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bbages

검색결과 215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산 및 일본산 봄배추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김치의 품질특성과 기능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ities of Korean and Japanese spring Baechu cabbages and the kimchi prepared with such cabbages)

  • 박소은;봉연주;김희영;박건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54-86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봄배추와 일본산 봄배추의 품질특성과 기능성을 살펴보고, 이 배추를 이용하여 김치를 제조한 후 $5^{\circ}C$에서 4주 동안 발효하여 이화학적 특성 및in vitro 건강 기능성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품질특성으로 수분함량, pH, 산도, 총균수, Lactobacillus sp.의 수, Leuconostoc sp.의 수, 조직감,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적숙기에서의 항산화, in vitro 항암 기능성 실험을 하였다. 일본산 배추는 97.1%의 수분을 함유하였고 한국산 배추는 92.4%의 수분을 함유한 것으로 나타나 일본산배추가 한국산 배추에 비해 높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었다. 생배추와 절임배추에서 한국산 배추가 일본산 배추보다 탄력성이 높았고 4주간 숙성한 김치의 탄력성은 한국산 김치가 53.5%로, 일본산 김치(41.4%)보다 월등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산 배추로 제조하여 발효한 김치는 총균수는 낮으면서 젖산균인 Lactobacillus sp.와 Leuconostoc sp.의 수는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 한국산 배추로 제조한 김치의 관능적 만족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발효 3주차의 김치를 이용하여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한국산 배추로 제조한 김치는 83.2%, 일본산 배추로 제조한 김치는 46.1%로 한국산 배추로 제조한 김치에서 약 2배 정도 높은 DPPH radical 소거효과를 나타냈다. AGS 인체 위암세포에 김치의 메탄올 추출물을 1 mg/mL의 농도로 처리했을 때 한국산 배추로 제조한 김치는 45%, 일본산 배추로 제조한 김치는 26%의 암세포 성장 저해율을 나타냈고, 2 mg/mL의 농도에서는 각각 97%, 74%의 암세포 성장 저해율을 나타내어 한국산 배추로 제조한 김치에서 저해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한국산 배추의 품질이 우수하고 이로 제조한 김치가 일본산 배추로 제조한 김치보다 품질이 우수하고 더 높은 항산화 및 항암기능성(AGS 위암세포)을 나타내었다.

계절별 배추 품종에 따른 절임배추의 저장중 품질 특성 (Effect of seasonal cabbage cultivar (Brassica rapa L. ssp. Pekinesi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ted-Kimchi cabbages during storage period)

  • 최은정;정문철;구경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03-313
    • /
    • 2015
  • 본 연구는 계절별 절임배추의 품질 균일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저온 저장 중 물리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 조사하였다. 전반적으로 계절별(봄배추, 여름배추, 가을배추 및 월동배추) 절임배추의 제조 직후 pH는 저장 초기 계절별 시료 간 차이를 보이다가 저장 후반에는 시료 간 차이가 없었다. 적정산도는 가을 절임배추가 비교적 낮은 산도를 보였고,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월동배추가 비교적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미생물 균수는 여름배추가 가장 높은 균수를 보였다. 관능검사의 경우 계절별 절임배추의 외관의 변화 냄새와 맛 특성 변화도 계절별 시료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관능적 품질 특성 항목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유의적으로 양 또는 음의 상관성을 보이는 품질 특성이 많아서 절임배추 저장 중에 한 개의 품질특성만 변화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특성이 함께 변화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계절별 절임배추 전반적인 품질 특성의 주성분 분석 결과 첫 번째 주성분(F1)과 두 번째 주성분(F2)는 전체 데이터의 51.98%와 14.23%의 설명력을 보여 주었고, 총설명력은 66.21%였다. 계절별로 월동배추는 F1상의 위쪽, 봄배추는 중간, 나머지 시료는 F2상의 아래쪽에 분포하였고, 저장기간에 따라서는 F1상의 왼쪽에 저장 일수가 적은 절임배추 시료가 오른쪽에는 저장 일수가 많은 시료가 위치하였다. 본 연구 결과 계절별 절임배추의 품질 특성이 제조 직후부터 저장 중에도 계속 시료 간 품질 차이가 뚜렷하게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품질이 균일화된 절임배추를 연중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계절별 절임배추의 품질 특성과 저장 중의 차이를 고려하여 고품질의 절임배추 제조와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연구 및 계절별 저장 절임배추를 이용한 김치 제조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전기분해수 세척에 따른 배추의 미생물 및 잔류농약 제거효과 (Removal Effects of Microorganism and Pesticide Residues on Chinese Cabbages by Electrolyzed Water Washing)

  • 성정민;박기재;임정호;정진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628-633
    • /
    • 2012
  • 위생적인 배추 생산을 위해 전기분해수를 이용하여 미생물 저해효과와 잔류농약 제거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대조구는 TW로 세척하였으며, 상업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NaOCl 용액으로 세척하여 비교하였다. 배추의 초기 총균수와 대장균군수는 각각 6.64, 3.56 log cfu/g 수준이었으며 침지 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10분 경과 후, TW 처리구는 5.97 log cfu/g 수준이었으며 LAlEW와 SAcEW 처리구는 1.63-4.67 log cfu/g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특히 SAcEW-100처리구는 1.63 log cfu/g 수준으로 초기에 비해 5 log scale 이상 감소하여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대장균군수는 초기에 3.56 log cfu/g 수준에서 10분 경과 후, TW와 NaOCl-50 처리구를 제외하고 검출되지 않았다. 잔류농약의 경우, 초기 chlorpyrifos, prothiofos 및 deltamethrin 함량은 각각 1.13, 1.91 및 0.67 ppm이었다. 세척 후, TW 처리는 32.28-38.46% 감소하였으며 NaOCl 처리구의 감소율은 36.93-50.13%으로 TW의 1.5배 수준 감소하였다. LAlEW-100 처리구와 SAcEW-100 처리구의 감소율은 63.79-78.30% 감소하여 TW와 NaOCl 처리구에 비해 효과적이었다. 비타민 C함량은 세척수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전기분해수는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미생물 제어와 잔류농약 제거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재배지에서 킬레이트제 처리가 양분 유효도와 배추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elating Agents on the Grwoth of Chinese cabbage and Availability of Nutrients in Plastic Film House Soils)

  • 김명숙;김유학;노미영;강성수;윤홍배;이형용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949-954
    • /
    • 2012
  • 시설재배지 토양의 축적양분인 염류를 활용하기 위해 EC가 높은 토양에 여러 킬레이트제를 처리하여 토양의 화학성과 작물의 무기성분 흡수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DTPA와 EDTA를 처리한 구에서 킬레이트제는 Ca, Mg, K, P등의 다량원소 뿐만 아니라 Fe, Cu, Mn, Zn 등의 미량원소와 킬레이트 하는 능력이 뛰어났다. 그러나, 토양의 ECDTPA를 처리한 는 EDTA를 처리한 토양보다 낮아졌다. 킬레이트제가 처리된 토양에서 생육한 배추의 무기성분 흡수량을 살펴본 결과 DTPA 0.5 mM 처리한 구에서 배추의 T-N, $P_2O_5$, $K_2O$, 그리고 Fe의 흡수량은 다른 처리구보다 높았다. 이로부터 시설재배지의 집적된 양분을 킬레이트화하여 작물의 양분 이용성을 증대하는 데 효과적인 킬레이트제는 DTPA이며, 적정한 농도는 0.5 mM로 나타났다.

얼갈이 배추와 열무에 엽면 살포된 농약의 김치 제조 및 김치냉장고 저장에 의한 변화 (Change of Pesticide Residues In Field-sprayed Young Chinese Cabbages and Young Radishes During Kimchi Preparation and Storage in Kimchi Fridge)

  • 권혜영;손경애;김택겸;홍수명;조남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21-227
    • /
    • 2014
  • 얼갈이 배추와 열무를 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하여 안전사용기준을 준수하여 농약을 살포하고(얼갈이배추: diazinon EC, dimethomorph WP, imidacloprid WP, 열무: diazinon EC, imidacloprid WP, procymidone WP) 수확한 후 김치로 제조하고 67일 동안 $-1.8^{\circ}C$의 김치냉장고에 저장하면서 잔류농약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얼갈이 배추의 김치 담금 및 저장에 의한 잔류농약 제거율을 살펴보면 절임 및 세척시 31~52%, 양념 첨가시 57~74%, 상온에서 14시간 숙성시 61~76%, 김치냉장고 저장 39일차에 70~82%의 제거율을 보였고 이후로는 변화가 없었다. 열무의 경우 양념 첨가시 57~85%, 상온에서 17시간 숙성시 59~86%, 김치냉장고 저장에 11일째에 74~91%의 잔류농약이 제거된 이후 변화가 없었는데 이는 절임과 세척 과정이 저장기간 동안의 발효 과정보다 더 효과적으로 농약을 제거했음을 보여주었다.

Ultrastructural Differences in Mixed Infections of Six Turnip mosaic virus and One Ribgrass mosaic virus Isolates in Crucifers

  • Kim, Jeong-Soo;Cho, Jeom-Deog;Park, Hong-Soo;Kim, Kook-Hyung;Kim, Kyung-S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9권2호
    • /
    • pp.117-122
    • /
    • 2003
  • Six isolates of Turnip mosaic Potyvirus (TuMV) namely, TuMV-CA7 from oriental cabbage, TuMV-TU and TuMV-TU2 from turnip, TuMV-RA from rape, TUMV-ST from stock, and TuMV-R9 from radish, and Ribgrass mosaic Tobamovirus (RMV-FG22) from oriental cabbage were isolated. Three kinds of characteristics of the six TuMV isolates were sorted by bioassay: TuMV-CA7 and TuMV-TU isolates infected mostly oriental cabbages; TuMV-ST, TuMV-TU2, and TuMV-R9 infected radishes; and TuMV-RA infected both oriental cabbages and radishes. Mixed infections of crucifers were RMV-FG22+TuMV-CA7, RMV-FG22+TuMV-TU, RMV-FG22+TuMV-RA, RMV-FG22+TuMV-ST, RMV-FG22 +TuMV-TU2 and RMV-FG22+TuMV-R9. Crops used were 'Tambok' cultivar resistant to TuMV, 'SSD63' susceptible inbred line of oriental cabbage, pure line of leaf mustard and 'Daeburyungyeorum' cultivar of radish. New specific ultrastructures of nonagon-like ring (NLR) and spiral aggregates (SA) by mixed infection with TuMV and RMV were formed in cells of crucifer plants. The NLR was made by a TuMV surrounded loosely by nine RMV particles, and the SA was formed spirally by full mixed of two virus particles. The SA had some NLR in its center, which was observed from cross sectioned SA. Host plants with specific ultrastructures expressed synergistic symptoms. Specific ultrastructures of NLR and SA were formed in combinations of RMV-FG22 and in TuMV-CA7, TuMV-TU, or TuMV-RA that could infect oriental cabbages. How-ever, no specific ultrastructures and mixing of the two virions in the same cell were observed in combinations of RMV-FG22, and TuMV-57, TuMV-TU2, or TuMV-R9 isolates haying virulence in radishes.

Ca2+처리 절단배추의 소포장 단기 저장 특성 (The short-term storage characteristics of cut kimchi cabbages treated with Ca2+)

  • 김상섭;성기운;황희영;정문철;정신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7-162
    • /
    • 2014
  • 배추의 신선편이 제품화를 위하여 $Ca^{2+}$용액을 처리하여 소포장 단기 저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배추를 절단($3{\times}3$ cm)하여 2% calcium chloride(Ca), ascorbic acid(As), citric acid(Ct), 2% calcium chloride와 2% citric acid 용액(Ca/Ct)에 침지하여 LDPE 백($18{\times}20$ cm)에 넣어 $5^{\circ}C$에서 6주간 저장하였다. 중량은 0.13~0.72% 감소하였으며, Ca/Ct구의 감소율이 가장 낮았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18.85~35.00% 감소하였으며, Ca/Ct구의 감소율이 가장 낮았다. 적정산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Hunter 색차계에 의한 L값은 감소하였으며,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Ca/Ct구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Ca^{2+}$과 citric acid 처리에 의하여 절단배추의 단기저장 시 선도가 연장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배추 종자 및 어린 싹의 성장 시기에 따른 3-butenyl isothiocyanate 및 total glucosinolates 함량 변화 (Changes in 3-Butenyl Isothiocyanate and Total Glucosinolates of Seeds and Young Seedlings during Growth of Korean Chinese Cabbages)

  • 김연경;김건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65-369
    • /
    • 2003
  • 배추의 품종별 종자 및 성장 시기에 따른 3-butenyl isothiocyanate 및 total glucosinolates를 분석하기 위하여 동풍배추(Winter Pride) 및 55일 배추(55 Days) 품종의 종자, 발아 1일, 3일, 5일, 7일 된 어린 배추를 떡잎(cotyledon), 배축(hypocotyl), 뿌리(root) 부분으로 나누고 anion-exchange column(Dowex 1${\times}$2-100)을 통과시키고 아세톤 침전법을 사용하여 제조한 crude myrosinase로 반응시켜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종자에서는 55일 배추의 3-butenyl isothiocyanate의 함량이 동풍 배추 종자보다 다소 높았다. 55일 배추의 3-butenyl isothiocyanate 함량은 3-day-old seedlings의 떡잎과 배축에서 가장 높았으며 동풍 배추의 떡잎에서는 3-day-old seedlings까지 함량이 증가한 후 감소하였으며 배축은 3-day-old seedlings까지 함량이 증가하였다. Total glucosinolates를 분석한 결과 종자에서는 동풍 배추보다 35일 배추의 함량이 다소 높게 조사되었으며 55일 배추의 떡잎은 3-day-old seedlings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배축 부분은 7-day-old seedlings까지 증가하였으며 뿌리 부분의 glucosinolates는 성장 기간동안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동풍 배추의 떡잎과 배축 부분은 -day-old seedlings까지 증가하다가 감소하였다.

봄배추 재배방법 및 품종에 따른 생육 및 절임 특성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Salting of Chinese Cabbage after Spring Culture Analyzed by Cultivar and Cultivation Method)

  • 이정수;박수형;이윤석;임병선;임상철;전창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3-48
    • /
    • 2008
  • 김치는 절임 발효 식품으로서 염장이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이러한 영향에 대해 주재료인 배추의 품종 및 재배 방법의 차이를 구명하고자하였다. 배추의 재배방법(노지, 하우스재배) 및 품종(쌈노랭이, 매력, 춘황, 춘광, 고령지 여름, 옥황씨알)에 따른 수확전 요인(생육 특성)과 수확후에 나타나는 절임특성을 조사하고자 구중, 결구지수(크기), 엽수, 엽두께, 삼투몰 농도, 염함량, 탈염률, 경도를 측정하였다. 수확후 생육면에서는 시설내의 하우스에서 재배한 배추가 구중 및 결구크기, 엽두께, 함수량 등 면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품종에 차이는 보이나 전반적으로 노지에서 재배한 배추의 경도, 삼투몰 농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배추를 절임시 염함량은 재배방법과 그에 따른 품종에 의해서도 차이가 나타났는데, 탐염률이 낮은 것들에서 염함량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삼투몰 농도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본 실험의 결과 동일한 품종이라도 재배 방법의 차이에 따라 배추를 절였을 경우 나타나는 특성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배추는 주년 생산작물이므로 봄철뿐만 아니라 앞으로 다른 생산시기도 확인이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재료의 차이에 따라 김치를 담갔을 때 대한 나타나는 고찰이 보다 필요 할 것이다.

전작물의 관개법에 관한 비교연구(I) (A Comparison Study on Irrigation Methods for Upland Crops(I))

  • 유한열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527-1533
    • /
    • 1969
  • In this experiment furrow and fixed nozzle methods in irrigating chiness cabbages were compared on the grounds of yields and amounts of irrigation water. A simple electric device was used to measure soil moisture contents. As a result, the following items were derived: 1) A slight significance was observed between the yield produced at the furrow irrigation test plot and that at the sprinkler irrigation plot. 2) The ratio of the amount of irrigation water applied at the furrow irrigation plot to that at the sprinkler irrigation plot was approximately 2.7 : 1.

  • PDF