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mpanulaceae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초

길경의 생약학적 연구 (Pharmacognostical Studies of the 'Gil Gyung')

  • 안미정;배지영;박종희
    • 생약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13-217
    • /
    • 2011
  • Platycodon grandiflorum (Campanulaceae) is listed in Shin-Nong-Bon-Cho-Kyung (神農本草經) as the remedy for ventilation the lung, resolving phlegm, promoting pus discharge and subduing carbuncles. The prescriptions of Gil-Gyung-Tang (桔梗湯) are also recorded in many other Chinese medicinal books. The identification of the cultivation year of P. grandiflorum is very important in commercial market as well as in research field. However, any reports about it have not been clearly established yet. To clarify the criterion, the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roots of P. grandiflorum cultivated in Korea for various years wer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rk layer, latex tube, and vessels were shown to be useful keys to confirm the cultivation year of P. grandiflorm. As a result, it was clarified that Kilkyung from Korea was the two years root of Platycodon grandiflorm.

당잔대(Adenophora stricta) 뿌리의 성분연구 (Phytochemical Study of Adenophora stricta Roots)

  • 노태웅;윤기동
    • 생약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73-80
    • /
    • 2019
  • Adenophora stricta Miq. (Campanulaceae) is an annual herb, which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in Korea, Japan and China to treat bronchial asthma, tonsillitis, and hypertension. In this study, 12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roots of A. stricta and isolates were identified to be methyl adenophorate (1), decursidin (2), L-tryptophan (3), D-1,2,3,4-tetrahydronorharmane-3-carboxylic acid (4), vanillic acid 4-O-${\beta}$-D-glucopyranoside (5), syringic acid 4-O-${\beta}$-D-glucopyranoside (6), vanillin (7), vanillic acid (8), p-hydroxybenzaldehyde (9), p-hydroxybenzoic acid (10), p-hydroxyacetophenone (11) and linoleic acid (12). Decursidin (2) and D-1,2,3,4-tetrahydronorharmane-3-carboxylic acid (4) is firstly reported from A. stricta in current study.

만삼의 성분 연구 (A Phytochemical Study on the Component of Codonopsis pilosula Roots)

  • 이인란;정명희
    • 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7-61
    • /
    • 1979
  • A white crystlline substance, compound H ($C_{29}H_{46}O$) mp $165-6^{\circ}$, [$\alpha]>_{D}+24.7^{\circ}$ ($CHCl_{4}$) was isolated from the ether extract of the underground part of Codonopis pilosula (Franchet) Nannfeldt (Campanulaceae). Its chemical structure was identified as stigmasta- 7, 22-dien-3-one ($\alpha$-spinasterone).

  • PDF

Flavonoids from Codonopsis lanceolata Leaves

  • Whang, Wan-Kyunn;Park, Kyun-Young;Chung, Sung-Hoon;Oh, In-Se;Kim, Il-Hyuk
    • 생약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04-208
    • /
    • 1994
  • For the investigation of resources in Codonopsis species, the studie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harmaco-constituents from the leaves of Codonopsis lanceolata (Campanulaceae) whose roots have been used to antitussive, expectorant, detoxicate, tonic, edible, etc. as a folk medicine in Korea. From the EtOAc and BuOH fractions of MeOH extract, three flavonoid compounds, $luteolin-7-O-{\beta}-_D-glucopyranoside$$(C_{21}H_{20}O_{1i},\;mp\;254{\sim}255^{\circ}$, compound 1), $luteolin-5-O-{\beta}-_D-glucopyranoside$$(C_{21}H_{20}O_{1i},\;mp\;279{\sim}281^{\circ}$, compound 2) and luteolin $(C_{15}H_{10}O_6,\;mp\;327{\sim}330^{\circ}$, compound 3)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pectroscopic evidences(UV, IR, $^1H-NMR$, $^{13}C-NMR$, MS etc.) in comparison with authentics respectively.

  • PDF

저온처리(低溫處理), 파종후(播種後) 광질(光質) 및 일중조명시간(日中照明時間)에 따른 도라지, 더덕, 만삼의 발아율(發芽率) (Effect of Prechilling, Light Quality and Daily Irradiation Hours on Seed Germination in Three Campanulan Plants)

  • 강진호;박진서;류영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1-138
    • /
    • 1997
  • 초롱꽃과 약음작물 재배에서의 문제점은 발아의 불안정에 기인한 입묘율(立苗率) 불량(不良)이라 할 수 있다. 초롱꽃과 약용작물중에서 농가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는 도라지, 더덕 및 만삼의 발아 및 유근신장에 미치는 광질(光質), 일중조명시간(日中照明時間) 및 저온처리(低溫處理) 기간(期間)의 영향을 추적하여 초기입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본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종(供試種)의 발아율은 광질(光質), 일중조명시간(日中照明時間) 또는 저온처리(低溫處理)에 관계없이 도라지에서 가장 높고 만삼에서 가장 낮았으며, 광질(光質)에 따른 발아율은 일중조명시간(日中照明時間) 및 저온처리(低溫處理)에 따라 변화되었던 반면, 일중(日中) 12시간의 조명(照明)이 초기 발아율을 향상시켰으나 4일에서 8일로 저온처리 기간을 증가시킴으로서 발아율은 향상되었다. 2. 일중조명시간(日中照明時間)에 관계없이 도라지의 발아율은 백색광(白色光)에서 높았으나 더덕은 오히려 가장 낮은 결과를 보인 반면, 만삼은 일일 12시간 이상의 조명(照明)하에서 더덕과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광질효과(光質效果)는 저온처리로 인하여 현저히 소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치상 후 9일에 조사된 공시종(供試種)의 유근장은 광질(光質), 일중조명시간(日中照明時間) 또는 저온처리(低溫處理)에 관계없이 더덕에서 가장 길고 만삼에서 가장 짧았고, 광질(光質)에 따른 유근장은 일중조명시간(日中照明時間) 및 저온처리(低溫處理)에 따라 변화되었던 반면, 일중 8시간의 조명(照明)에서 가장 길고 4일에서 8일로 저온처리 기간을 증가시킴으로서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4. 유근장은 무처리(無處理)에 비하여 저온처리를 4일 또는 8일 동안 가할 경우 발아기간에 관계없이 도라지와 더덕에서는 길어졌던 반면, 만삼에시는 8일 간의 저온처리에서만 이러한 현상이 관찰되었다.

  • PDF

Priming과 파종후(播種後) 광질처리(光質處理)에 따른 도라지, 더덕, 만삼의 발아율(發芽率) (Effect of Priming and Light Quality on Seed Germintion in Three Campanulan Plants)

  • 강진호;박진서;김동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9-146
    • /
    • 1997
  • 본 연구는 전보(前報)에 이어 초롱꽃과 약용작물 중에서 농가에서 재배되고 있는 도라지, 더덕, 만삼 종자의 발아 및 유근신장에 미치는 priming 방법(재료, 농도, 기간)과 Priming 후 발아과정에서의 광질(光質) (적색광(赤色光), 백색광(白色光), 암상태(暗狀態)) 효과(效果)를 조사하여 입묘율 향상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균발아율(平均發芽率)은 priming 후 발아시 암조건(暗條件)에서는 도라지, 만삼, 더덕 순으로 감소하였던 반면, Priming 후 광질처리(光質處理)로 인하여 만삼에서는 발아가 억제되고 더덕에서는 발아가 향상되어 도라지, 더덕, 만삼 순으로 감소하였다. 2. 암상태(暗狀態)로 수행된 priming 처리에서 처리기간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할지라도 $KNO_3$ 보다는 $Ca(NO_3)_2$가, 무처리(無處理) 또는 타처리농도(他處理濃度)에 비하여 $50{\sim}150mM$에서 발아율과 유근신장이 향상되었다.3. Priming 후 광질처리(光質處理)로 인한 발아율은 도라지에서는 priming 유무(有無)에는 차이가 없었던 반면, 더덕에서는 발아초기에, 만삼에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발아율이 향상되었다. 4. 발아중 백색광(白色光) 처리(處理)는 더덕과 만삼에서 발아를 억제하였는데 이러한 경향은 만삼에서 큰 반면, 도라지에서는 초기발아가 조장되는 것으로 나타나 초롱꽃과 약용작물의 발아는 priming 후 주어지는 광질(光質)에 따라 변화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만삼의 성분에 관한 연구 (A Phytochemical Study on Components of Codonopsis pilosulae Radix)

  • 이인란
    • 약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7
    • /
    • 1978
  • Two yellowish oily liquid compounds, $C_{6}H_{6}O_{3}$(A) bp $189^{\circ}$, $n^{20}_{D}$ 1.3697 and $C_{7}H_{8}O_{3}$(D) bp $164^{\circ}$, $n^{20}_{D}$1.5075, were isolated from root of Codonopsis pilosula (Franch.) Nannfeldt (Campanulaceae).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5-(hydroxymethyl)-2-furaldehyde(A) and 5-(methoxymethyl)-2-furaldehyde(D). The latter is a new compound among the known natural products.

  • PDF

만삼(蔓蔘)엑기스가 임파성백혈병 P388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acts from the Codonopsis pilosulae Radix on P388 Lymphocytic Leukemia in vivo)

  • 이인란
    • 생약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4-107
    • /
    • 1980
  • Mansam, the root of Codonopsis pilosula (Campanulaceae) has a action on blood metabolism. It has been known to possess anti leukemic effect by increasing of red blood cell, at same time, by decreasing white blood cell, with this connection, present study is aimed to clarify such potential anti leukenic effect by testing ethanol extract and chloroform extract against murine tumor model, lymphocytic leukemia P388. The data indicated that these extracts appeared to be inactive against this tumor line.

  • PDF

만삼의 Sterol 및 Steryl glycoside에 관한연구 (Sterols and Steryl glycosides from the Root of Codonopsis pilosula)

  • 이인란;김영희;박성배
    • 생약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29-131
    • /
    • 1982
  • From the roots of Codonopsis pilosula (Franch.) Nannfeldt (Campanulaceae), ${\alpha}$-spinasterol, mp $165{\sim}7^{\circ}$ and alpha-spinasteryl D-glucoside, mp $283{\sim}5^{\circ}$,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on the basis of chemical and spectral data. Spectral data showed that $\Delta^7-stigmasterol$ and its glucoside were contained as minor compon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