, 과실의 품질을 간접적으로 확인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포도 착색지수로서 제안된 CIRG(Color Index for Red Grapes) 값의 활용도를 평가하여 포도 착색의 객관적인 평가지수로서의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포도가 착색이 시작되는 시기부터 과립을 채취하여 과피색과 당도, 산도 등의 품질 인자를 측정하여, CIRG 값과의 상관을 분석하고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CIRG 값과 안토시아닌 함량은 CIRG 값이 증가함에 따라 안토시아닌 함량은 지수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결정계수는 '캠벌얼리'와 '흑보석' 모두 0.8500 였다. CIRG 값과 당도는 '캠벌얼리'가 0.7758, '흑보석'이 0.7253으로 높은 결정계수를 나타냈으며, 산도 또한 각각 0.7279, 0.663으로 비교적 높은 결정계수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적색포도를 대상으로는 CIRG값이 Hunter $L^*a^*b^*$값에 비해 과실품질을 추정하는데 있어 보다 높은 신뢰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포도부산물인 과피로부터 항산화 물질 최적 추출방법 확립 (Optimal Extract Methods of Antioxidant Compounds from Coat of Grape Dreg)

  • 유미애;정혜경;강명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34-140
    • /
    • 2004
  • Anthocyanin색소의 추출은 일반적으로 산을 첨가하면 그 추출효율이 증가한다고 보고되어진 바가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campbell early 포도의 부산물인 과피로부터 항산화 물질을 추출하기 위한 최적추출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ethanol 용매에 산의 종류를 달리하여 추출한 후 anthocyanin, resveratrol, quercetin함량을 측정하고, 이들의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anthocyanin색소 중 peonidin-3-glucoside는 0.1% HCl을 첨가한 추출물에서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cyanidin-3-glucoside는 오히려 산을 첨가하지 않은 ethanol 용매에서 추출한 campbell early 과피 추출물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또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는 페놀성 화합물인 resveratrol과 quercetin의 함량은 0.1% HCl을 첨가한 campbell early 과피 추출물에서 각각 8.1 mg/100g coats로 다른 종류의 산을 처리한 것보다 더 많은 양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PPH에 의한 항산화 효과 측정에서는 산을 첨가한 추출물 모두 15분 이내에 모든 반응이 정지되었으며, 대조군에 비해 높은 전자공여능을 보였다. Lecithin을 이용한 TBARS는 citric acid와 phosphoric acid, formic acid를 첨가한 경우 각각 59.3, 60.5, 56.8%로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campbell early 과피에 0.1% HCl가 첨가된 ethanol용매로 추출시 항산화 활성이 높은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었다.

포도의 기내생장에 미치는 시토키닌의 영향 (Effect of Cytokinins on in Vitro Growth of Grapes (Vitis spp.))

  • 김승희;김선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9권2호
    • /
    • pp.123-127
    • /
    • 2002
  • 포도 두 품종 ('Cabernet Sauvignon', 'Campbell Early')을 공시하여 기내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cytokinin의 종류 (BA, TDZ, zeatin. 2iP, kinetin) 및 농도의 최적 조건을 구명 하고자 수행한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Cytokinin의 단용 처리에서 신초 생장은 두 품종이 비슷한 경향을 보여 대조구가 가장 좋았다. 분지수는 BA 10 $\mu$M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고 TDZ 처리구가 그 다음이었으며, 그 외 처리구에서는 거의 분지되지 않았다. BA 10 $\mu$M 처리에서 총절편체수도 가장 많았으며, TDZ 처리가 그 뒤를 이었다. TDZ 처리에서 생체중이월등히 높았으며 캘러스 형성도 많이 되었으나 신초 생장은 좋지 않았다 'Cabernet Sauvignon'은 zeatin 10 $\mu$M 처리에서 발근되었고 'Campbell Early'는 2iP 10 $\mu$M 처리에서 많이 되었으며, BA와 TDZ 처리에서는 발근되지 않았다. Cytokinin 혼용 처리는 두 품종 모두 단용 처리에서와 마찬가지로 대조구에서 신초생장이 가장 좋았다. 단용 처리에서는 분지되지 않았던 zeatin과 2iP, kinetin에 TDZ를 혼용 처리했을 때 분지가 잘 되었으나, BA나 TDZ 단용 처리보다는 분지수가 적었다. 총절편체수와 생체중도 TDZ 처리구에서 좋은 효과를 보였으며 대조구보다 최고 10배나 높았다. 발근은 대조구에서만 되었으나,'Campbell Early'에서 예외적으로 zeatin과 kinetin 혼용 처리구에서 발근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