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Dietary Calcium, Casein, and Suet on the Accumulation of Cadmium in Mice

생쥐에 있어서 카세인, 칼슘 및 우지가 카드뮴의 조직내 축적에 미치는 영향

  • Jung, Kyu-Sang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Doo-Hi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Jung, Kyung-Do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정규생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 김두희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정경동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1988.11.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effect of dietary calcium, casein, and suet on the accumulation of cadmium in mice. It was performed for 30 days, from April 11 to May 10 1988.90 mice were divided into 4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 with 6 mice each dietary group, and measured survival rate, body weight, and weight ratio of organ to body. The contents of cadmium in liver, kidney, spleen, muscle and skin with hair, and feces were analyz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fter sacrifice by anesthesia. After 30 days, the survival rate of control group was loot,, but 66.7% in group IV(basal diet+Cd+Ca) with single dose of $100{\mu}g$ cadmium and with free-intake of water containing 50ppm cadmium, and group V(basal diet+Cd+suet) with free-intake of water containing 50ppm cadmium. The rate of weight gain in the case of single dose of $100{\mu}g$ cadmium was highest in group IV as 42.3% and lowest in group V as 26.0%, whereas in the cases of free intake group W was highest as 24.0% and group II(basal diet+Cd) was lowest as 11.6%. The body weight, in the case of single dose of $100{\mu}g$ cadmium showed no increase until 5th day after acute poisoning. But in the case of free intake group, it showed very slight increase through all the breeding period. The weight ratio of organ to body were lowest in the liver of group II in both occasions. The most of cadmium adminstered. were excreted through feces within 2 days after single dose of $100{\mu}g$ cadmium. The contents of cadmium in each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In the liver, kidney, spleen and muscle, group II showed the highest level in both occasions of $100{\mu}g$ single dose and free intake of water containing 50ppm cadmium. In the skin with hair, group ll of the occasion with single dose of $100{\mu}g$ and group V with free intake showed the highest level. And the contents of cadmium in tissue were markedly higher in the occasion of free intake of water containing 50ppm cadmium. From the above results I would conclude that the addition of casein and calcium are effective in the inhibition of intesitnal absorption of cadmium esp. by calcium.

식이조성에 따른 카드뮴의 조직내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할 목적으로 1988년 4월부터 5월까지 30일간 생쥐 90마리를 사육한 후, 에테르 마취로 도살한 뒤 장기를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한 후 습식 분해하여 원자흡광분광광도계로 분석하였다. 카드뮴은 고농도 1회 투여군($100{\mu}g$ 경구투여)과 저농도 자유섭취군(50ppm 함유음용수 자유섭취)으로 구분하여 각각 카세인, 칼슘 및 우지식이군별로 시험하였다. 생존율은 대조군(기본사료+증류수)이 100%이었고, IV군(기본사료+Cd+Ca)의 고농도 1회 및 저농도 자유섭취군과 V군(기본사료+Cd+우지)의 저농도 자유섭취군이 각각 66.7%로 가장 낮았다. 최종 체중증가비는 모두 대조군의 42.3%보다 낮았으며 고농도 1회 투여군에서는 V군이 26.0%로 제일 낮았고 IV군이 42.3%로 가장 높았으며 저농도 자유섭취군에서는 II군(기본사료+카드뮴)이 11.6%로 가장 낮았고 IV군이 24.0%로 제일 높았다. 고농도 1회 투여후 5일까지는 거의 체중증가가 없었으나 그 이후 회복되었고, 저농도 자유섭취군의 체중증가는 미진한 경향을 보였다. 장기별 무게비는 간장은 고농도 1회 투여군과 저농도 자유섭취군 모두 II군이 가장 낮았으며, 신장과 비장은 고농도 1회 투여군의 II군이 가장 높았고 저농도 자유섭취군의 II군이 가장 낮았다. 대변으로의 카드뮴배설은 $100{\mu}g$ 1회 경구투여후 $1{\sim}2$일 사이에 거의 대부분 이루어졌다. 조직에 축적된 카드뮴 함량은 대조군보다 모두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간장, 신장, 비장 및 근육조직에서 식이별로는 고농도 1회 투여군과 저농도 자유섭취군 모두 II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피부와 체모를 합한 것에서는 고농도 1회 투여군의 II군과 저농도 자유섭취군의 V군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그리고 저농도 자유섭취군의 각 장기 및 조직의 카드뮴 함량이 고농도 1회 투여군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카세인, 칼슘 첨가식이가 카드뮴의 장관내 흡수를 저지하는 효과가 다소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중 칼슘식이가 가장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