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mpbell early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36초

발육 속도 모델을 이용한 포도 '캠벨얼리'의 발아기 예측 (Developmental Rate Equations for Predicting Bud Bursting Date of 'Campbell Early' (Vitis labrusca) Grapevines)

  • 윤석규;신용억;윤익구;남은영;한점화;최인명;유덕준;이희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3호
    • /
    • pp.181-186
    • /
    • 2011
  • 포도 '캠벨얼리'의 발아기 예측을 위해 자발 휴면 타파 이후 발아일까지의 발육 속도(DVR) 계산식을 도출하였다. 항온 실험에서 계산한 DVR은 온도에 대하여 지수 함수식 또는 선형 함수식 모형으로 증가하는 경향이며 DVR 기울기는 0.0019 내외였다. 포도 DVR 계산식은 대기 온도에 대하여 $DVR=0.0249+0.0020e^{0.1654x}$ 또는 DVR = 0.0019x + 0.0187이었으며, DVR 계산식에 일 평균 기온을 대입하여 계산한 예측 발아일의 실측 발아일에 대한 적합도 검정 RMSE 값이 4일 이하로 작았다. 또한 DVR 계산식에 시간별 온도 자료를 대입한 경우에는 일 평균 기온 자료를 사용한 경우보다 오차 값이 작았으며 이때 RMSE 값은 3일 이하였다. 이는 본 연구에서 계산한 DVR 계산식이 포도 발아기 예측에 유용한 예측 값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황산의 처리가 캠벨얼리 와인의 자연발효 시 야생효모의 변화 및 발효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lfiting on the indigenous yeast flora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during the fermentation of Campbell Early wine)

  • 이제봉;김진희;여수환;박희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57-765
    • /
    • 2014
  • 국산 캠벨얼리 포도의 자연발효 특성을 알아보는 한편 아황산 처리가 캠벨얼리 와인의 자연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발효 중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은 아황산 처리구보다 아황산 무처리구에서 더욱 빠르게 감소하면서 알코올의 함량이 빨리 증가하였다. 그러나 발효 종료 후 알코올의 함량은 모두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효모 생균수는 아황산 무처리구에서 빨리 증가하였으며 아황산 처리구에서는 발효 1일 후 오히려 생균수가 감소하다가 그 이후 급격히 증가하여 발효 7일 후부터는 더욱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임의로 분리한 효모의 PCR-RFLP 분석 결과 아황산 무처리구는 4일 후부터 S. cerevisiae가 나타나 5일 후부터 S. cerevisiae가 우점종으로 작용하였으나 아황산 처리구는 발효 1일 후부터 H. uvarum과 S. cerevisiae가 함께 발견되었으며 발효 3일 후부터 S. cerevisiae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발효 후 여과한 와인의 유기산으로는 사과산, 주석산, 호박산들이 검출되었는데 아황산 처리구에서 사과산과 주석산 함량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메탄올,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판올의 함량은 아황산 처리구에서 다소 높았으나 이소아밀 알코올 함량은 낮았다. 아황산 무처리구의 경우 에틸아세테이트 함량은 375.5 mg/L로서 아황산 처리구보다 약 5.3배로 높았으며 와인의 향과 전반적인 기호도 면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Streptomycin을 이용(利用)한 포도(葡萄)의 단위결과(單爲結果) 유기(誘起)에 관(關)한 연구(硏究) (Effects of Streptomycin Sulfate on Parthenocarpy Induction in Grapes)

  • 임엄량;이재창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37-46
    • /
    • 1985
  • 우리나라의 주요(主要) 포도품종(葡萄品種)을 공시(供試)하여 SM처리(處理)에 의(依)한 단위결과(單爲結果) 유기(誘起) 방법9方法)을 조사(調査)하였던 바 다음과 같이 결과(結果)를 얻었다. 1. Schuyler, Delaware, 대평(大平) Dela 및 다노렛드는 SM처리(處理)에 의(依)하여 무핵화(無核化) 재배(栽培)가 가능(可能)하였다. 또한 SM 200ppm에 GA 25ppm을 가용(加用) 처리(處理)하므로서 단위결과(單爲結果) 유기(誘起)나 착립(着粒)의 면(面)에서 안정성(安定性)을 높일 수 있었다. 2. SM처리(處理)에 의한 무핵과(無核果) 유기(誘起) 가능시기(可能時期)는 Schuyler는 만개(滿開) 5~10일전(日前), Delaware는 만개(滿開) 10~18일전(日前), 대평(大平) Dela는 만개(滿開) 7일전(日前), 다노렛드는 만개(滿開) 0~12일전(日前) 처리(處理)가 좋았다. 3. Campbell Early는 SM 200ppm과 초산(醋酸)칼슘 0.05M이나 BA 150ppm을 첨가(添加)하여 처리(處理)할 때 무핵율(無核率)이나 착립율(着粒率)을 높일 수 있으나 아직 실용화(實用化)할 수 있는 정도(程度)는 아니었다. 4. 거봉(巨峰)과 Pione의 경우는 SM처리(處理)에 의하여 용이(容易)하게 단위결과(單爲結果)는 유기(誘起)할 수 있었으나 착립수(着粒數)나 과립중(果粒重)이 수세(樹勢), 환경(環境) 등(等)에 따라 안정성(安定性)이 없었다. 5. Campbell Early와 다노렛드 품종(品種)에서 SM 처리(處理)는 화분(花粉)의 발아력(發芽力)을 현저(顯著)히 감퇴(減退)시켰다.

  • PDF

양조용(釀造用) 우량(優良)포도품종(品種) 선발(選拔)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Selection of Wine Grape Varieties for High Yielding and Low Production Cost)

  • 이재창
    • 농업과학연구
    • /
    • 제2권1호
    • /
    • pp.187-197
    • /
    • 1975
  • 1. 다수성(多收性)이고 당함량(糖含量)이 높아 원료생산비(原料生産費) 저렴한 양조용(釀造用) 포도품종(品種)을 선발(選拔)하기 위하여 33품종(品種)을 공시(供試)하였다. 2. 구라파에서 육성(育成)한 대부분(大部分)의 양조용품종(釀造用品種)은 원산지(原産地)에서 보다 현저하게 당함량(糖含量)이 낮았다. 양조전용품종(釀造全用品種)은 당함량(糖含量)이 모두 17% 미만이었다. 3. 과방중(果房重)이 큰 품종은 Dattier(Ga), Golden Queen, Muscat Bailey A, Danored 등(等) 4품종(品種)이었다. 4. Juice율(率)은 60~90%의 범위로써 Himrod Seedless. Delaware(Ga), Fredonia가 가장 높았다. 5. 양조용품종(釀造用品種)은 생식용(生食用)에 비(比)하여 과방중(果房中) 종자(種子) 및 과경율(果梗率)이 높아 과육율(果肉率)이 떨어졌다. 6. 가장 수량(收量)이 높은 품종(品種)은 Muscat Baiely A이었고 다음이 Danored, Golden Queen이었다. 7. Juice 생산량(生産量)이 가장 높은것은 Campbell Early, Danored, Muscat Bailey A 및 Golden Queen이었다. 8. 포도주원료생산비(原料生産費)로 보아 양조용(釀造用)으로 유망한 품종(品種)은 적주용(赤酒用)은 Muscat Bailey A, Alden, Steuben, Danored, Campbell Early, S-1000 및 S-13053 등(等)이고 백주용(白酒用)은 Dattier de St-Vallier(Ga), Golden Queen 및 S-9110(Ga)등(等)이었다.

  • PDF

품종별 포도씨의 식물성 스테롤 및 지방산 조성 분석 (Analysis of Phytosterol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Grape Seeds Produced in Korea)

  • 위민정;장성호;정미리;윤재민;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25-528
    • /
    • 2009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포도씨 14종에 대한 식물성 스테롤의 함량과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포도씨의 식물성 스테롤의 함량은 그 품종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14품종의 포도씨 모두 $\beta$-sitosterol(64.9$\sim$119.3 mg/100 g)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의 비율은 palmitic(16:0, 6.8$\sim$16.8%), palmitoleic(16:1, 0.1$\sim$0.2%), stearic(18:0, 4.7$\sim$5.2%), oleic(18:1, 16.6$\sim$26.1%), linoleic(18:2, 16.6$\sim$20.1%), linolenic acid(18:3, 0.3$\sim$0.5%) 및 arachidic acid(20:0, 0.3$\sim$0.5%)로 분석되었다.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포도씨 14종의 식물성 스테롤과 지방산의 조성은 유사하였으나 그 함량에는 차이가 있었다. 14품종의 포도씨 중 국내에서 가장 많이 경작되고 있는 Campbell early는 식물성 스테롤의 함량과 지방산 조성에 있어서 비교적 우수한 함량을 보였다. 따라서 Campbell early를 가공함으로써 포도씨유 등과 같은 우수한 품질의 가공품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Carbonic Maceration처리에 의한 Campbell Early 발효액의 감산 효과: 감산 관련 미생물의 분리 및 특성 (Deacidification Effect of Campbell Early Must through Carbonic-Maceration Treatment: Isolation and Properties of the Bacteria Associated with Deacidification)

  • 장은하;정석태;정성민;임병선;노정호;박교선;박서준;최종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973-979
    • /
    • 2011
  • Carbonic maceration 처리는 포도주 제조 시 사과산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사과산 감소의 원인 중 미생물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사과산을 감소시키고 젖산을 생성시키는 미생물을 분리, 동정한 결과Lactobacillus brevis, Lactobacillus plantarum 및 Streptococcus thermophilus의 젖산균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된 균들은 대부분 당에서 젖산을 생성하는 균으로 알려져 있으며 사과산을 함유한 배지에서 균의 배양 중 사과산을 이용하지 않고 젖산을 생성하는 것으로 보아 주로 당을 이용하여 젖산을 생성하는 것으로 보인다. 사과산을 이용해 젖산을 생성시키는 대표적인 malo-lactic bacteria인 Oenococcus oeni 균은 본 실험에서는 동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carbonic maceration 처리 시 사과산의 감소는 포도에 자연적으로 생육한다는 malo-lactic bacteria나 감산 관련 미생물의 영향은 크게 받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며, 젖산 함량의 증가는 당을 이용하는 다양한 젖산균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그네슘 결핍이 포도나무의 황화현상 발생과 포도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gnesium deficiency on Chlorosis and Fruit Quality of Grapevine)

  • 장태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47-355
    • /
    • 2009
  • Grape fruit quality can be deteriorated with leaf chlorosis caused by magnesium (Mg) deficiency during fruit coloring season in several grapevine varieties. The occurrence of leaf chlorosis and soil Mg states for four grapevine varieties (Campbell Early, Muscat bailey A (MBA), Sheridan, and Kyoho) in the vineyards of Gyeongsan and Youngcheon were surveyed.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f chlorosis and fruit qualities were also investigated. Leaf chlorosis was more widely found and the symptom was stronger in Campbell Early in comparison to the other varieties. Sugar content and Hunter values (L, a, b) of grape fruit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trees of chlorosis when compare to healthy grapevine trees. Soil Mg contents in the vineyards where leaf chlorosis was found were lower than the optimum level for grapevine. Also Mg content in the petioles of chlorosis grapevin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healthy grapevines. Application of Mg through foliar spray and soil fertigation was quite effective in correcting deficiencies of Mg in grapevine. Proper management of soil Mg availability and K/Mg ratio is strongly recommended to prevent Mg deficiency in grapevine.

초산훈증에 의한 포도저장병의 발생억제 효과 (Effect of Acetic Acid Fumigation to Prevent Postharvest Decay of Grapes)

  • 박석희;노영균;조두현;추연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41-244
    • /
    • 2000
  • 포도 저장중의 가장 큰 문젯점인 부패과 발생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acetic acid를 'Campbell Early'와 'Sheridan'품종에 훈증처리하여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포도과실의 탈립정도는 acetic acid를 훈증처리한 후 저장 90일에 두 품종 모두 1.0~1.5%로 나타나 무처리의 2.9~8.0%와 비교하여 탈립억제 효과가 인정되었다. 부패과립은 acetic acid 훈증처리구의 경우 저장 90일에 과방당 0.7~2.9% 발생되어 무처리구의 8.3~27.6%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감소되었고, PDA배지상에서 병원균의 생장유무를 관찰할 결과 병발생이 없어, acetic acid 훈증처리가 병발생 억제에 효과적이었다.

  • PDF

$SO^2$ 발생 패드처리가 포도 과실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O^2$ generating pad treatment on storage of grape berries)

  • 임병선;이신희;황용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4호
    • /
    • pp.607-612
    • /
    • 2011
  • The occurrence of grape berry shattering and decay is influenced by the pre- and/or postharvest infection of decay organisms and pest. Postharvest infection is associated with physical damage due to rough handling. To control quality loss during storage of table grapes, the effects of slow releasing $SO^2$ pad on storability of 'Rosario Bianco' (Vitis vinifera) and 'Campbell Early' (Vitis labruscana) grapes were examined, respectively. The $SO^2$ concentration in package of tables grapes reached to at about 40 $ug{\cdot}L^{-1}$ after 40 days of treatment and remained more than 80 days above 15 $ug{\cdot}L^{-1}$. Decay was found in untreated 'Rosario Bianco' and 'Campbell Early' grapes at each for 44 and 85 days after storage, but not in $SO^2$ pad treated grapes. The storage potential of grape berries at $0^{\circ}C$ increased 2~3 times depending on cultivar by $SO^2$ pad treatment. The application of $SO^2$ pad is confirmed to be effective on the increase of market potential with minimizing quality loss such as berry shattering and decay.

포도 품종별 추출물의 혈당 완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Diabetic Activities by Extracts of Grape Cultivar)

  • 김민아;손형우;윤은경;최용희;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00-405
    • /
    • 2012
  • 포도 3종(Campbell early, MBA, 거봉)의 과피와 씨를 물과 ethanol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은 대부분의 추출물에서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물 추출물이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그에 따라 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streptozotocin (STZ)에 의해 유도된 당뇨 마우스모델의 고혈당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캠벨(씨)의 물 추출물을 처리한 당뇨 유발 마우스의 혈당은 시간이 지날수록 그 수치가 떨어져 3시간이 지난 후에는 정상 수치까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거봉(씨) 물 추출물을 처리한 마우스에서는 혈당 상승이 1/3 수준으로 완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포도의 과피와 씨 추출물은 고혈당 개선에 효과를 지닐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향후 혈당에 관련된 기타분자표적의 추적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