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dmium poisoning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8초

Relationships of Lead, Mercury and Cadmium Levels with the Timing of Menarche among Korean Girls

  • Choi, Hye Seon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6권1호
    • /
    • pp.98-106
    • /
    • 2020
  • Purpose: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o explore differences in the timing of menarche in Korean girls according to blood heavy metal concentrations. Methods: This study performed a secondary analysis of cross-sectional data from the sixth KNHANES. Data from 179 female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10~18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s of blood heavy metal concentrations (lead, mercury, and cadmium) with age of menarche were analyzed using complex sampl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I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the geometric mean values of blood lead, mercury, and cadmium concentrations were 1.15±0.04 ㎍/dL, 1.80±0.08 ㎍/L, and 0.30±0.03 ㎍/L, respectively. Mercury poisoning (>5 ㎍/L) was found in 1.5% of participants. Furthermore,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blood lead and mercury concentrations and age at menarche (p for trend: p<.001 and p=.015, respectively). Conclusion: Through an analysis of national big data, this study found evidence that Korean girls showed a younger age at menarche in response to higher blood lead and mercury concentrations. To prevent and manage precocious puberty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a systematic policy that monitors both exposure to environmental hazards and blood heavy metal concentrations is needed.

장기간의 철분 부족 식이가 카드뮴중독된 흰쥐의 철분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etary Low Iron Levels on the Metabolism of Iron in Long Termm Cadmium Poisoned Rats)

  • 최미경;김애정;승정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9-16
    • /
    • 1994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low (Fe) levels on Fe metabolism of cadmium(Cd) poisoned rats. 40 male Sprague weaning Dawley rats weighing 80-90g were divided into 4 groups(LFe:low Fe, LFeCd:low Fe and Cd, AFe: adequate Fe, AFeCd: adequate Fe and Cd) according to Cd administration(0, 50ppm in drinking water) and Fe levels(Fe:6ppm, 40ppm in diet)for 12 weeks. The food intake and body weight gain of Cd group with low Fe(LFeCd)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without Cd group with adequate Fe(AFe)(p<0.01,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Cd groups and without Cd groups in water intake. The blood levels of hemoglobin, hematocrit, and serum levels of Fe of LFeCd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AFe(p<0.01, p<0.05, p<0.001). The urinary and fecal excretion of Fe of LFeCd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AFe(p<0.05, p0.05). The levels of Fe of liver, spleen in LFeCd were lower than those of AFeCd(p<0.05, p<0.05). These results indicates that adequate iron supplementation to Cd pretreated rats induce protective effects on the reduction of Fe status by Cd poisoning.

생쥐에 있어서 카세인, 칼슘 및 우지가 카드뮴의 장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Calcium, Casein and Suet on Intestinal Absorption of Cadmium in Mice)

  • 정규생
    • 환경위생공학
    • /
    • 제3권2호
    • /
    • pp.61-78
    • /
    • 1988
  • 식이조성에 따른 카드뮴의 장관내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할 목적으로 1988년 4월부터 5월까지 30일간 생쥐 90마리를 사육한 후 에테르 마취로 도살한 뒤 장기를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한 후 습식 분해하여 원자흡광분광 광도계로 분석하였다. 다만 카드뮴은 고농도 1회 투여군 ($100{\mu}g$ 경구투여 )과 저농도 자유섭취군 (50ppm 함유음용수 자유섭취)으로 구분하여 각각 카세인, 칼슘 및 우지식이군별로 시험하였다. 생존율은 대조군 (기본사료+증류수)이 $100\%$이었고, IV군 (기본사료+Cd+Ca)의 고농도 1회 및 저농도 자유섭취군과 V군 (기본사료 + Cd + 우지)의 저농도 자유섭취군이 각각 $66.7\%$로 가장 낮았다. 최종 체중증가비는 모두 대조군의 $42.3\%$보다 낮았으며 고농도 1회 투여군에서는 V군이 $26.0\%$로 제일 낮았고 IV군이 $42.3\%$로 가장 높았으며 저농도 자유섭취군에서는 II군(기본사료+카드뮴)이 $11.6\%$로 가장 낮았고 IV군이 $24.0\%$로 제일 높았다. 고농도 1회 투여후 5일까지는 거의 체중증가가 없었으나 그 이후 회복되었고 저농도 자유섭취군은 만성적인 누적으로 체중이 증가하는 미진한 경향이었다. 장기별 무게비는 간장은 고농도 1회투여군과 저농도 자유섭취군 모두 II군이 가장 낮았으며 신장과 비장은 고농도 1회 투여군의 II군이 가장 높았고 저농도 자유섭취군의 II군이 가장 낮았다. 대변으로의 카드뮴 배설은 카드뮴 $100{\mu}g$ 1회 경구투여후 1내지 1내지 2일 사이에 거의 대부분 이루어졌다. 조직에 축적된 카드뮴 함량은 대조군보다 모두 유익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간장, 신장 및 근육조직에서 식이별로는 고농도 1회 투여군과 저농도 자유섭취군 모두 II군이 가장 높게 저농도 자유섭취군 모두 II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피부와 체모를 합한것에서는 고농도 1회 투여군의 II군과 저농도 자유섭취군의 V군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그리고 저농도 자유섭취군의 각 장기 및 조직의 카드뮴 함량이 고농도 1회 투여군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카세인, 칼슘 및 우지첨가식이가 카드뮴의 장관내 흡수를 저지하는 효과가 다소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중 칼슘식이가 가장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유통 패류의 중금속 및 패류독소 분석 (Analysis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and Shellfish Poisoning Toxins in Marketed Shellfishes)

  • 김정은;황선일;이성봉;신상운;권혜정;이지연;이병훈;모아라;최옥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59-16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유통 패류 104건을 대상으로 중금속(납, 카드뮴, 수은) 및 패류독소(설사성 패류독소, 기억상실성 패류독소) 실태조사를 하였다. 중금속 분석 결과, 납의 검출범위는 0.0177-0.5709 mg/kg, 카드뮴의 검출범위는 0.0226-1.4602 mg/kg, 수은의 검출범위는 0.0015-0.0327 mg/kg이었으며, 모두 국내 기준 이하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설사성 패류독소 모니터링을 위해 okadaic acid와 dinophysistoxin-1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104건 모두 불검출이었다. 기억상실성 패류독소인 domoic acid를 분석한 결과, domoic acid가 검출된 것은 5건으로 4.8%의 검출률을 보였다. 기억상실성 패류독소가 검출된 시기는 각각 1월 1건, 2월 1건, 5월 1건, 9월 2건이 검출되어 패류독소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 패류 내 중금속은 기준 규격 이내로 안전한 수준이라 하더라도 중금속 오염에 대한 지속적인 안전관리가 필요하고, 향후 수산물 중금속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생쥐에 있어서 카세인, 칼슘 및 우지가 카드뮴의 조직내 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Calcium, Casein, and Suet on the Accumulation of Cadmium in Mice)

  • 정규생;김두희;정경동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1권2호
    • /
    • pp.340-350
    • /
    • 1988
  • 식이조성에 따른 카드뮴의 조직내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할 목적으로 1988년 4월부터 5월까지 30일간 생쥐 90마리를 사육한 후, 에테르 마취로 도살한 뒤 장기를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한 후 습식 분해하여 원자흡광분광광도계로 분석하였다. 카드뮴은 고농도 1회 투여군($100{\mu}g$ 경구투여)과 저농도 자유섭취군(50ppm 함유음용수 자유섭취)으로 구분하여 각각 카세인, 칼슘 및 우지식이군별로 시험하였다. 생존율은 대조군(기본사료+증류수)이 100%이었고, IV군(기본사료+Cd+Ca)의 고농도 1회 및 저농도 자유섭취군과 V군(기본사료+Cd+우지)의 저농도 자유섭취군이 각각 66.7%로 가장 낮았다. 최종 체중증가비는 모두 대조군의 42.3%보다 낮았으며 고농도 1회 투여군에서는 V군이 26.0%로 제일 낮았고 IV군이 42.3%로 가장 높았으며 저농도 자유섭취군에서는 II군(기본사료+카드뮴)이 11.6%로 가장 낮았고 IV군이 24.0%로 제일 높았다. 고농도 1회 투여후 5일까지는 거의 체중증가가 없었으나 그 이후 회복되었고, 저농도 자유섭취군의 체중증가는 미진한 경향을 보였다. 장기별 무게비는 간장은 고농도 1회 투여군과 저농도 자유섭취군 모두 II군이 가장 낮았으며, 신장과 비장은 고농도 1회 투여군의 II군이 가장 높았고 저농도 자유섭취군의 II군이 가장 낮았다. 대변으로의 카드뮴배설은 $100{\mu}g$ 1회 경구투여후 $1{\sim}2$일 사이에 거의 대부분 이루어졌다. 조직에 축적된 카드뮴 함량은 대조군보다 모두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간장, 신장, 비장 및 근육조직에서 식이별로는 고농도 1회 투여군과 저농도 자유섭취군 모두 II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피부와 체모를 합한 것에서는 고농도 1회 투여군의 II군과 저농도 자유섭취군의 V군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그리고 저농도 자유섭취군의 각 장기 및 조직의 카드뮴 함량이 고농도 1회 투여군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카세인, 칼슘 첨가식이가 카드뮴의 장관내 흡수를 저지하는 효과가 다소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중 칼슘식이가 가장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카드뮴의 장기 중독시 철분의 섭취 수준이 흰쥐의 체내 카드뮴 축적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Dietary Iron Levels on the Cadmium Accumulation in Cadmium Poisoned Rats)

  • 최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7권7호
    • /
    • pp.709-716
    • /
    • 1994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Fe levels on Cd accumulation in Cd poisoned rats. Forty male weaning Sprague Dawley rats weighing 80-90g were divided into 4 groups(LFe : low Fe, LFeCd : low Fe and Cd, AFe : adequate Fe, AFeCd : adequate Fe and Cd) according to Cd administration(Cd : 0 or 50ppm in drinking water) and Fe levels (Fe : 6 or 40ppm in diet) for 12 weeks. The food intake and weight gain of LFe and LFeCd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AFe and AFeCd(p<0.01, p<0.001). The water intake was not affected significantly by Cd and Fe, therefore Cd intak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 Cd accumulation of kidney in LFeC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FeCd(p<0.001). But the Cd accumulations of brain, liver and splee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d groups and without Cd groups. The serum Cd content and urinary Cd excretion of LFeC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FeCd(p<0.01, p<0.01). But the fecal Cd excretion of LFeCd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AFeCd(p<0.001). The Cd retention, Cd retention rate, and apparent Cd digestibility of LFeC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FeCd(p<0.001, p<0.001, p<0.001). It was concluded that adequate Fe supplementation have protective effects on the long term Cd poisoning in rats.

  • PDF

Comparison of Trace Element, Metal, and Metalloid Contents in North and South Korean Plants

  • Park, Jeong-Soo;Chung, Ha-Sook;Lee, Eun-Ju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995-1001
    • /
    • 2014
  • When relations improv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ere will be demand for North Korean edible plants because of the low labor cost and similar environmental conditions. However, there is no reliable information about trace elements, metals, and metalloids in edible plants from North Korea. Selenium (Se) and germanium (Ge) have positive effects on basic human health and are therapeutical in diverse illnesses. Metal and metalloid (Cd, Pb) poisoning, on the other hand, can cause many health problems. Plants collected from North Korea had higher selenium content than those from South Korea. Although none of the collected species exceeded the permissible levels of cadmium and lead, their content in plan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orth Korea than in South Korea. The high metal contents in plants collected from North Korea may be associated with the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s well as the accumulated amounts of elements in the soil.

카드뮴 중독이 흰쥐의 후구에 미치는 영향 (PATHOLOGICAL STUDY OF CADMIUM POISONING IN OLFACTORY BULB OF RATS)

  • 여상원;김병우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1년도 제25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7-17
    • /
    • 1991
  • 산업의 발전과 함께 최근 카드뮴 중독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카드뮴 중독은 특히 건전지 제조공장, 카드뮴 광산 등에서 잘 발생하며 카드뮴 분진의 흡입, 음식물내 카드뮴 복합물의 섭취 등에 의해 유발된다. 중독증상으로는 폐부종 및 섬유화, 신부전증, 폐부전증, 고혈압, 생식선 위축, 골연화증, 무취증, itai-itati 질환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무취증에 대한 정확한 발생기전은 밝혀져 있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카드뮴 중독을 유발시키기 위하여 흰쥐에 $CaCl_2$ 11.2 mg/kg을 3주일간 매일 피하주사한 후 3주 후에 두개골을 제거하고 후구를 절취한 후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사구체 주위 부위에 있는 사구체 주위 세포의 세포돌기와 신경축삭에 퇴행성 변화가 발생하였다. 2. 외상망 부위와 승모세포, 과랍세포 등에서는 뚜렷한 변화를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카드뮴중독이 흰쥐 정관 및 꼬리동맥의 아드레나린성 ${\alpha}-$수용체에 미치는 영향 (Alteration of ${\alpha}-Adrenoceptor$ by Cd-poisoning in Rat Vas Deferens and Tail Artery)

  • 손방현;조수열;이상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53-258
    • /
    • 1985
  • 흰쥐 정관 및 꼬리 동맥의 ${\alpha}_1-$${\alpha}_2-$수용체, 그리고 prostaglandine과 관련해 NA 유리에 미치는 Cd의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d 중독 흰쥐 정관에서 전기 자극에 대한 반응은 증가하였으며, Freq.50은 대조군보다 현저히 낮아졌으며 꼬리동맥의 반응은 감약되었다. 2. Cd 중독 정관에서 clonidine의 억제반응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methoxamine 존재하의 전기 자극 반응은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다. 3. $PGE_2$에 의한 억제작용은 Cd 중독군에서는 소실되었으나 꼬리 동맥에서 $PGE_2$의 억제효과는 Cd 중독으로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다. 4. Cd 중독 꼬리 동맥에서 methoxamine 및 clonidine에 대한 수축반응은 최대 수축고가 현저히 낮아졌으나 $ED_{50}$치는 변화하지 아니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Cd 중독시 정관에서 시냅스 전막 autoreceptor가 억제되어 교감 신경 흥분성이 증가함으로써 전기자극에 대한 반응이 항진되었다고 생각된다.

  • PDF

한국 여자 청소년과 성인 여성의 혈청 철 영양상태 및 식품 섭취와 혈중 중금속 농도와의 상관성 : 2010~2011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Association of iron status and food intake with blood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Korean adolescent girls and women: Based on the 2010~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지영;신민서;김성희;서지현;마혜선;양윤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4호
    • /
    • pp.350-360
    • /
    • 2017
  • 본 연구는 제5기 (2010~2011)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초경 후 여자 청소년, 폐경 전 여성과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철 영양상태 및 식품 섭취 빈도와 혈중 중금속 농도와의 상관성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폐경 후 여성, 폐경 전 여성, 여자 청소년 순으로 혈중 납, 수은, 카드뮴 농도가 높았다. 수은 중독 비율은 폐경 후 여성에서 가장 높았다. 2) 철 영양 상태와 결핍은 초경 후 청소년의 경우, 혈청 페리틴 농도의 평균값이 가장 낮았고, 폐경 전 여성의 경우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 농도의 평균값이 가장 낮았고,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 혈청 페리틴, 철 결핍비율이 가장 높았다. 3) 철 영양상태와 혈중 중금속 농도 관계에서 초경 후 청소년은 철 영양 상태가 나쁠수록 혈중 카드뮴 농도가 높았다. 폐경 전 여성도 철 영양 상태가 나쁠수록 혈중 카드뮴 농도가 높았으나, 혈중 납 농도, 혈중 수은 농도는 낮아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폐경 후 여성은 철 영양 상태가 좋을수록 혈중 납 농도는 낮았고, 혈중 수은 농도, 혈중 카드뮴 농도는 높았다. 4) 혈중 중금속 농도와 식품군별 섭취빈도의 상관성은 초경 후 청소년의 경우, 혈중 납 농도는 우유 및 유제품 섭취 빈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혈중 수은 농도는 생선 및 어패류 섭취 빈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혈중 카드뮴 농도는 곡류, 우유 및 유제품 섭취 빈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폐경 전 여성의 경우, 혈중 납 농도와 서류, 육류 및 난류, 과일 섭취 빈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혈중 수은 농도는 생선 및 어패류 섭취 빈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곡류, 서류 섭취 빈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혈중 카드뮴 농도는 서류, 육류 및 난류 섭취 빈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폐경 후 여성의 경우, 혈중 납 농도는 패스트푸드 및 튀긴 음식 섭취 빈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혈중 수은 농도는 서류 섭취 빈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과일섭취 빈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폐경 후 여성의 혈중 중금속 농도와 중독비율이 다른 여성에 비해 더 높았고, 폐경 전 여성의 철 영양상태가 초경 후 청소년과 폐경 후 여성에 비해 좋지 않았다. 초경 후 청소년은 철 영양상태가 나쁠수록 혈중 카드뮴 농도는 높았으며, 우유 및 유제품의 섭취 빈도는 혈중 납 농도, 혈중 카드뮴 농도와 음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폐경 전 여성의 경우, 철 영양상태가 나쁠수록 혈중 카드뮴 농도는 높았으며, 생선 및 어패류 섭취 빈도가 많을수록 혈중 수은 농도가 높아졌다. 결론적으로 여성의 연령, 월경여부 등으로 인해 철 영양상태가 상이함에 따라 혈중 중금속 종류에 따른 농도와의 상관성이 달랐으며, 식품군 섭취빈도와의 상관관계도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